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zsw2의 이미지

이걸 물어봐도 될지 모르겠는데요. 물리적인 맥주소를 변경시킬 수도 있나요?

컴퓨터에서 은행거래 할때, 지정한 피시에서 거래할 수 있게 지정피씨 제도에 가입했는데요.

알기로는 제 랜카드의 맥주소를 등록해놓고 그 컴에서만 은행거래 가능하게 하는 그런 장치로 알고 있습니다.

한달 후, 다시 은행거래하려 들어가니 지정피씨가 아니라고 나오네요.

은행에 문의해보니, 맥주소를 등록하는게 맞으며 자신들은 전문가가 아니라서 잘 모르겠다는겁니다. 공유기의 맥주소를 등록한건지, 아님 컴의 랜카드의 맥주소를 등록한건지도요.

공유기 사용하냐고 해서 한다고 하니, 공유기 문제일 수도 있겠다며 확답은 못하고요.

달라진거라곤 해당 컴퓨터 포맷하고 재설치한 것 외에는 달라진게 없습니다.

요즘 해당 공유기에 물린 컴퓨터가 다들 좀 이상해서 포맷한건데요. 지나치게 느려지고 가끔 바이러스 검출되고요.

공유기 해킹으로 맥주소 변경이 가능한가요? 이것 때문에 지점까지 방문해야 하는데 골치아프게 생겼네요.

karin92의 이미지

우분투14.04 설치 했는데 좋네요.

노트북에서 내장모니터가 그냥 잡히네요?

그리고 해상도 조절도 그냥 되고...

다른분은 어땠을지 모르겠지만

예전에는 내장모니터 잡으려면 그럽에 노모드셋 설정해줬어야 했고

해상도는 무슨짓을 해도 고정이었는데...

근데 놋북에서도 듀얼모니터도 잘 잡히나요?

집에 여분 모니터가 있는데 고장이라 확인이 안되네요.

k1d0bus3의 이미지

리눅스(커널/배포판)에서 지원 안되는 디바이스드라이버에 대해서

Q/A에 올리려다가 자유로운 의견을 듣고싶어 자유게시판에 올립니다.

Nvidia GPU는 디바이스드라이버 공개가 안되어있는 걸로 압니다.
이유가 무었이며, 왜 이런 이해관계가 생기는건지 궁금합니다.
어쨋든 그래서 리버스엔지니어링으로 디바이스드라이버를 만든것이 noveau프로젝트더군요. (문제는 전 noveau를 쓰면서 버그(충돌)를 경험했습니다.)
이것저것 배포판들을 여러종류의 PC에서 쓰다보면
꼭 사운드카드, 터치패드(맥북), 무선랜 등등 작동안되는 디바이스들이 한둘씩 있습니다.
여러분께서는 어떤 경험을 하셨으며, 주로 어떤 종류의 디바이스(회사)에서 문제들이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k1d0bus3의 이미지

initrd 개념에 대한 질문

부팅 시, 부트로더에 의해 커널로딩 후 root파일시스템을 로딩하는 시점에 "필요할수도"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root파일시스템 로딩을 위해선 모듈(ex: ext2/3/4, SCSI/USB 등등)이 필요하고,
이 모듈들을 initrd에 묶어서 커널다음에 로딩하여 root파일시스템을 읽을수 있게 만듭니다.

질문
1. root파일시스템 로딩에 필요한 모듈들을 아예 커널에 빌트인해서 커널을 만들면, initrd가 없어도 됩니까? (그렇다면 initrd개념은 왜 생겨난거죠?)

2. 커널 역시 root파일시스템안에 존재하는데, 부트로더가 어떻게 읽어내죠?

3. initrd/initramfs가 혹시 다른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습니까? (모든 커널모듈을 넣어버리거나, root파일시스템을 통째로 넣어버린다던가)

jinwoo4130의 이미지

리눅스공부 ubuntu centos redhat 중 어떤걸로 해야되나요?

안녕하세요 요즘 프로젝트를 하는데 리눅스에 대한 기초가 부족해 차근차근 공부를 하려고합니다.

그러던 중 검색을 해보니
ubuntu -> 성능은 좋지만 실제 회사가면 사용하지 않음
centos -> 짱짱 기관에서도 사용
redhat -> 오래됨..

뭐 이런분위기던군요 ..
저는 우분투를 하고 싶은데 다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그리고 우분투공부할 수 있는 자료나 책 추천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tooson90의 이미지

linux kernel 에서 spinlock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spinlock 부분을 공부하던중 질문이 생겨 이렇게 글을 올려봅니다.

/usr/src/linux/include/linux/spinlock_types.h 에 있는
struct raw_spinlock 에서

20 typedef struct raw_spinlock {
21 arch_spinlock_t raw_lock;
22 #ifdef CONFIG_GENERIC_LOCKBREAK
23 unsigned int break_lock;
24 #endif
25 #ifdef CONFIG_DEBUG_SPINLOCK
26 unsigned int magic, owner_cpu;
27 void *owner;
28 #endif
29 #ifdef CONFIG_DEBUG_LOCK_ALLOC
30 struct lockdep_map dep_map;
31 #endif
32 } raw_spinlock_t;

byeown의 이미지

리눅스 특정 도메인으로 접속할시 내부의 있는 PC로 보내버리고자 합니다.

1번 PC, 외부 인터넷연결되있음, 도메인연결되있음 PC2와 크로스케이블로 연결됨
2번 PC, 크로스케이블로 1번PC와 연결됨.

외부에서 PC1의 특정도메인으로 접속시 PC로 보내버리고싶습니다.
웹이라던지 ftp라던지 등등..
어떻게 하면 될까요..?

아파치만이라면 프록시로 넘기면 되겠지만
svn이라던가 기타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아이피 자체를 넘겨버려야하는데 어찌해야할까요..
PC1의 도메인은 ddns서비스를 받고 있습니다.
dnsever를 통해서요.

rapony12의 이미지

Slackware Linux OS 에 대해서...

슬랙웨어 리눅스에 대해서 2013년에 릴리즈된 이후에 멈췄던데요.full 설치를 해도 안에 기능도 별로 없고...

제가 아는 게 아직 별로 없어서 어떤 기능이 있는지 모르겠지만 여러분들 생각은 어떠신지요.

fdisk 로 설정하면 swap partition 과 Linux Partition을 잡아놓고 저장해도 정작 setup에 들어가면 NTFS 두개가 있습니다.그래서 되지 않습니다.cfdisk로하니깐 되더군요

문제는 slackware Linux 홈페이지에 fdisk 기능을 써놨더군요.cfdisk는 어디에도 없습니다.이래도 되는 건가요?

jinwoo4130의 이미지

TProxy 설정

안녕하세요..

Squid에서 투명프록시를 이용하기위해서 TProxy설정을 해야한다고 합니다

TProxy 기능을 사용하려면 설정을 해야된다는데 어디서 어떻게 하는지를 잘 모르겠습니다;;

밑에
NF_CONNTRACK
NETFILTER_TPROXY
NETFILTER_XT_MATCH_SOCKET
NETFILTER_XT_TARGET_TPROXY
있는데 이것들을 어디에서 어떻게 설정해야 된다는건지.. kernel compile를 해야하는건지... 감이 안잡힙니다
리눅스 시작한지 얼마안되는 수준이고 KLDP선배님들이 조언해주시면 큰 도움이 될 것같습니다

------readme파일에 있는 내용------

### Requirements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