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gurumong의 이미지

git init는 항상 작업디렉토리에서 수행하는것이 좋은가요?

Pro Git 2판(인사이트) 책으로 익히고 있는데
이해하기 힘든 점이 있어서 확인차 질문합니다

로컬 레파지토리를 생성하려면 프로젝트 디렉토리에서 git init를 수행하라고 하던데요
이렇게 git init로 생성하는 .git 폴더(레파지토리)는 항상 작업 디렉토리에서 수행하는것이 맞는것인가요?

언듯 생각하기엔 여러 종류의 프로젝트가 있을 수 있다면
각각의 프로젝트와 대응하는 레파지토리를 한곳에 모아두어야 관리상 편리함이 있을 것 같은데

책을 읽으면서 이게 좋은 방법인가 하는 의문이 들어서요

세벌의 이미지

Gtk was imported without specifying a version first.

ibus-setup 실행하면
PyGIWarning: Gtk was imported without specifying a version first. Use gi.require_version('Gtk', '3.0') before import to ensure that the right version gets loaded.
from gi.repository import Gtk
이런 경고가 나옵니다.

shint의 이미지

Microsoft - ONE DRIVE 에 한글이 포함된 txt 파일문서 올릴때. 한글문자가 오류나기도 합니다. 조심하세요.

MicroSoft - ONE DRIVE 에 한글이 포함된 txt 파일문서를 올리면. 한글이 이상한 문자로 잘못 표시 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

반드시 원본을 백업해둘것.

세벌의 이미지

Gtk-WARNING **: Locale not supported by C library.

ubuntu 16.04 에서 firefox 실행하면

Gtk-WARNING **: Locale not supported by C library.
	Using the fallback 'C' locale.

이런 메시지가 나옵니다.
어떻게 해결 하나요?

shint의 이미지

SCTP에 의한 네트웍 성능 향상 (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 Glass Library





 

SCTP에 의한 네트웍 성능 향상 (Stream Control Transmission Protocol)

http://cafe.naver.com/ongameserver/6887

 

빨라진다는 군요. ㅇ_ㅇ''
회원 가입해야 하는데. 네이버 검색으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andugukbap의 이미지

KVM 두개의 isolated 네트워크간 라우팅 가능하게 하려면?

하나의 호스트 머신에 KVM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두 개의 isolated network에 각각 하나씩의 VM을 만들었는데 이 둘은 물론 다른 subnet을 가지고 있습니다. 호스트 머신을 라우터처럼 하여 두 서브넷 사이에 패킷이 오갈 수 있도록 만들려고 하는데 어떻게 설정하는게 좋을까요?

단순한 VM1과 VM2의 통신이 목적이 아니라 라우팅을 기반으로 한 패킷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더욱 복잡한 네트워크를 구성하려는 것입니다. 즉, 브리지를 원하는 것은 아닙니다.

http://www.linux-kvm.org/page/Networking의 Routing with iptables를 참고해 보았는데 텍스트에서 언급한 탭 디바이스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없고 iptables 설정에 관한 설명도 생략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을 부탁 드리겠습니다.

bushi의 이미지

Fedora 24 혹은 25 사용하시면서 java(openjdk) 로 개발중인데 어제오늘 사이에 업데이트 하신분들.

android 빌드할 일이 있어서 openjdk 사용하고 있습니다.
오늘 데스크탑 메모리 증설 기념해서 패키지 업데이트까지하고 리부팅한 다음에 괴상해져서 이리저리 알아봤는데,
https://bugzilla.redhat.com/show_bug.cgi?id=1415137

high385의 이미지

ubuntu xrdp(xfce4) 창사이즈 조절 단축키 존재하나요?

원래 ubuntu에서는 윈도우 super키 + ctrl +상/하/좌/우로 창 사이즈 조절이 되는데

원격환경에서는 안되는데 방법이 있나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