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프로세스 정보 구조체 저장

프로세츠에 대한 정보를 구조체에 저장하고 싶은데요.
ps나 top command 처럼 모든 프로세스 정보가 다 뜨게 만들고 싶습니다.
그럴라면 proc/[pid]/stat 에 접근해야 하는데, 저 경로엔 pid가 포함 되어있어
pid를 먼저 알아야 하나 씩 접근하여 정보를 구조체에 저장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그렇다면 각각 프로세스의 pid는 어떻게 알 수 있으며, 프로세스가 총 몇개인지는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프로세스 갯수

리눅스상에 모든 프로세스의 갯수를 알고싶은데요.
Top코멘드 처럼 프로세스 정보를 출력하고싶은데 최대 프로세스 갯수를 어떻게 지정해야할지 모르겠네요.
C로 프로세스 갯수를 알수있을까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fscanf 사용

현재 fscanf를 사용해서 특정 문자, 숫자만 변수에 저장하고 싶은데요.
파일에 5 20 K 255 J 이렇게 저장되어있을 때 J나 255만 변수에 저장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을 이용하는 것 같은데 헷갈리네요.

ljs0652의 이미지

서버에 svn을 설치하라구 하셨는데영

서버에 svn을 설치를 해야 하는데 os로 윈도우가 좋을까요? 아님 리눅스가 좋을까요??
좀 더 효율적인걸로 하라고 하셨는데 잘 모르겠어서 여기에 올려 봅니다

ddali2996의 이미지

어셈블리어 질문해도 될까요?

$s0 <= $s1 의 조건에서 분기하기 위한 MIPS 명령어가 필요한데

slt $s1, $s0, $t0
beq $t0, $0, EXIT

이렇게 적었거든요. s1이 s0보다 작다면 t0에 1을 넣기때문에 t0가 0인 상황에서는 s1이 s0보다 같거나 큰거 아닌가요?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지적 부탁드립니다..ㅜ

qw3709의 이미지

C언어 질문

while ( fgetc(stdin) != 10 )
;

이코드가 무슨뜻인가요 잘모르겠네요

cleo8131의 이미지

ㅍㅏ이썬 관련 질문입니다.

제가 머신러닝쪽 들어온지 얼마 안되서 초보적인 질문을 드립니다.
아나콘다 설치 후 파이썬 설치하였고 텐서플로우까지 받았습니다.
그리고 인터넷 상에 있는 예제를 테스트해보려고 하는데요.
예제 코드는 아래 링크에 있습니다.
https://github.com/tflearn/tflearn/blob/master/examples/images/convnet_cifar10.py

24 라인에 아래 부분을 실행하면 에러가 발생합니다.
(X, Y), (X_test, Y_test) = cifar10.load_data()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작업 완료시 스마트폰 알람

리눅스 우분투 운영체제에서 시뮬레이션을 위해 하루종일 컴퓨터를 켜놓는 사람입니다.

가끔 에러가 나면 작업이 종료가 되어버리는데 그걸 스마트폰으로 알림받을 수 있는 어플같은게 있는지

궁금합니다. 퇴근하면 팀뷰어로 확인하는게 너무 힘드네요.

ansdyd64의 이미지

자바 틱 택 톡 게임을 수정하고 싶습니다.

밑에 코드는 자바 틱 택 톡 게임 코드 입니다.
현재는 하나씩 플레이 한 뒤에 승자가 정해지면 바로
승자가 출력되는 상태입니다.

현재 상태에서 9개의 칸을 모두 채운 뒤에
승자를 출력하는 걸로 수정 하고 싶습니다.

여기서 어떻게 바꿔야 할까요?

삼구의신의 이미지

기능 알고리즘 구현 고민


먼저 기능을 설명하자면

A,B,C,D 라는 장비가 있고 아래처럼 연결되어 이더넷 통신을 하는 상태입니다.
각각의 장비는 A와 연결이되면 연결된 순서대로 ID 값을 갖게됩니다.

A - B(ID:1) - C(ID:2) - D(ID:3)

위 상태에서 B가 어떤 이유로 인해 장비가 꺼진다면 B장비가 hub처럼 동작하여

A 와 C.D 장비를 이더넷 통신이 가능하도록 Bypass mode로 동작하고 C와 D의 ID값이 H/W적으로 바뀝니다.

A - B(Bypass mode) - C(ID:1) - D(ID:2)

이때 A에서는 B장비가 끊기고 C,D 장비로부터 이더넷을 통해 온다는것을 알아야하는데 어떻게 구현하면 좋을까요?

제가 생각한 한가지 방법은 A장비에 다른 장비가 연결이 된다면 MAC 정보와 ID값을 매칭시켜 저장했다가
하위 장비로부터 데이터를 받을 때 MAC정보와 ID값을 비교하여 Bypass mode로 변경됐는지 확인 하는것 입니다.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