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aksen123의 이미지

gcc 컴파일 후 파일 이름?

현재 버전이 다른 동일한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통신 관련은 아니고, 그냥 시뮬레이터입니다. 하지만 다양한 버전에서 시뮬레이션하고 싶어서 서로 다른 버전을 디렉터리 별로 나눠 사용합니다.

문제는 gcc 컴파일러인데, 오래된 시뮬레이터는 gcc 3.x 에서만 make가 가능하고, 새 버전의 시뮬레이터는 gcc 4.x 에서만 make가 가능합니다.
결국 gcc 컴파일러를 4.x 으로 또 설치하고 있습니다. 물론 기존의 gcc 3.x는 /usr/bin 에 그대로 두고, 새 gcc 4.x 는 configure 할 때 --prefix로 다른 디렉터리를 지정하였습니다.

그런데 해결하나 싶었더니, 똑같은 gcc 라는 이름으로 존재하니까 가끔 헷갈립니다.
혹시 기존 gcc 3.x는 /usr/bin/gcc 로 그대로 두고, 새 gcc 4.x는 제가 make 하면서 /제가_정한_경로/gcc4 라는 이름으로 컴파일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이러면 시뮬레이터의 Makefile 에서 CC를 gcc4로 수정해서 사용하면 될 것 같아서요.)

vananamilk의 이미지

virtualbox는 wmware처럼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현재 리눅스 민트에 virtualbox로 windows 7을 설치한 PC가 있고
windows 7에 vmware를 이용해 리눅스 민트를 설치한 PC가 각각 있습니다.
둘다 guest os 확장 프로그램을 모두 설치했습니다.

vmware는 호스트키 사용할 필요 없이 마우스 커서가 vmware안에 있으면 키 입력이
모두 리눅스 민트로 갑니다. vmware 창의 활성화에 따라 키입력의 방향이 틀려지는거져~
하지만 virtual box는 반드시 지정한 호스트키를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있더라구요.
auto capture keyboard 기능이 있지만 자동으로 disable는 안해주더라구요.

vmware와 같이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대안으로 virtualbox windows7을
원격접속 해 볼 예정입니다. rdesktop은 제가 원하는대로 동작을 하니까요...

dltkddyd의 이미지

TG 삼보 보드에 적합한 리눅스는 어떤 건가요?

TG 삼보 컴퓨터로 사용하던 피시가 갈리면서, 기존에 사용하던 페도라 14를 사용할 수 없게 됐습니다. 상위버전으로 페도라 17, 페도라 19를 usb 하드에 설치해서 부팅해보았으나 부팅에서 멈춰버립니다. 페도라 15 이후의 버전은 신종 TG 삼보컴퓨터 플랫폼에 설치돼지 않는건가요? TG 삼보에 적합한 리눅스가 있다면 추천과 함께 iso 파일 다운로드할 수 있는 사이트좀 소개 부탁드립니다.

ShaYEL의 이미지

제 인터넷 브라우저가 오작동하는데, 해결법을 구하고 싶습니다

구체적인 해결법을 주시면 더욱 좋겠지만, 어디서 어떻게 검색해야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지라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는 주로 와이파이 환경에서 노트북으로 인터넷을 이용합니다.

노트북에는 윈도우7과 리눅스 민트 13(마야)가 멀티부팅으로 설치되어 있는데요.

윈도우7을 이용할 때는 아무런 문제도 없는데, 리눅스를 이용할 때만 인터넷 브라우저가 약 1분에 한번씩 고장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인터넷 연결이 끊기는게 아닙니다. 터미널을 이용해서 툴을 다운받거나 리눅스 업데이트 등은 잘만 되는데, 브라우저만 고장납니다.

야콘의 이미지

catalina.out rm 이후 로그가 쌓이지 않고 있습니다.

실수로 catalina.out 을 rm 했는데요
그 이후로 로그가 쌓이지 않는군요
rolling 도 하고 있지 않는데
restart 할 수 도 없는 상황이구요
tomcat 은 기동시 파일 핸들을 취득하고 계속 open 하고 있는가봐요
로그를 남기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가요?

violetkjs의 이미지

저 정말 초보인데요 질문할게요!

먼저 저는 CentOs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6.5버전이요

Vmware 가상 머신에 설치에서 사용하고 있는데

우선 설치후 ssl과 아파치를 새로 깔고 싶어서

yum remove httpd를 사용하여 기존에 있던 httpd를 먼저 지웠어요

그런다음에 Apache httpd 2.2.27 를 깔고 openssl도 깔고

아! 글구 /usr/local/apache 이런 경로에다 깔았어요

제 질문은 원래 기존에 있던 httpd는

/etc/rc.d/init.d/httpd restart 하면 되는데

새로깐 httpd는 어케 활성화 하는지 몰겠어요

/etc/rc.d/init.d 안에 있지도 않고 ㅠㅠ

혹시 방법을 아시면 이 초보리눅스 사용자에게 자비를 배풀어 주세용 ㅠ

hydrophobia의 이미지

CentOS 5.8에서 소프트웨어 추가/제거 또는 업데이트 패키지명이????

CentOS 6.5에는 gnome-packagekit 라는 패키지에 gpk-application, gpk-update-viewer 등으로 들어가 있던데..
CentOS 5.8에서는 도저히 못찾겠네요 ㅠㅠ
혹시 CentOS 5.8 사용하시는분 확인 부탁드릴께요..

ysy00115의 이미지

Mysql 외부 연결 시도

윈도우 7환경에서 Mysql을 깔고 외부 연결을 할라고 하는데요,

학교 컴퓨터로 서버를 잡았는데 , 학교 다른 컴퓨터에서 서버 컴으로 외부연결은 되는데, 집에 있는
컴퓨터로 서버 컴으로 연결할라니까 실패하네요..
왜그럴까요..

집 컴퓨터에서 할때 에러 코드 가 2003 이네요.

물론 서버 컴퓨터에서 권한 주고 flush까지 해주고 방화벽까지 열어준 상태 입니다.

dltkddyd의 이미지

fedora14에서 realtek audio 드라이버를 설치하던 중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realtek 오디오 카드가 달린 컴퓨터에 realtek 오디오 드라이버를 설치하기 위해

./configure --with-cards=hda-intel

명령을 실행했는데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뜹니다.

xoduddk123의 이미지

스마트폰같은 임베디드시스템에서 부팅되면 root권한인가요 ? 일반사용자계정권한인가요?

안녕하세요.

스마트폰같은 시스템에서 부팅을 하면 root권한으로 로그인되어있는지 아니면 일반사용자로 로그인되어있는지 궁금합니다.

일반사용자 권한으로 로그인이 되어있다면 사용하는 파일들도 일반 사용자권한으로 맞추어져서 권한이 주어져있을거 같아서 몹시궁금합니다.

만약에 일반사용자로 로그인되어져있다면 이 사용자가 사용하는 파일 소유자와 소유그룹이 root면은 사용을 못할것인데...

제가 미약하게나마 생각을 해보았는데 root로 로그인을 해야되지않아야하는 이유가 마땅히 있는것도 아니고

root로 로그인을 해야만하는 이유가 마땅히 있는것 같지도 않은데.

다른 리눅스기반의 시스템들에서는 어떤식으로 처리를 하고있나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