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망치의 이미지

전기 모기채.. 안정적으로 계속 켜져있게 할 방법은 없나요?


사무실 창문으로 벌레가 하도 많이 들어와서 전기모기채를 하나 샀습니다. 배송비 포함 5천원; ㄷㄷㄷ

이걸로 잡다잡다 끝이 없어서 그냥 스위치를 밴드 붙여서 고정시켜버리고 창문에다 대놓고 있는데, 이렇게 두니 구찮지도 않고 효과가 좋긴 한데 배터리가 순식간에 닳아버리네요...

스위치 눌려있는 동안엔 망에 전기가 충전된것 여부와 관계없이 끝없이 충전을 하고 있어서 그런것같은데요.. 으어엉..

dobi2000의 이미지

ICT 도서 170여권 판매합니다. (원서, 새책 위주)

글도 길고 사진도 있어서 다른 게시판에 올린 링크로 대신합니다.
별다른 절차없이 볼 수 있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http://www.devpia.co.kr/MAEUL/Contents/Detail.aspx?BoardID=71&MAEULNo=28&no=8576

Mini-Me의 이미지

[급] CentOS 6.2 외장하드 디스크의 정보가 변경되었습니다.

USB외장 하드디스크를 사용하고 있었습니다만, 저의 실수로 파티션 타입을 Linux에서 Win95 FAT32로 변경하고 말았습니다.
부리나케 Disk Utility를 이용해서 Edit Partition 으로, 다시 Linux로 변경시키고 있습니다만,
(첨부파일 이미지 참고해주시면 감사드립니다.)

1. 엄청 오래 걸리네요. 4일간을 돌려도 종료가 안되네요.
2. 하드디스크 안에 있는 데이터는 날아가나요?

리눅스 고수님들께 SOS를 요청합니다. ㅠㅜ

gildong17778의 이미지

-

yellowstone의 이미지

리눅스 업데이트 설치하려고 하니까 오류가나요...

페도라코어 18버전 쓰고 있습니다.
업데이트 실행하고 설치하니까 다음과 같은 오류메시지가 뜨더라구요.

mdadm conflicts with dracut-024-18.git20130102.fc18.x86_64 : Success - empty transaction

어떻해야 하죠?

foruses의 이미지

Fedora가 인식하는 usb 외장하드 크기 제한이 있나요?

하드디스크를 직접 보드에 물리는거랑 usb 외장케이스를 통해 연결하는거랑
인식하는 하드디스크 크기 제한이 있나요? 어떤 원리인지 몰라서요.

대용량 하드(2TB)를 직접 보드에 물리면 잘 인식하는데,
usb로 연결해도 별 문제없나 궁금해서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foruses의 이미지

윈7에 vmware player로 설치된 우분투 리눅스가 usb외장하드(ext3)를 인식할 수 있나요?

윈7에서 ext3형식으로 된 usb외장하드를 바로 인식하지 못하여,
vmware player로 우분투를 설치한 후, usb외장하드를 인식시키려고 하는데요, 가능할까요?
윈7이 usb외장하드를 인식하지 못하는데도 가능할지 궁금합니다.

예전에는 explore2fs를 이용하면 윈도우에서 ext 포맷 디스크가 잘 읽혔던 기억이 있는데,
지금은,
Error: Block number 1196312900 is out of range!
가 뜨네요.
하드가 2TB 라 너무 커서 그런걸까요?
설마 깨진건 아니겠죠? ㅜㅜ

ngixnull의 이미지

DNS 서버 구축 중 질문 드립니다.

DNS 서버를 리눅스에서 구축할때
최종적으로 zone 파일을 설정하는 부분에서 딱 막혀버렸네요 ㅠ.ㅠ

1. zone 파일에서 DNS 서버 IP를 지정하게 되는데요
www IN A 123.123.123.123 식으로
DNS 서버 IP를 입력하게 되는데,

여기에는 어떤 IP 주소를 입력해야 하나요?
제가 D-link 공유기 사용 중이라 관리페이지에서 나오는
네임서버 IP가 있던데 그걸 써야 하나요?

아니면 그냥 아무거나 쓰면 되나요?

soc의 이미지

개발환경 모두 1대의 컴퓨터로 통합, 2020년까지 사용계획

개발환경을 모조리 1대의 컴퓨터로 통합함.

제온 서버에 우분투 서버랍시고 깔아놓은 게 램을 500MB 넘기지도 못하고 하드 용량도 1.5GB밖에 안 처먹으니 그냥 내가 주로 쓰는 i5-3570k 데스크톱 VirtualBox로 이전해서 개발환경 통합시켜 버렸다. 이 참에 딴 외부 서버 같은 데에 뿔뿔이 흩어진 쬐그만 프로그램들도 죄다 VirtualBox 가상머신으로 이전시켜 버림. 이런 식으로 통합하니까 더 편리해짐!

이렇게 해서 내가 산 Xeon E3-1245v2 서버는 얼마 전부터 잉여다.
아놔 이 쓸데없는거... 어떻게 처리하나? 한 1년 전에 그래픽카드를 여러번 사고 파는 것도 그렇고, 최근에 이 제온 서버랑 ECC 메모리 구매건까지 합하면 80만원을 그냥 허공으로 날려보낸 셈이네? 1달 알바비로 받은 돈을 이렇게 고스란히 날려먹는 것도 어지간히 미친짓이라 할만함. 나머지는 스윙칩 100봉지, 라면 200개에 소모함!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