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pildoc의 이미지

*

망치의 이미지

구글 Apps 같은 서비스 무료로 사용할만한게 있을까요?


기존에 개인 도메인들을 모두 Google apps 에 등록하여 편하게 이용중이었는데 이번에 무료 서비스가 사라지면서 새로 구매하는 도메인들은 비용을 지불해야만 하는 상황인데요..

이메일 서비스를 구글App 처럼 무료로 사용가능한 서비스가 있나요?

dooboo522의 이미지

centos4.x 자동 실행 대해서

안녕하세요. 부팅 시 자동 실행에 대해서 여쭤봅니다.

centos4.5 부팅 해서 특정 파일 실행 시킬려고 하는데요. rc.local 아니면 chkconfig 할려고 하는데, 타이머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부팅 시 apache 자동 실행 설정 후 5초 뒤 sqld 실행 3초 뒤 php 실행으로 해서, 타이머 적용으로 할려고 합니다.

tomcat으로 간단하게 스크립트 짜야 한다고 하는데....모르겠네요..구원의 손길을 기다립니다.

망치의 이미지

mysql 에서 mongodb 로 넘어가보신분!


nosql 류 DB에 대해 얘기만 듣다가 이제 막 mongodb 를 보기 시작했습니다.

기존에 넘어가신분들의 얘기를 들어보고 싶습니다. 넘어가는 과정에서 겪으신 문제나 체감 성능같은것들요. :D

zyok0y의 이미지

개인용 pc 검색엔진을 아시는분?

os종류를 불문하고, 개인용 pc 검색엔진을 아시면 알려주세요.
이것저것 스크랩해서 쌓아두다 보니, 필요한 자료가 어디 있는지 찾기가 어려워졌습니다. 관리방법에 대해 생각해 보던 중, 시간이 너무 많이 드는데다 제대로 하려면 사후관리까지 필요하더군요... 그래서, 검색하는 방향으로 옮겼습니다.
처음에는 명령어를 가지고 간단하게 하려 했는데, text파일만 검색할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다양한 문서포멧을 주기적으로 text를 추출하고, .... 생략... 오픈소스 검색엔진을 가져다.... 형태소 분석? 주기적인 업데이트? 생략...
점점 산으로 가더군요... 웹에서 일정한 형식을 딱딱지켜가며 쓴것만 있는게 아니라서 이것저것 간략화할 바엔 차라리 수작업으로 하나씩 확인하는 편이 낫겠더라구요.

결론은 상용 개인용 검색엔진을 구한는걸로 해결하려 합니다. 혹시 해결방법이나 개인용 검색엔진을 아시면 알려주세요.

cleol의 이미지

공인인증서 개인키 보관 방식에 대한 궁금증

최근에 본 김인성 교수의 웹툰입니다. http://minix.tistory.com/403
한국형 공인인증서의 문제점에 대한 것인데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서요.
이 웹툰에 따르자면.. 한국형 공인인증서의 가장 큰 문제점이 "개인키를 도둑맞기 쉽다" 입니다.
도둑 맞아도 인증서 암호가 있어야 하는데, 포털 등에서 해킹되어 유출된 암호나 유추에 의해 풀릴 수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브라우저나 OS가 제공하는 개인키 보관 기능을 사용하면 적어도 그런 문제는 없다고 합니다."
궁금한 점은 요 마지막 문장입니다. "브라우저나 OS가 제공하는 개인키 보관 기능" 역시 (똑같지는 않지만) 비슷한 문제가 있는 것 아닌가요?
예를 들어 이 웹툰에 "브라우저나 OS가 제공하는 개인키 보관 기능"의 한 가지 예로 등장하는 gnome keyring의 경우에는
악성 코드를 통해서 암호나 키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다고 FAQ에 씌여있습니다.

biosensor의 이미지

다수의 ip를 추가하고자할때 파일명?

하나의 NIC에 다수의 IP를 심어야하는 상황입니다..

추가하는 방법은 알고있습니다만 파일명을 꼭 형식에 맞춰야하는지 궁금하여 여쭈어봅니다.

ifcfg-eth0

위 파일이 1번째 ip인데요. 다음번 아이피는 꼭 ifcfg-eth0:0 이런식의 이름을 명명해야하는지요?

ifcfg-eth0:1 이런식으로는 안되는건가요? 직접해보면 돼겠지만 문제가 발생할듯하여 여쭈어봅니다.

그리고 보통 여러개의 IP를 심어도 아웃바운드는 IP는 한개로 알고 있습니다. 이것을 확인하는 방법도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hanhoa의 이미지

fedora18을 설치하고 HDMI로 듀얼모니터 셋팅을 했는데 화면이 가득 차서 안나오는 문제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Fedora18 KDE 로 설치를 했고 그래픽카드는 HD5570입니다.
처음에는 D-SUB과 DVI로 듀얼모니터 셋팅을 했는데,
DVI쪽 모니터가 똑같은 1920x1080 해상도인데도 화면에 가득차서 나오지 않고
까만 테두리를 두른 듯 양 화면 중간에 표시되었습니다. 잘리는 부분은 없고 화면전체가 쪼그라든 느낌입니다.
그래서 DVI가 HDMI to DVI케이블이라서 그런거라 예상했는데,
오늘 HDMI to HDMI 케이블을 구해와서 D-SUB 케이블을 빼고 HDMI로 연결을 했더니
똑같이 화면에 가득차게 나오지 않고 쪼그라들어서 나옵니다.
윈도우에서는 Catalyst Control Center에서 조절이 가능했던거 같은데,
리눅스는 초보인지라 어떻게 해야 할지 잘 모르겠네요;
아시는 분 도움 부탁드립니다.

minsubsim의 이미지

vmware에서 fedora 18을 설치후 vmware tools 설치시 kernel hearder path를 찾을수 없다고 합니다

vmware tools 설치시에
The path "" is not a valid path to the 3.7.5-502.fc18.i686.PAE kernel headers.
would you like to change?
라는 메세지를 받았습니다

인터넷에서 해결방법을 찾아서 (kernel 업데이트 및 재시작 등등) 찾아봤지면 여전히 똑같은 문제를 발견하였습니다

/usr/src/kernels에는
3.7.5-201.fc18.i686
3.7.5-201.fc18.i686.PAE
3.7.5-201.fc18.i686.debug
3.7.5-201.fc18.i686.PAEdebug
가 있구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