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queenmedley의 이미지

혹시 amd 비쉐라 8300 cpu 사용하시는분있나요?

예전에 컴퓨터 살때도 고민을 하다 인텔걸루다 구입했는데 다시 한대 구입을 해야되는 상황이 됐습니다.
인텔cpu가 요즘 대세인건 아는데...
제가 리눅스에서 포트란과 MPICH(2) 가 적용된 공학시뮬레이션을 공부하다가
처리시간이 무지 오래 걸리고 해서 그만둔게 있는데요.. 결과를 볼려면 하루정도 켜놓아야 되는 어려움이 있더군요..
(노트북..인텔i3-2250 4코어로 돌렸던거같은데..)
최근에 cpu 처리속도도 올라갔고, amd는 코어도 8개까지 있으니 요걸로 시도해보면 어떨까 하는 호기심을 떨쳐버릴수가 없어서
계속 amd에 미련이 생기네요..
리눅스에서 dota2나 heros of newerth 같은 게임도 간혹 합니다만..
amd가 리눅스 지원은 깡이라 리눅스사용자는 인텔로 가라는 글을 본거같기도 하고..

seojh1431의 이미지

샌드메일 로그분석 옵션 명에 대해서 가르쳐주세요....

1. 메일 계정별 접속 횟수 통계로 확인

# zgrep "authid=" /var/log/maillog* | awk '{print $8}' | sort | uniq -c | grep authid | sort -r

여기서 awk가 무엇인지.... sort는 무엇인지 uniq -c 는 무엇인지.. sort -r은 무엇인지... 좀 가르쳐주세요!!

emptynote의 이미지

[완료] 집에 구축한 홈페이지 성능 측정은 어떻게 하시나요?

이 질문이 이곳이 합당하지 잘 판단이 안서네요.

개인적으로 이곳이 맞다고 해서 질문을 드립니다.

집에 구축한 홈페이지 성능 측정은 어떻게 하시나요?

허브(?) 안쪽인 내부망에서 측정을 해도 괜찮은건가요?

아니면 게임방(?) 같은곳에 가서 측정을 해야 하나요?

joytouch의 이미지

crontab을 이용해서 라디오 녹화를 하고 싶습니다.

구글링해서 찾아보니 kldp에서 예전에 포스팅된 글이 있어서 참고 해봤습니다.
https://kldp.org/node/95974

우분투를 사용하고 있는데 일반 계정에서 실행하면 되지만 crontab에 등록하면 mplayer부터는 안됩니다. 아무리 해도 안되네요.

rootuser7의 이미지

웹서버, 웹클라이언트, 홈페이지의 관계

안녕하십니까?
이 분야의 초보라서 여쭤 봅니다.

어떤 회사(기관)의 홈페이지가 있습니다.
이 홈페이지는 아파치 웹서버(S/W)가 탑제된 컴퓨터(H/W)에서 구동이 됩니다.
그리고, 제가 집에서 컴퓨터에서 웹브라우즈를 실행시켜서 그 회사의 홈페이지에 접속을 합니다.
S/W관점에서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웹서버 = 아파치
- 웹크라이언트 = 웹브라우즈(IE/크롬 등)

그러면, 개발자가 개발한 홈페이지는 어떤 종류(유형/명칭)의 프로그램인지요 ?
즉, 홈페이지라는 용어 외에 다른 용어가 있는지요 ?
'웹서버', '웹클라이언트'처럼 말입니다.

lsm5059799의 이미지

블로그 개설

을 했다는 이야기는 아니구요...^^;;

어디에다 개설 하면 좋을까요??

ui가 쉬운 곳에 개설 하고 싶네요 많이 노출도 되고 사람들과 교류도 있고...

(네이버와 다음 같은 포털 사이트는 사절 입니다..)

meem의 이미지

입문을 파이썬으로 해도 무방한가요?

현재 고등학생인데 프로그래머가 되고싶어서
공부를 하고싶은데 파이썬으로 입문 해도 별상관없는지 알고싶습니다
그리고 한다면 어떤 책이 좋나요?

ronkzoo의 이미지

resin 서버 ssl 적용후 사이트 최초 접속시 속도 지연현상이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며칠째 온갖 포스팅을 찾고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도 이 문제를 못 풀어서
게시판에 올려 조언을 구하고자 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resin 서버 ssl 적용후 사이트 최초 접속시 속도 지연(20초 가량)이 발생합니다.
html 파일 같은건 속도 문제가 없구요 jsp 파일이나 servlet을 타는게 이런 현상이 발생하네요 그리고
브라우저를 종료를 했다가 새로 브라우저를 실행해서 접속을 하게 되면 이렇구요. 브라우저가 열려져 있거나 접속을 이미 한번 했다면
접속 지연현상은 발생 하지가 않습니다.
그리고 https 로 접속을 하면은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고. http로 들어가면 그렇지 않습니다.
브라우저 닫고 재실행해서 https://~.kr 요렇게 들어가면 20초이상 모든 브라우저에서 지연이 일어나고 그 이후론 링크를 클릭해도 아무 이상없이 잘 되더라구요.

이게 왜 그런건지 이유를 잘 모르겠네요 ㅜㅜ

좀 도와주세요~~~~~~~~

yellowstone의 이미지

kldp.org는 https 적용하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금융사이트(모든 금융사이트가 그런건 아니지만...;;) 제외하고 다른 사이트들은 https를 적용안합니다.
그런데 kldp.org는 https를 적용하는 이유가 뭔지 알고 싶습니다.
추후 http/2 적용할 계획도 있으신가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