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seongha411의 이미지

BCD에 의해 grub이 지워진 경우 어떻게 복구하나요?

윈도10 설치 후 Ubuntu를 설치해서 grub을 통해 두 운영체계의 멀티부팅이 가능했는데, 어떤 이유에서인지 부팅시 grub창이 뜨지 않고 곧바로 윈도10으로 부팅되는 경우, Ubuntu를 부팅하기 위해 무엇을 하면 좋을까요?

세벌의 이미지

물리적 디스크 2개 GRUB2를 이용한 부팅 선택?

리눅스 설치 해서 쓰고 있는 컴퓨터가 있습니다.
엠에스 윈도7 설치해서 쓰고 있던 컴퓨터 있습니다.

윈도 7 설치된 디스크를 떼서, 리눅스 설치된 컴에 붙였습니다.
CMOS에서 부팅할 순서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리눅스로 또는 엠에스 윈도로 부팅 가능합니다.

리눅스 설치된 디스크에는 GRUB2 설치해서 쓰고 있었고요.
여기서 GRUB 설정을 잘 하면 CMOS 설정을 부팅할 때마다 바꾸지 않고도 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어떻게 하면 되나요?

asdfasdfasdfsdsdfadsfsadfsadf의 이미지

.

KKK070의 이미지

네트워크 초보 질문입니다ㅠㅠ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해 이것저것 해보는 중입니다.
스마트폰 USB 테더링으로 라즈베리에 고정 아이피를 할당해 이더넷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궁금한 것은 SSH접속 설정할 때 인데요.

스마트폰 와이파이 테더링으로 아이피를 할당받은 노트북에서 라즈베리파이로 SSH 접속이 안 되는데
서브넷 마스크 같고, ip대역대가 같으면 통신이 되야 하는 것 아닌지요ㅠㅠ?

그리고 라즈베리파이로 AP기능을 만들어 라즈베리파이에서 DHCP아이피를 할당하도록 설정했는데,
할당받은 아이피로 라즈베리파이에 SSH접속을 하면 되네요...

인터넷 검색 해 보면 같은 아이피 대역이면 ssh접속이 된다고 나와있고, 사전지식이 없다보니 여기에라도 질문을 올려봅니다.

kjw4569의 이미지

[C++] float형 실수를 ieee 754 표준형의 형태로 저장하려는데 문제가 있습니다.

cin >> floatNum
unsigned __int64 intNum = (unsigned __int64)floatNum;	//정수부
floatNum -= (float)intNum;				//소수부만 남김
 
for (i = 0; i < len; i++) {			//정수부를 이진수로 변환
    if (intNum == 0)
        break;
    arr[i] = intNum % 2;
    intNum /= 2;
}

사용자로부터 실수를 입력받아 floatNum에 저장합니다.

그리고 floatNum의 정수부와 실수부를 분리해서 각각 이진수로 bool 배열에 저장하려고 합니다.

문제는 아주 큰 수가 입력되었을 경우입니다.

1번 줄에서 부호없는 8바이트 정수형을 써봐도 최대 2^64까지밖에 저장이 안 되네요. 실제로 float형은 2^128까지 표현할 수 있는데 말이죠.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터미널과 쉘의 관계... 옳바르게 이해하고 있는 건가요...

리눅스를 공부 중인 한 학생입니다.

터미널과 쉘의 관계? 비슷한 주제를 책에서 찾아볼 수 없어서
구글링을 시도했는데 제 마음에 충족되지 못해서 계속 알아보고 있습니다.(영어 문서가 많은 것 같은데... 영어로 막혀버려서...)

쉘이란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명령어를 해석하여 커널에 전달해 주고 커널의 처리 결과를 사용자에게 전달해주는 명령어 해석기!(즉 커널과 사용자를 연결해주는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
쉘 종류는 또한 sh, bash 등 많다!

터미널은 사용자가 키보드로 입력한 명령어를 쉘에게 전달하고, 커널 처리 결과를 쉘이 받아 그걸 또 터미널에게 전달하여 모니터로 보이게 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즉 쉘의 입/출력을 담당하는 소프트웨어
그래서 터미널에서 쉘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H/W - OS/Kernel - Shell - Terminal - User
이런 형식인 것 같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의문점이 듭니다.

bash 쉘로 ls 명령어 위치가
/usr/bin/ls로 뜨고

shint의 이미지

DDR2 메모리 인식





DDR2 메모리 인식이 안되는 경우가 있는데요.

그럴때는. CMOS BIOS 에서 CPU 를 Manual 로 지정해주면. 인식이 되기도 합니다.

저는 320MHz 로 하니. CPU-Z 에서 인식 되네요.

메모리 점퍼 셋팅 방법은 메인보드 설명서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하얀 선' (실크 스크린)이 위쪽.

일단. 인식되는것과는 상관없이. 작동은 합니다. ㅇ_ㅇ;;


그런데. 메인보드 드라이버'를 3DP 에서 다운받아 다시 해보니.

320 MHz 에서도 다시 인식이 안되네요. ㅠ_ㅠ...

 

chyusa1223의 이미지

vim 관련 질문드립니다.

 
#include <stdio.h>
 int main() 
{ 
   int a=3,b=0;
   scanf("%d",&a); 
   scanf("%d",&b); 
   printf("answer = %d\n",a+b); 
   return 0;
}

위 예제를 컴파일 후 터미널에서 ./hello로 실행시킬때는 아무런 문제가 없이 실행이 됩니다.

그런데 vim에서 :!./hello로 쉘로 빠져나가지 않고 실행할 경우에는 scanf가 동작하지 않습니다.

그냥 바로 answer=3과 같이 바로 결과값이 나와버립니다.

터미널에서 동작하는걸 봐서는 소스코드나 실행상의 문제는 아닌것 같은데 도대체 무엇이 문제인지 모르겠네요.

제가 지금 사용하고 있는 에디터가 neovim인데 이 자체에 문제가 있는 걸까요?

heodh의 이미지

awk에서 정규표현식 매칭 문제

3번 필드에 paf1문자가 포함된 레코드를 얻으려고 합니다.

awk 'BEGIN {FS="\t"; IGNORECASE=1} $3 ~ /paf1/ {print}' test.csv

위 코드로 원하는 결과는 얻었는데, 아래 코드도 작동은 하지만 결과는 위와 다릅니다.
도대체 아래 코드는 무엇을 매칭하고 있는 걸까요?

$3 ~ /pattern/ 과
$3 ~ pattern 의 차이를 알고 싶어요.

awk 'BEGIN {FS="\t"; IGNORECASE=1} $3 ~ paf1 {print}' test.csv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