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kjq3052의 이미지

dba에 대해서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지금 4년제 대학에 다니는 3학년 학생입니다.
제가 지금 진로를 어느정도 정해야 될거 같아서요.
이번에 여름방학을 맞이하여서 오라클 자격증을 따려고 합니다.
그래서 상담을 받았는데 dba가 전문성이 없어 보이게 말을 하더라구요..
ccna 오라클 jsp ms(window) 자격증이 기본이고 dba가 되고 싶으면 일반 전산직(공개채용)에 들어가서 뽑힌후
몇년후에 직급도 올라가고 하면 db를 만지고 따로 전문적인 거는 안하는 거 처럼 이야기를 하시더라구요..
저는 보안이나 네트워크처럼 특정 전문가가 되는줄 알고 dba가 되고 싶었던거였습니다..
그 애기를 들으니 혼란이 많이 와서요...

제가 묻고싶은거는 dba가 정확히 실제로 회사에서 어떤일을 하는지
그리고 정말로 전문성이 없는 직업인지..
실제적으로도 오라클 자격증이 메리트가 있는지
또 어떻게 준비해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이상 읽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ㅎㅎ

yoda의 이미지

Fibre Channel을 리눅스에서 사용할 때 설정방법 질문입니다.

RHEL6.4 호스트에 Fibre Channel 8G를 이용하여 마운트를 했는데요

벤치마킹을 해보면 write 속도가 350 mb/s정도 나옵니다.

read는 6~700mb/s정도입니다.

어째서 속도가 이렇게 차이가 나고 느린지 모르겠습니다.

어디선가 설정이 잘못된 듯 하여 보이는데요 multipath 설정에서 무언가를 해줘야 하는건지 다른 부분에서 설정이 필요한지 잘 모르겠습니다.

같은 환경에서 윈도우서버 2008에 마운트 해보면 벤치마킹 결과가 최고 1000 mb/s도 넘어가기도 하고 대략 6~700mb/s 정도 나옵니다.

리눅스OS에서만 write속도가 떨어지고 있는데 어느 쪽을 의심해보는게 좋을까요?

publy.l의 이미지

DNS Server를 Master/ Slave가 아니라 Master/ Master 로 구성할 경우 주의할 점??

안녕하세요.
DNS Server를 Master/ Slave가 아니라 Master/ Master 로 구성할 경우 주의할 점이 있을까요?

두 Master DNS Server 가 PC에 주/ 보조로 설정되어 있을 경우,
주 서버로 설정된 Master DNS Server가 Down될 경우 주소 변환이 안되어 네트워크가 안되어 버리더라구요.
Master DNS Server와 Slave DNS Server는 SOA상 Expired Time이 있어서 이 부분동안 서비스 유지를 시켜준다고 알고 있는데
Master, Master로 구성된 경우 이런 관계가 성립안될 것 같습니다.

Master, Master DNS Server가 구성된 이유는 Active Directory Server 이중화에 따라 설정된 부분입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gusim52의 이미지

Dell PowerEdge T420 타워 서버에 Windows 7 or Windows 8 설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PowerEdge T420 타워 서버를 서버용과 개인용으로 사용하려고 합니다.
1년 365일 켜놓지는 않고요(개인목적) 출근때만 켜 놓을려고 합니다.

그래서 질문을 드리고자 합니다.
첫째, 서버도 멀티부팅이 가능한지
윈도서버를 설치하고 윈도7 또는 윈도8 을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부팅을 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Dell 공식적으로 알려진 OS 는 모두 서버용 OS ㅠㅠ

서버로 사용을 하다가 실정나면 윈도우7 또는 윈도우8 설치하여 사용하려고 합니다.
혹시 편법으로 클라이언트 OS 설치를 해 보신분 도움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bloody의 이미지

SO 파일 빌드할때

어떤 오픈 소스를 컴파일해서 dynamic library를 만들어보니

xxxx.so.124
aaaa.so.0
aaaa.so.51

이런식으로 라이브러리파일들이 만들어지네요

프로그램에서 로딩하려고 해도 xxxx.so 파일을 참조하지 못하고 xxxx.so.124파일 못찾겠다고 하네요

저런 동적라이브러리들의 이름을 .so로 빌드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인터넷에 조금 검색해보니 suffix란 말이 계속 나오던데 저 뒤에 붙은 숫자가 suffix인가요?

publy.l의 이미지

DNS Server Primary/ Secondary 모두 구축했는데 Primary가 죽으면 모두 다운되는 증상입니다.

