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쿨링팬의 이미지

자유 강좌, 팁 게시판 게시 형식에 관해

안녕하십니까?

minzkn님의 게시 방식에 대해 말하고자 합니다.

일반적으로 짧은 소스코드는 게시판에 그대로 쓰지만,
긴 소스는 링크만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minzkn님의 소스들은 짧지만은 않기에, 소스에 대한 압축파일(.tar.gz)에
대한 링크만을 게시판에 제시하시고 그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을
게시판에 다시는게 여러 모로 보는데 편할거 같습니다.

제 생각입니다만,
긴 소스로 이루어진 minzkn님의 게시물이 공격적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올라온 소스들을 보면 기존에 있던, 그리고 어느 정도 성능면이나

tgmoonding의 이미지

Apache VirtualHost 질문..

Apache에 관한 질문입니다..
virtualhost를 이용해서 두개의 도메인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각각의 도메인에 메인페이지의 디렉토리 경로를 설정
할 수 있는데...
각각의 도메인을 같은디렉토리의 다른 파일들을 인식할 수 있게하는 방법이 없는지 질문드립니다...
그러니까 홈디렉토리는 같구요... 한개의 도메인은 index.html 또 한개의 도메인은 index.php 이런식으로요...

그럼 좋은 하루되세요~~^^

hanseok의 이미지

[질문] RTOS, QPlusT, eCos, TRON 특징, 크기, TOOLS

RTOS에 대해서 조사를 하고 있습니다.

일단 제가 찾은 것은
QPlusT, eCos, Tron .. 이정도입니다. 3개를 조금 비교해 보고싶은데요..

1. 3개의 특징? (^^)

2. 크기는 어느정도나 되는징?

3. 사용료 문제 ?
eCos는 사용료가 없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다른것은 어떤지

4. Program Tool은 어떤것이 있는지?

5. 메모리 관리는 어떻게 하는지? (MMU사용, virtual address사용유무)

6. 지원하는 MPU (요즘것은 다 지원하겠지만.. )

7. 혹 GUI지원여부나 어떤것이 있는지..

hezron의 이미지

http://www.debianusers.org 어디로 갔나요?

얼마전부터 접속이 안되어서 복구되려니했는데..

장기전으로?! ㅡ.ㅡa

혹시 이전된 것인지 궁금해서요...

데비안 다시 깔고서 소스리스트 구하려고 갔는데..
막막하군요.. ㅡ.ㅡ;;

yoon_chan의 이미지

커널 컴파일 해서 부팅은 되는데 모듈을 하나도 못잡네요..-_-;;

2.4.21로 컴파일 했구요
make modules와 make modules_install까지 다 했습니다(여러 번..-_-;;)

그런데
설치시에 깔린 2.4.20-8 커널의 아래 디렉토리에는
/lib/modules/2.4.20-8/drivers/net
여러 오브젝트 파일들이 포진해 있었습니다...

그러나
컴파일을 행한 2.4.21의 다음의 디렉토리에는
/lib/modules/2.4.21/drivers/net
dummy.o만이 덩그라니 남아있더군요..-_-;;

2.4.21로 부팅해서 지푸라기 잡는 심정으로
insmod를 사용해 2.4.20-8의 디렉토리에 있는
모듈을 넣을라고 해도 안되네요..-_-;;

cguy의 이미지

정말 이상한 현상. 용량이 계속 증가하네요.

누구나 하듯이 서버를 수시로 df 로 용량 체크합니다.

그런데 정말 이상한 현상이 있는것을 발견했습니다.

/usr 파티션의 용량이 " 계속 " 증가하고 있습니다.

[root@localhost /]# df -h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sda7 2.6G 1.7G 857M 67% /
/dev/sda1 30M 9.4M 19M 33% /boot
/dev/sda3 3.0G 332M 2.4G 12% /db
/dev/sda2 25G 7.7G 15G 33% /home
none 503M 0 503M 0% /dev/shm
/dev/sda5 3.0G 2.4G 460M 84% /usr

jhdosa의 이미지

리눅스 지원 메인보드가 궁금해서...

원래는 내장형을쓰다가 따로 리얼텍8139를 구입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문제는 랜카드를 인식을 못하는지 리눅스설치시에 네트웍설정부분을 스킵합니다.
제가 윈2000쓰다가 리눅스8.0을 추가로 설치할려고 했는데 새로산 메인보드(ASUS P4PE)가 회사측의 말로 의하면 7.0까지만 지원을 한다는군요.
이를 어쩌면 좋죠. 초보라서 별생각없이 구입했는데 답답하네요.
같은 회사는 아니지만 1년전쯤에 산 노트북을 쓰는 후배는 9.0도 깔아서 쓰고 있습니다.
아수스면 가장 많이 사용하는 보드인데 8.0도 지원을 못하는지 저는 믿기지가 않네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잡담] Linux kernel 2.6.0-test1 적용하면서

오~ 오늘에서야 Kernel 2.6.0-test1 을 컴파일 해서 사용해봅니다.
뭐가 이리 많이 바뀌었는지 정신이 없네요.
옵션이 너무 많아서 엄청난 시행착오를....
컴파일할때 깨끗하게 나오는게 맘에 드는군요.

근데 "make dep" 가 사라져서 한참 고민했음......

혹시 2.6.0-test1 적용해보신분들의 성공담과 어떤 부분은 반드시
Enable해야 2.6.0-test1의 진수를 알수 있는지 댓글좀 달아주세요.

zombie의 이미지

포트 여는법좀 가르쳐 주세요

원격접속이 안되네요

포트 여는법좀 가르쳐주세요~

참고로 레드행 9.0 커널 2.4 입니당

hezron의 이미지

root 비번은 알고 ssh와 telnet은 닫혀있을때...

초보입니다.

학교서버에 root설정만 해놓고 서버를 켜두고 왔는데,
원격에서 접속하려니 일반 아이디 발급을 안해두었고.. ㅡ.ㅡ;

root로 telnet과 ssh접속은 안되네요. (학교가서 손보면 되겠지만...)

리눅스는 와우리눅스 paran r2입니다.

방법 없을까요?

페이지

설치 및 활용 QnA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