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이 안잡히는거 같아서 질문해 봅니다.
lsync같은 경우는
리눅스 커널의 inotify로 파일시스템의 변경사항을 체크한다.
inotify는 리눅스 커널에 포함된 기능으로, 파일시스템에 변경사항이 발생할 때 이벤트를 통보해준다.라고 되어 있는데
원본 서버에 파일이 바뀌거나 수정됨 -> inotify 가 수정되거나 파일이 바뀐것을 확인 통보한다
-> lsync 가 뭐가 바뀌었으니 (백업서버들)너희들이 rsync를 써서 동기화 갱신시켜라....이건가요? 아니면
-> lsync 가 뭐가 바뀌었으니(자기자신)에 설치 되어 있는 rsync 에게 바뀐거나 갱신된거 (백업서버)들에게 때려박아 동기화시켜라 이런건가요?
아니면 lsync가 (자기자신)에 설치 되어 있는 rsync 에게 난 rsync 널 호출만 할테니 너는 내가 호출 할때 마다(백업서버들)에게 바뀐내용을 알아서 보 내줘 이런건가요?
rsync는 모르겠어요 ;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