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lsm5059799의 이미지

포맷 관련(디스크 초기화?)

노트북 한 대를 가지고 있는데
대학생인지라 호기심이 많아 노트북에 설치되어 있는 윈도우를 전부 지우고 다시 우분투를 설치하려는데
포맷을 어떻게 해야는지 모르겠네요

노트북의 하드디스크를 포맷하는법 쫌 가르쳐주세요
(참고로 제 노트북은 hp회사의 모델입니다. 처음 샀을 때 처럼 초기 상태(운영체제가 없는)로 복구하고 싶네요)

xoduddk123의 이미지

특정디렉터리 하위에 .svn 폴더를 제외한 파일리스트를 뽑을려면 어떻게해야하나요 ?

안녕하세요

svn을 통해서 파일관리를 하고있습니다.

그런데 svn을 통해서 파일을 관리하면 여러가지 불편한점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svn으로 업데이트를 받으면 각가의 폴더마다 .svn폴더가 생긴다는건데요.

이때문에 원본파일이랑 비교를 할때 불편항 사항이있습니다.

뭐.. 하위디렉토리에 .svn폴더를 전체를 삭제를 하려면

find ./ -name . svn -print0 | xargs -0 rm -rf

를 해서 지우면 되나 저는 A라는 디렉터리안에 있는 파일리스트들을 뽑아서 문서로 정리를 하려고합니다.

이때 .svn이 파일리스트에 포함안되었으면 하는데... 방법이 있을까요???

jic5760의 이미지

NAT을 하면 Source IP가 변해버립니다...

iptables -t nat -A PREROUTING -d 111.222.333.444 -p tcp -m tcp --dport 1234 -j DNAT --to-destination 10.0.0.100
iptables -t nat -A POSTROUTING -d 10.0.0.0/22 -o tap0 -j MASQUERADE

현재 GATEWAY쪽 iptables설정상황입니다.

이렇게 하면 잘 되긴 합니다.
111.222.333.444:1234으로 접속하면 10.0.0.100:1234으로 갑니다.
그런데 10.0.0.100쪽에서 모든 패킷의 Source IP가 10.0.0.1(GATEWAY) IP으로 나옵니다.
이 대신 원래 Remote IP으로 Source IP을 바꿀 수 없나요?
왜 DNAT을 하면 Source IP가 자기IP(GATEWAY IP)으로 변해버리나요?
보통 공유기나 방화벽에서 DNAT을 설정하면 안그렇던데 더 설정해야 할 것이 있는거 같네요...

shint의 이미지

[한글날 이벤트]로 한글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면 좋을것 같습니다.

kldp에서도 한글날 이벤트를 열어보는것은 어떨까 생각됩니다.
교육용으로도 매우 좋습니다.

1. 한글과 관련된 프로그램 만들어 보기
조합형
완성형
두벌식
세벌식
등 처럼. 한글과 관련된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면 좋을것 같습니다. ㅇ_ㅇ;;

2. 프로그램으로 태극기 그리기
더불어서. 프로그램으로 태극기를 그려 보는것은 어떨까 생각됩니다.

3. 태극기 달기
참고로. 10월 9일 한글날은 국기를 다는 날이라고 합니다.
http://blog.naver.com/0718e/220144792513

loopbit@naver.com의 이미지

제가 java 공부하다가 collection spy라는 걸 봤는데요

http://www.collectionspy.com/Page-Demos-EN.htm

이거 자바 프로그램 분석해주는 것 같은데, 시연영상 봤는데 뭐하는 건지 잘 모르겠어요.
되게 궁금하네요. 나래이터가 귀중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하는데 어디다 써먹는 건가요?

pci486의 이미지

아 이놈의 레드마인은 설치할때마다.. 혈압오르....

설치를 시도하는 레드마인 버젼은 2.5 입니다.

혈압 오르네요...;;

일단 기존에 mysql이랑 아파치랑은 소스 컴파일해서 사용하는 중입니다.
이 서버에 레드마인은 설치 할려는데 좀 순탄치 않네요.
자꾸만 한방팩의 유혹이..

암튼...
지금 레드마인소스 받아서
rake config/initializers/session_store.rb
이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입니다.
근데 아래와 같이 토해내는군요...

(in /home/redmine/public)
Could not find gem 'ruby-openid (~> 2.3.0) ruby' in the gems available on this machine.
Run `bundle install` to install missing gems.

이오류를 보고.. 오호라 루비오픈아이디버젼이 낮구나라고 해서
gem install ruby-openid 를 실행시켜
2.5로 설치했습니다.

elements by euclid의 이미지

그다지 세련되지 못한 c++로 직접 만든 범버맨

직접 만든 범버맨 입니다. 별로 세련되지는 못하네요
만드느라 삽질좀 했습니다;;

아마 여기분들은 초등학교나 중학교때 만들던거라고 하실지도;;

shint의 이미지

일본은 100년동안 9천만명을 낳았습니다.

1900년 4천만명
2000년 1억3천만명

100년동안 9천만명이 태어났습니다.

............................/---
.........................../
........................../
........................./
........../............./
........./

800년 1700년 1900년 2000년

일본의 인구 변화' 네이버 검색
http://cafe.naver.com/bke3215/5244
http://cafe.naver.com/booheong/6310

publy.l의 이미지

RedHat Enterprise Linux 인데 Subscription 계약이 되어 있지 않은데 Update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RedHat Enterprise Linux 인데 Subscription 계약이 되어 있지 않은데, Update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CentOS용을 받아설치 해도 될 것 같은데, 정상적인 방법은 아니라 걱정입니다.
보안관련 권고사항들 때문에 패치를 해야하는데 어려움이 있네요.

# yum list | more
Loaded plugins: rhnplugin, security
This system is not registered with RHN.
RHN support will be disabled.

조언 부탁드립니다.

robonia84의 이미지

VI 관련 질문

한가지 궁금한게 있어서 올려봅니다.

우분투의 VI를 통해 파일을 읽고 저장을 하려고 하는데

이 저장하는 하는 과정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파일을 읽어 들일때 메모리에 해당 파일내용 전체를 올리고 저장하고 빠져나올때 원래 파일을 지우고 메모리의 내용을

덮는지 궁금하네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