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hkm73560의 이미지

tmpfs으로 마운트한 뒤 loop device로 다시 마운트를 하면 램 영역에 제대로 잡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loop device로 된 이미지를 램 영역에 올리고 싶습니다.
그래서 생각한 방법이 다음과 같았습니다.

1. 디렉토리 생성 (mkdir test)
2. 생성한 디렉토리를 tmpfs에 마운트 (mount -t tmpfs tmpfs ./test)
3. 위 디렉토리를 다시 loop device에 마운트 (mount -t ext4 /dev/loop1 ./test)
( 해당 이미지는 ext4 형식으로 포멧되어 있습니다. )

df 명령어로 확인하면 tmpfs, /dev/loop1에 모두 test 디렉토리가 마운트 되어 있습니다.
지금 현재 상황이 램 영역에 제대로 올라간 것인가요?
만약 그렇지 않다면 어떤 방법으로 해야될까요?

고맙습니다.

kongo의 이미지

아파치 웹서버에서 확장자를 숨기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아파치 웹서버에 웹페이지를 하나 올리는데, 올리고 보니까 문제가 생겨서 문의 드립니다.

웹서버를 올렸는데, 메인페이지 까지는 정상적으로 보여졌습니다.

문제는 메인페이지에서 걸려있는 링크를 누르면, http://abcd.com/intro/intro_vision 이렇게 주소줄에 표시가 되면서 "404 not found"에러가 발생했습니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뒤에 확장자 .php를 붙였더니 정상적인 페이지가 호출되었습니다.

구글링을 하던 중에 디렉토리 옵션에 Options Multiviews 를 붙여주면 정상적으로 호출이 된다는 글을 보고 붙였더니만, "406 not found" 에러가 발생하면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보여주었습니다.

An appropriate representation of the requested resource /intro/intro_vision could not be found on this server.

bawoowow의 이미지

reverse DNS구성중일때 master와 slave의 ip대역이 다른 경우에는 PTR설정을 어떻게 지정해야하나요??

$TTL 3600

1.168.192.in-addr.arpa. IN SOA ns1.example.org. admin.example.org. (
2006051501 ; Serial
10800 ; Refresh
3600 ; Retry
604800 ; Expire
3600 ) ; Minimum

IN NS ns1.example.org.
IN NS ns2.example.org.

hellostar의 이미지

리눅스 Secure OS 추천부탁드립니다.


리눅스용 Secure OS 구매해서 설치하려고 하는데
레드아울 써보신분 계신가요?
기술지원이 잘 되는지 알고싶습니다.

레드아울 말고 다른 좋은 제품 있으면 추천부탁드립니다!!

ng4you의 이미지

쉘 스크립트 파일 읽어들이기

쉘 스크립트 초보자입니다.

쉘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간단한 툴을 만들고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테스트 해본결과 정상적으로 동작하더군요

while read line;
do
scp heejun86.kang@10.168.177.123:~/$line .
done < test.txt

그런데 위에 디렉토리 생성과 변경 커맨드를 적으면
test.txt를 찾지 못한다고 실행메시지가 발생합니다. 이렇게요

mkdir gathered_files
cd gathered_files

while read line;
do
scp heejun86.kang@10.168.177.123:~/$line .
done < test.txt

dltkddyd의 이미지

putty(ssh로 접속하는) 사용중에 인증되지 않은 아이피

putty로 ssh 서버에 접속하여 잘 사용하다가 아이피를 확인해보니 제가 접속한 클라이언트 말고 정체불명의 클라이언트 주소가 잡힙니다. 그래서 아이피를 방화벽 명령 iptables로 해당 주소 접속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iptables -A INPUT -s 정체불명아이피 -d 제 서버 아이피 -p tcp --dport 22 -j DROP

으로 명령을 내렸습니다. 그래서 알 수 없는 아이피는 차단했는데, 잠시 5분 정도 있다가 제 클라이언트의 putty에서 내린 명령이 서버에서 제대로 실행되지 않더니 심지어 접속이 끊어지기까지 합니다. 혹시 경우지 주소에서 제 아이피로 접속하던 것이고 그 접속을 막았기 때문에 제대로 된 접속이 되지 않는 것인가요? 정체 불명의 저런 아이피 끊을 때 제 클라이언트 접속은 끊기지 않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오늘 작업 중에 계속 접속 됐다가 끊겼다가 해서 작업 효율이 별로 좋지 못합니다. 조언좀 부탁드릴께요..

flyyunha의 이미지

리눅스 TCP Parameter 값 질문입니다.

