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client ip 가져오기...

안녕하세요...
server에 접속한 client의 ip와 port번호를 알고자 합니다.
그래서 server쪽 소스에
connfd = accept(listenfd, &cli_addr, &len);
printf("ip %s, port %d\n",
inet_ntoa(cli_addr.sin_addr),
ntohs(cli_addr.sin_port));
와 같이 하여 실행을 하면 리눅스 서버에서는 실행이 잘되는데
unix에서는 ip가 0.0.0.0으로 나옵니다.
왜 이런가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레드헷7.2 설치하고난후.. 디렉토리가... -.-'' 고수님 ....

다름이 아니라 리눅스 설치를 마치고 나서..
df를 해보면 이러한 게 보이는데.. 디렉토리 잡을때는
이런문제가 없었는데.. 여유공간 없이 꽉 채웠거든여..
근데
Filesystem 1k-blocks Used Available Use% Mounted on
/dev/hda1 497829 96725 375402 21% /
/dev/hda2 11883044 726624 10552780 7% /home
none 39184 0 39184 0% /dev/shm ##
/dev/hda3 2016044 1397360 516272 74% /usr

저기 none이라고 되어 있는 부분이 좀 이상해서여..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쓸만한 Qt책 한권 추천좀 해 주세요.

Qt에 관해 대략적인 개념과 약간의 예제가 들어있는

무엇보다 '괜찮은' 책 한권 추천해 주십사 글 올렸습니다.

미리 감사드립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감 이 안와서 여쭤 봅니다

실력이 허접이라
여쭤 봅니다
Fork를 이용해서 2개의 자식 프로세스 A, B생성
메시지큐 생성
A와 B 프로세스가 메시큐를 이용해서 자료 전달
도대체 어떻게 하는 것이지요
파이프까지는 어떻게 되었는데
메시지큐를 사용하는 방법은 잘 모르겠네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도와주세요... /bin/su

나는 정말 바보입니다....

bin/su 명령어를 무심코 chmod 755 su 해 버렸습니다.....
허걱~~~~....

그랬더니.....

이거.....

이반 su 명령을 하면 비밀번호가 맞는데도
"su incorrect password" 이런 에러메시지가 뜹니다.

"-rwsr-xr-x 1 root root " 였던 권한이 다음과 같이 변했습니다.

"-rwxr-xr-x 1 root root "

나는 정말 바보입니다....

도와주세요...
저 죽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라이브러리??

안녕하세요?? 제 글을 읽어 주시는 님들.. 꾸벅~~ *^^*

그냥 곧바로 질문 들어가면 예의에 어긋날까요??

라이브러리를 공부하다 궁금해서 질문을 드립니다.

라이브러리에는 세 가지의 종류가 있다고 하더군요..

정적, 공유, 동적..
정적은 프로그램이 실행전에 메모리에 적재된다고 하던데.. 맞습니까?
맞다면 목적파일의 주소가 메모리에 적재되는 거겠죠? 이거.. 맞습니까?
주 메모리에 라이브러리가 들어간다면 절대주소로 들어가서
파일을 실행시킬때 그 라이브러리를 찾아간다는 겁니까?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왕고수님께 질문.. httpd.conf 나 named-zone 파일에서..


httpd.conf 나 네임-존 파일에서

현제 서버의 ip 를 적어 주는 부분들 있자나요..

예를 들면.. 가상호스트 설정에도 있고.. 네임존 파일에서도 있고..

그런데 그 ip 를 엘리어스로 처리할수 없을까요??

왕고수님의 답변 부탁합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재질] 중요함다 ㅜ_ㅜ 웹서버가 DNS 할때 부하좀...

웹서버가 DNS 서버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것에 속도가 느려지게 하는데 영향을 얼마나 주는지 알고 싶습니다.

현재 웹서버,디비서버,FTP 서버 이렇게 3개로 나누어서 돌리고 있는데

웹서버에서 도메인 네임 서버역활을 합니다( 도메인 수십개)

하루 방문자수가.. 저희 웹서버에 한 2~3만 정도라고 치면..

DNS 로 이용하는 방문자수는 한 10만 정도 예상

그렇다면... 웹서버가 느려지는 이유가 될 수 있겠는지요?

느려진다면.. 그 정도가 미비한지..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dhcpd.conf 유동ip

리눅스 7.1을 사용합니다.
랜카드는 두개이고 eth0 은 하나로케이불을
eth1은 192.168.0.1로 다른컴퓨터와 연결되어있습니다.
다른컴퓨터는 win98을 사용합니다.

dhcp로 다른 컴퓨터에 ip를 할당해보려고 리눅스테마를 보고
dhcpd.conf 작성후 /usr/sbin/dhcpd를 실행하면
eth0의 subnet이 결정되지 않았다고 나옴니다.

dhcpd.conf 작성내용중 subnet부분 -

subnet 192.168.0.0 netmask 255.255.255.0 {
range 192.168.0.10 192.168.0.20;
}

그래서 eth0의 sbunet을 더 추가하여 실행하였더니 정상동작하여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사설 IP에서 사설 IP

방화벽을 설치하고

사설IP (192.168.0.2)에 ftp서버를 설정하셨습니다.

외부 공인IP에서는 접속이 잘 되는데

외부의 또 다른 사설IP에서 이쪽으로 접속을 하면

연결은 되는데 자료의 주고 받음이 안되네요

ls만 쳐도 멈춰버립니다..

고수님들 아시는 분들 답변 부탁 드립니다.

#!/bin/sh
echo " - Verifying that all kernel modules are ok"
/sbin/depmod -a

/sbin/insmod ip_tables
/sbin/insmod ip_conntrack
/sbin/insmod ip_conntrack_ftp
/sbin/insmod iptable_nat
/sbin/insmod ip_nat_ftp
echo " - Enabling packet forwarding in the kernel"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