안녕하세요.

DNS Server를 Primary와 Secondary 모두 구축해 놓고 리눅스나 윈도우 서버, PC들에 모두 설정해 놓은 상태입니다.
Primary DNS Server가 Down되었을 때, DBMS 등 접속이 안되거나 매우 느려집니다.
이때 Secondary DNS Server 쪽으로 nslookup으로 server 명령으로 강제 지정해서 조회하면 정상 작동됩니다.
ping으로 도메인을 입력하여 테스트해도 변환이 잘됩니다.
하지만 DBMS가 접속이 안되고, 서버 접속이 안되고, 여기 저기서 어플리케이션이 다운되네요. -_-;
Primary DNS Server가 살면 모두 정상화 됩니다. 중간 네트워크 접속 오류 등 Loss된 부분은 어쩔 수 없지만요. Secondary DNS Server는 죽던 살던 기기들은 잘 작동됩니다.

이 상황을 어찌 이해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도움 부탁드려요.

csol9595의 이미지

웹서버+dns

브라우저에서 도메인치면은 웹서버로 접속돼서 웹서비스가 돼는 데요
아파치랑 bind를 어떻게 써야할지를 모르겟어요
고수님들 가르쳐 주세요ㅜㅜ

Tae_Wook의 이미지

'gnu tar' 에서 'hamming code'를 인코딩 하는 옵션을 알려면 어떤걸 찾아볼까요?

~
'검색싸이트' [google] 와 '맨 페이지' [ https://www.gnu.org/software/tar/manual/ ]
그리고 '리눅스 실전가이드'[
Prentice Hall A Practical Guide to Linux Commands, Editors and Shell Programming 2nd (2010)
]
를 이미 찾아 보았지많, 'gnu tar' 에서 'hamming code'를 인코딩 하는 옵션 이 뭔지 모르겠습니다.
~
'gnu tar' 에서 'hamming code'를 인코딩 하는 옵션을 알려면 어떤걸 찾아볼까요?
[추가질문 ; 'gnu tar' 에서 'hamming code'를 인코딩 하는 옵션은 대충이라도 무었이라고 예상되나요?]
~
~
~
~
~

hkm73560의 이미지

램디스크 사용 시 tmpfs과 /dev/ram 사용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램디스크를 사용하고 싶어 조금 알아보고 있습니다.
제가 찾은 방법으로는 /dev/ram에 마운트를 하는 방법과 tmpfs/ramfs을 쓰는 방법이 있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dev/ram을 쓰는 것과 tmpfs 혹은 ramfs의 차이는 /dev/ram의 경우 블럭 디바이스로 인식이 되고 tmpfs/ramfs의 경우 파일시스템으로 인식이 되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그렇다면 두 방법의 차이는 블럭디바이스냐 파일시스템이냐에서 오는 것 같은데, 여기에서 오는 차이점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램디스크를 사용할 때 블럭디바이스로 인식해서 사용하느냐 혹은 파일시스템으로 인식해서 사용햐느냐에따른 차이가 있을까요?

kongo의 이미지

RewriteRule 도움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http://test3.hannubi.com/dev/bbs/board?bo_table=chic_group 이런 주소값을
http://test3.hannubi.com/dev/bbs/board.php?bo_table=chic_group 이런 주소값으로 처리하려고 합니다.

확장자만 없어지는 거죠....ㅠㅠ

이게 원래 있던 서버에서 홈페이지를 가져왔는데, 소스가 확장자가 모두 없네요...ㅠㅠ
원래 있던 서버는 Multiview 옵션을 썻던거 같은데, 저희 웹서버에서는 Multiviews를 주니까 페이지로 넘어가지 않고
406에러가 발생하면서 연결 가능 페이지를 리스트로 보여주게 되었던 거죠...ㅠㅠ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