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lim4009의 이미지

vmware 에서 ubuntu를 사용해서 리눅스를 하려고 하는데 ..도와주세용

이걸 하려면 cpu가 가상화지원이 되야된다고 하는데

지금 제가 윈도우 8을 쓰고있고 가상화 지원이 안되는 cpu라고 하는데 해결방안이 있을까요?

가상화 지원패치가 있다는 사람도있는데

어디서 찾을수있을까요

찾아도 없네요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studyforever의 이미지

SoC 개발자 혹은 개발자가 되려는 사람들이 모이는 사이트가 있나요?

지금 Digilent사의 Nexys2 라는 보드를 이용해서 공부하는중인데요.

C는 정보가 많아서 필요한 자료 찾기가 수월한데 Verilog 힘드네요.

찾아봐도 대부분이 문법 관련된 것들이라 도움되는게 없어서 되는대로 만들기는 하는데

잘 작동하지도 않고 지금 제대로 하는건지도 모르겠고 답답하네요. 지금 Nexys2에 있는 PSDRAM한번 동작시켜보자고

몇 달을 붙잡고 있었는지...

어딘가 찾아가서 정보공유도 하고, 경험담도 듣고 이러고 싶은데 잘 활성화된 사이트가 안 보이네요.

혹시 아시는 곳 있나요?

lim2982의 이미지

linux본딩하다가 막히네요

안녕하세용~ 처음가입햇습니다.
질문드릴건 다름아니라 본딩에 관해서입니다.
사용하는것은 linux6.6입니다. 본론으로 들어가자면

첫번째로, 본딩 설정할때 conf파일이 꼭필요한지요? 저는 해보았는데 conf파일이 없어도 본딩의 모드 설정이 가능했습니다. 다만 service network restart를 할시에 conf파일이없다는 경고문이 나오기는 하였지만 cat /sys/class/net/bond0/bonding/mode 에서는 모드가 변경되었더군요.

두번째로, 위와같이conf파일을 만들지않고 실행하였더니 갑자기 맥주소가 충돌이 나기 시작했습니다. 원래 맥주소가 저장되어있는데 장치가 설정된 주소인 00:00:00:00:00:00 대신 08:00:27:5D:FA:50 MAC 주소를 가지고 있습니다. 무시합니다..하며 넘어가더군요 무슨 문제인지 잘모르겠습니다. 한번확인해주시고 답변달아주시면 감사합니다.

xoduddk123의 이미지

Ubuntu에서 ethernet calbe을 제거 할 시 eth0가 어떻게 없어지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노트북에서 Ubuntu 12.04에서 ethernet을 사용해서 eth0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노트북에서 ethernet 케이블을 제거하면 eth0의 ip가 지워지던데 이러한 과정은 어떻게 진행이 되는 것인가요?

[ethernet calbe 연결되어져 있는 상태]

happypig07의 이미지

NIC RSS queues (0,2,4,8,16) 다중 분산처리 질문 입니다

급 질문드립니다 난관에 막혀서 나가지 못하여 질문 올립니다 ㅠㅠ

국내 게임 서버 BMT 진행중에 생긴 문제입니다

테스트 목적 과 동기

성능 테스트를 통해 NIC RSS Queues를 많이 가질수록 CPU 성능을 높일 수 있음(커널 쓰레딩을 분산 시킴으로) 생각 하게 됨
NIC RSS Queues를 많이 가질 수 NIC 테스트 (분산 커널 쓰레딩 )확인 과정

테스트 방법

더미- 클라이언트 봇으로 하여 서버에 2500 봇 , 3000 봇, 5000 봇을 붙여서 스트레스를 주는 방식 입니다 (개발자가 만듬)

테스트 장비

2014년 HP 최근 장비
OS : windows 2008 R2
NIC : HP 366FLR 1G NIC (Rss Queues : 1,2,6,8) 까지 있음 * 1ea
티밍해도 하였음 2 port ( SLB , TLB) 두개 해봄 / 해당 테스트 목적에 어떤 티밍이 적합 한지 모르겠음..,

테스트 작업

waterpencils50의 이미지

파이썬 학교에서 하는데 이문제는 도저히 어떻게 풀지 모르겠어요 ㅠㅠ

일단 x에 숫자를 넣어서 그 x에 가장 맞는 2의 제곱수를 찾는건데요
예를 들어 x=8이면 2의 3제곱을 리턴값으로 주고

11.5면 2의 제곱중 가장 가까운수가 8이랑 16이 있는데 8이 더 가까워서 8이오고

14면 2의 제곱중 8이랑 16이 있는데 16이 더 가까워서 16이 나오는식인데요

어떤식으로 접근할지 모르겠네요...

def nearest_two(x):
"""Return the power of two that is nearest to x.

pinebud의 이미지

[아두이노] 재미나군요..

얼마전부터 아두이노를 해보고 있습니다.
사실 프로젝트꺼리가 있으면 더 재미나겠지만 그냥 가지고 놀아도 당장은 재미나네요.
우노의 경우 플래시 32KB 램 2KB 밖에 없어서 리눅스와는 거리가 먼 시스템입니다만,
어찌어찌 메모리 관리해가며 와이파이 붙이고 센서붙이고 하며 놀고 있습니다.

서버로 Google app engine + python + Django를 써봤는데.. 재미나는군요..
DB 모델만 넣으면 대부분의 부분이 자동화되어 있네요..

이런 것으로 일거리가 되면 재미나겠네요. :)
일이 되면 또 재미없으려나요?

koain의 이미지

centos 설치시 lvm 설정 질문 있습니다.

우선 디스크는 3개가 있습니다.
sda에는 /boot 를 할당하구

sdb와 sdc를 stripe로 묶어 /를 할당하고 싶습니다.
그런데 centos 설치시에는 stripe 설정이 없는것같은데요.
디폴트 lvm 은 linear로 설정되는 걸로 알고있습니다. centos 설치시에는 stripe로 설정할 수 없는건가요?
만약 그렇다면 default로 설치 이후에 stripe로 설정 변경이 가능할까요?

shari83의 이미지

rsync 특정 인터페이스에만 올리는 방법?

검색을 해봐도 이렇다할 답이 안보이더군요..

rsync는 기본적으로 xinedt를 통해서 올리면. 글로벌하게 port가 등록 되죠.

# netstat -ntl 로 볼경우

tcp 0 0 :::873 :::* LISTEN

이런식으로 말입니다.

이걸.

10.10.10.1:873 처럼 하나의 인터페이스/IP에서 LISTEN하도록 고정하고 싶습니다.

방법이 있는지요? 도움 부탁드립니다!

gluon의 이미지

SSH Remote 접속상태에서 local compiler 사용

안녕하세요! 한가지 질문이 있어 이렇게 글 남깁니다.

SSH접속을 이용하여 computer cluster에서 코딩작업을 해야하는데, 작업 후 컴파일러를 제 컴퓨터에 있는 설치 되있는
local compiler (gcc나 기타 등등)를 사용하게 설정할수있나요?

그리고, 스케일이 큰 계산을 돌려야 해서 제 개인 컴퓨터가 아닌 cluster에서 계산을 하는건데, 위와 같이 local compiler를 사용하면
속도에 disadvantage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감사드립니다 : )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