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jaykee33의 이미지

파일전송과 문자열전송 어느것이 효율적일까요?

자마린으로 크로스플랫폼 기반 어플을 만들고있는데요,
프로그램이 서버와 통신하는 내용이 오로지 문자데이터입니다.
모바일 기반의 개발환경을 만들고있는건데,
소스코드를 저장하기때문에 굳이 파일전송보다 문자열을 전송해서
DB에 내용만 저장하고 불러오고 할 생각인데요,
다만, DB에 저장하고, 소스파일이다보니 특수문자가 포함되서
어플에서 암호화나 패킹을 하고 전송해서 그대로 디비에 저장,
그대로 불러와서 어플에서 언패킹을 하려고 합니다.

근데 단순히 파일을 전송하는 것 과 패킹된 문자열전송하는것중에 어느것이 더 효율적일지 조언을 듣고싶어서 글 남깁니다.

패킹/언패킹 + 문자열전송 + DB저장
시스템에 저장된 tmp파일 서버전송

어느것이 더 효율적일까요?

zsef123의 이미지

안드로이드 HTTPS WebView 질문드립니다

public class NewSSLSocketFactory extends SSLSocketFactory {
private SSLContext sslContext=SSLContext.getInstance("TLS");;
private X509Certificate cert;
private PrivateKey privateKey;
public PrivateKey getPrivateKey() {
return privateKey;
}
public X509Certificate getCert() {
return cert;
}
private KeyStore setCert(){
String skuCertBin ="-----BEGIN CERTIFICATE-----\n"+
"SOMETHING CODE"+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포인터에 관해서 한개만 더 질문드릴께요

아무래도 보고있는 책이 기본서인거 같기도하고
초반부여서 제가 궁금한건 찾아 볼 수가 없네요

보통 포인터를 사용하는게 메모리를 더 효율적?으로 쓸수 있다고 해서 쓴다고 들었는데
정확히 예를 들어 주실수 있나요

예를들어 포인터 변수로 연산을 하게 될 경우 일반 자료형 변수와는 다른 메모리를 써서 더 효율적인 연산이 가능하다던지..

단순히 효율적이다란것 말고 왜 효율적인지 궁금해요

gurumong의 이미지

git init는 항상 작업디렉토리에서 수행하는것이 좋은가요?

Pro Git 2판(인사이트) 책으로 익히고 있는데
이해하기 힘든 점이 있어서 확인차 질문합니다

로컬 레파지토리를 생성하려면 프로젝트 디렉토리에서 git init를 수행하라고 하던데요
이렇게 git init로 생성하는 .git 폴더(레파지토리)는 항상 작업 디렉토리에서 수행하는것이 맞는것인가요?

언듯 생각하기엔 여러 종류의 프로젝트가 있을 수 있다면
각각의 프로젝트와 대응하는 레파지토리를 한곳에 모아두어야 관리상 편리함이 있을 것 같은데

책을 읽으면서 이게 좋은 방법인가 하는 의문이 들어서요

세벌의 이미지

Gtk was imported without specifying a version first.

ibus-setup 실행하면
PyGIWarning: Gtk was imported without specifying a version first. Use gi.require_version('Gtk', '3.0') before import to ensure that the right version gets loaded.
from gi.repository import Gtk
이런 경고가 나옵니다.

세벌의 이미지

Gtk-WARNING **: Locale not supported by C library.

ubuntu 16.04 에서 firefox 실행하면

Gtk-WARNING **: Locale not supported by C library.
	Using the fallback 'C' locale.

이런 메시지가 나옵니다.
어떻게 해결 하나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비주얼베이직 초보적인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컴활 따면서 VBA를 조금 다뤄봤는데, 그걸 응용하면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하는 생각에 비주얼스튜디오를 깔아서 삽질하고 있습니다ㅠㅠ

일단 저는 cmd를 실행하여 파이썬으로 프로그래밍된 py파일이나 exe파일을 이용하여 작업을 합니다.(cmd 실행 => mer.exe d:\zz 혹은 python save.py 12 33 44 88)
하루에도 수십번씩 cmd파일 열고 mer.exe 나 python save.py 를 타이핑 하고 경로랑 변수를 집어넣는게 너무 귀찮게 느껴져서 윈도우로 된 프로그램이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에 프로그램을 만들고자 합니다.

폼은 다 만들어 놨는데 실행이 잘 안되서 문의드립니다. 폼의 형태는 1111.jpg파일로 올려두었습니다.

실행 버튼을 클릭하면
____텍스트상자___칸의 경로명을 받아와서 cmd를 실행하여 mer.exe ____텍스트상자____
이런식으로 실행 하는 프로그램을 짜고 싶습니다.

인터넷으로 검색한 바로는

qudals10의 이미지

c언어에서 자료형과 주소값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3년전에 배웠던걸 다시 하려니까 기억이 뒤죽박죽 되있어서 정리하는데 도움을 요청합니다.

1.
보통 int형의 크기가 4byte고 음, 양수의 구분은 몇 앞자리가 0인지 1인지에 달려있는데
저가 궁금한건 이것에 대한 주소값은 어디에 저장되있는건가요??

4byte내인지 아님 다른 곳인지.. 제 기억상으론 다른곳인걸로 기억하는데 많이 헷갈리네요 ㅠㅠ

2.
int num을 선언 했을때 그에 따른 주소값이 있는데
이걸 직접적으로 바꿀수 있나요??

예를들어
num의 주소값이 a라 했을 때 주소값을 apple로 바꾸고 싶다고 임의적으로 변경할 수있는지

2-1. 주소값과 일반 상수(?)를 구분을 컴퓨터는 어떻게 하는지
이건 2번하고 살짝 연계 되있는 질문인데
만약에 2번이 성립한다면 얘네가 숫자를 받아 들이때 구분을 할 수 있다는게 말이 되는거 같은데 어떤 식으로 구분할수 있는건가요?

mandugukbap의 이미지

KVM 두개의 isolated 네트워크간 라우팅 가능하게 하려면?

하나의 호스트 머신에 KVM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두 개의 isolated network에 각각 하나씩의 VM을 만들었는데 이 둘은 물론 다른 subnet을 가지고 있습니다. 호스트 머신을 라우터처럼 하여 두 서브넷 사이에 패킷이 오갈 수 있도록 만들려고 하는데 어떻게 설정하는게 좋을까요?

단순한 VM1과 VM2의 통신이 목적이 아니라 라우팅을 기반으로 한 패킷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더욱 복잡한 네트워크를 구성하려는 것입니다. 즉, 브리지를 원하는 것은 아닙니다.

http://www.linux-kvm.org/page/Networking의 Routing with iptables를 참고해 보았는데 텍스트에서 언급한 탭 디바이스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없고 iptables 설정에 관한 설명도 생략되어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을 부탁 드리겠습니다.

high385의 이미지

ubuntu xrdp(xfce4) 창사이즈 조절 단축키 존재하나요?

원래 ubuntu에서는 윈도우 super키 + ctrl +상/하/좌/우로 창 사이즈 조절이 되는데

원격환경에서는 안되는데 방법이 있나요?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