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k1d0bus3의 이미지

마감

감사합니다.

jmonaco88의 이미지

aix 5.2에서 gcc를 설치하던 도중 rpm 에러가 났습니다...

aix 5.2에서 gcc를 설치하던 도중 rpm 에러가 났습니다...

현재 현상은 rpm을 실행만 해도 같은 에러가 나는걸로 봐서.... rpm의 문제인 것 같습니다.

eyeofme의 이미지

리눅스 마스터 1급 난이도가 궁급합니다.

학원에서 국비 자바 배우고 있는 상태고...
취업 때 리눅스 서버 운영할 수 있는 사람 우대해준다는 곳에 지원해 보려고 자격증을 따려고 합니다.

리눅스는 오래 전부터 데탑용으로 사용 해왔습니다. 초등학생 때 컴퓨터에 레드햇 리눅스 시디로 설치해서 끄적여 보다가. 우분투
지금은 학원에서 윈도우로 진행하는 수업을 모두 민트 17로 컴퓨터를 밀어버린 뒤,
톰캣, 자바, 이클립스를 데비안 버전으로 수동설치 및 설정하여 사용 중입니다.

주로 사용하는 명령어는

- sudo apt-get install, update,
- tar -fvzf
- find / -name 이름
- sudo pluma 파일이름
- sudo nano 파일이름

요런거구요.. 문제가 생기면 거의 구글링 후 복붙으로 해결해서 리눅스에 대해 잘 모른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어요.

요런 상태에서 리눅스 마스터 1급을 기출문제만 풀고 보면 떨어질 가능성이 높을까요?

travis의 이미지

화면확대 방법 문의

OS X에서 화면확대 기능을 잘 쓰고 있는데, 리눅스에서도 같은 기능을 사용할 수 없을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os x에서는 커서 주변부를 확대시키거나 다시 축소시킬 수 있는데, 커서를 움직이면 확대된 화면도 따라서 움직입니다. 커서가 항상 화면 한 가운데 위치하고요. 그런데 리눅스에서도 이런 zoom in/out이 가능한지 모르겠습니다. Uninty tweek tool이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화면을 확대할 수 있기는 하지만, 이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커서가 화면 한 가운데에 고정되지 않기 때문에 커서를 움직일 때마다 화면이 뒤늦게 따라와 눈이 어지럽습니다.

혹시 우분투에서도 OS X같은 화면확대가 가능할까요?
파이어폭스나 워드프로세서에서 페이지 확대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화면이든 확대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koku_ma의 이미지

네트워크 통신 문제

첨부된 파일과 같이 같은 네트워크에 서버들이 있읍니다.

A, B, C 서버간에 통신이 문제가 없이 잘 됐었습니다.

그런데, 어느날 갑자기 A서버와 B서버가 통신이 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C 서버는 A와 B서버 모두 통신이 잘 됩니다. 물론 A 에서 C, 그리고 B 에서 C 사이의 통신은 잘 됩니다.

A와 B 서로 간의 통신이 안됩니다.

어떠한 방법으로 A와 B사이에 통신이 안되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위에서 말한 통신이 잘 된다는 말은 ping 이 된다는 것입니다.

kismp123의 이미지

어셈블리어 최적화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혼자 공부 중인 학생입니다.

제가 어셈블리어를 최적화 할려는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그래서 gnu가 오픈소스이니 이쪽의 도움을 받아
어셈블리어를 최적화 할려고하는데요

input으로 어셈블리어를 넣어서 output으로 최적화된 어셈블리어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바이너리를 만들 필요는 없고 그냥 단순 최적화만 해주는 것으로 결과 값을 받는것을
원합니다.

그래서 혹시 오픈소스이니 어느쪽을 보면 된다든지 아니면 비슷한 프로젝트가 있을까요?
고수 여러분의 답변을 기다리겠습니다..

lkh의 이미지

질문있습니다.

여기 글 삭제는 어떻게 하죠?

parkon의 이미지

기계식 키보드 한글입력 설정 문의

안녕하세요,

우분투에서 ibus 사용중입니다.

이번에 FC750R이라는 기계식 키보드를 샀는데 한영키가 별도로 되어있지 않고
오른쪽 Alt키와 병행하는 형식입니다.

웹 상에서는 우알트키와 컨트롤-스페이스로 한영변환을 할 수 있긴 한데
가끔 클릭하면 앞에 친 글자가 입력되는 버그(?)가 보이고
또 가끔은 한영 전환이 안 먹어서 다른 웹 창에 가서 한영 입력을 해 주고 돌아 와야 한글이 입력되는
증세도 있군요.

보다 심각한건 콘솔에서는 한글 입력을 할 수 없습니다.
어떻게 해야 될까요 ?

kikokiko99의 이미지

CentOS 서버 네트워크 설정

우선 현재 구성 모형에 대해 설명해 드리자면..

외부 인터넷 ----- 메인 서버(eth0, 203.232.x.x) / 메인 서버(eth1, 192.168.0.x) ------ 내부 호스트들(192.168.0.x)

위와 같은 네트워크 구성에서..
메인 서버(NIC 2개)로의 접근은 ssh로 연결하여 원격으로 작업하고 있구요...
내부 호스트들은 현재 외부로의 접근이 차단된 상태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내부 호스트들에서 외부 인터넷 사용을 위해서 어떤 것을 설정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iptables 로 포워딩 설정 해야하는지... 기타 등등 잘 몰라서 고수님들의 의견을 듣기 위해 글 올립니다.

도와주세요~ㅠ

aubin의 이미지

EC2에서 dovecot과 postfix로 메일서버를 구축했는데요

동아리에서 친구들에게 메일 나눠줄려고 아마존 ec2의 우분투에 저 두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메일서버를 구축했습니다

그래서 계정을 생성해서 나눠줄려고보니까

adduser로 계정 생성하는거까진 좋은데

나중에 개인이 비밀번호를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이게 해결이 안되서 못해주고 있는데 무슨 방법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참고로 웹서버는 nginx를 사용중이긴 한데 바꾸는건 문제가 없습니다.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