리눅스 네트워크 관련 Parameter 값 중

net.ipv4.tcp_rmem = [min, default, max]
net.ipv4.tcp_wmem = [min, default, max]

위 파라미터 값에 3가지 모두 넣지 않고,

예) /etc/sysctl.conf
net.ipv4.tcp_rmem = 4096
net.ipv4.tcp_rmem = 4096

위와 같이 값을 넣으면 어떻게 적용이 되나요 ?

확인시

cat /proc/sys/net/core/rmem_max
cat /proc/sys/net/core/rmem_default
cat /proc/sys/net/core/wmem_max
cat /proc/sys/net/core/rmem_default

위 값들에 대한 변경은 없는데
다른 데서 확인을 해야 하는 걸까요 ? ...

negabaro의 이미지

kvm구축시 쓰는 커맨드에 대해서

kvm공부를 하고 있는데 구글링을 해보면 kvm관련 게스트os만드는 커맨드가 왜이렇게 많은지
지금 제가 찾아본건 밑에와 같은데요

virsh

/usr/libexec/qemu-kvm
kvm
qemu
qemu-img
kvm-img
qemu-system-i386
qemu-system-x86_64
ubuntu-vm-builder kvm

virsh는libvirt가상화 통합관리를 위해 존재로 납득이 가고요.

kvm은 man kvm해보니
SEE ALSO
qemu(1).라고 쓰여있으니까

qemu랑 똑같은건가요??

혹시 왜이렇게 kvm을 구축하기위한 커맨드가 많은지 아시면 가르쳐주세요

ktd2004의 이미지

하드디스크 write 성능 관련해서 문의 드립니다.

현재 HDD에서 초당 5MB 정도의 데이타를 write하고 있습니다.
보통때는 5MB를 write하는데 0.02초 정도에 완료가 됩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자주 발생합니다.(아래의 block은 write 함수에서의 block을 말합니다.)
* 처음 부팅후에 HDD에 처음으로 write할때 약 30초 이상의 block이 걸립니다.
* 계속 write하다가 어느 순간 약 5초 이상의 block이 걸리는 경우가 자주 있습니다.

환경은
* linux 3.0.8
* ext4 file system
* HDD는 wd, seagate등...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kdkim0212의 이미지

portoies SVN 전체 백업하는법을 잘모르겠습니다.

전력쪽 펌웨어 엔지니어로 신입 입사한지 이제 한 6개월 되었는데요

프로젝트 백업에관하여 어깨넘어로보고 듣고만 하였고 직업 서버를 다루거나 해보진않아 심히 고민히 됩니다.

svn 사용도 몇번 해보질안아..ㅠㅠ 제가 아직 부족한것이많습니다만 적절한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1달전에 시놀로지라는곳에서 나스 서버를 구입했습니다.

현제 프로젝트 서버 관리 하시던분이 급히 퇴사를하여 인수인계를 제대로 받질 못했거든요

나스서버는 DSM이라는 리눅스계열 os가 설치되었구요

서버에 SVN을 설치했구요. 클라이언트 pc에 potoies SVN을 설치를하고

백업 폴더를 지정하고 체크아웃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개별적인 백업은 가능했으나 정작 중요한 전체 백업하는법을 잘 모르겠습니다.

서버 에서도 프로잭트 폴더 생성을하면 하위폴더 생성을 할수 있는그런 항목이나 메뉴가없구요
서버 SVN에서 프로젝트 폴더를생성하면
그냥 위와 같이 저런식으로 root 바로 하위에 생성이됩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