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에서 exec 함수와 스레드, 프로세스의 관계, 스레드는 프로세스의 부분집합 인가요?

        auto i = thread([]() {
 
		int pid = fork();
		if (pid == 0)
		{
			execl("/bin/ls", "ls", "-a", 0);
		}
	});
	while (true) cout << "MAIN" << endl;
	return 0;

에서는 잘 작동하지만

oeo0750의 이미지

c언어 stack관련하여 질문드립니다.

c언어에서 stack을 이용하여 괄호의 쌍이 맞는지 검사하는 함수를 구성해 보았습니다.
현재

kutest의 이미지

오류 한문장 해석 가능하신분 있나요

비주얼베이직 6.0 오류내용인데요

compile error

only comments may appear after end sub, end function, or end property

해석 가능하신분있나요

hui1601의 이미지

Codeblocks core dumped

hunhee@hunhee-desktop:~$ codeblocks
Starting Code::Blocks Release 16.01  rev 10692 2017-09-30, 18:21:54 - wx3.0.3 (Linux, unicode) - 64 bit
Initialize EditColourSet .....
Initialize EditColourSet: done.
Loading menubar...
OpenFilesList: loaded
Debugger: loaded
CodeCompletion: loaded
ClassWizard: loaded
Autosave: loaded
ProjectsImporter: loaded
ToDoList: loaded
AStylePlugin: loaded
FilesExtensionHandler: loaded
ScriptedWizard: loaded
Compiler: loaded
Open files list plugin activated
Debugger plugin activated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우분투 서버 관련

 sudo apte-get update  

이걸 실행시키려고 합니다

서버에서 작동중이며 옆에는 서버 같은것이 있고 그건 문제 없고 원격으로 접속 가능한 상황입니다

junwha0511의 이미지

Dev C++에서는 한글을 사용할 수 없나요?


wchar_t a = L'가';
wchar_t* b =L'가';

모두 illegal character라고 뜨네요... utf-8로 소스를 저장하는 설정부분이 따로 있을까요?

skch0122의 이미지

중복로그인 에러

안녕하세요. 초급개발자입니다.

지금 사용되는건 jdk1.4이며 중복로그인방지 작업을 진행중입니다.

하나의 컴퓨터에서는 세션이 정상동작하며 두개의 컴퓨터를 돌릴시
ex) ID: test 계정을 1번컴퓨터에서 로그인 되어있는 상태에서 2번컴퓨터에서 로그인시 로그인 중이라는건 출력되는데 확인클릭시 기존에 로그인되어있는 세션을 지우고싶습니다. 하나의 컴퓨터에서 로그인 후 다시 로그인하면 정상동작하는데 2개의컴퓨터에서는 동작하지않네요..

예상구간은 세션아이디가 다른거같아서 기존에 등록된 세션아이디를 못지우는거 같습니다.

지울수있는 방법이있을까요... 그리고 session.invalidate()로 세션을 지우는데 만약 아이디가 test1 로 로그아웃을하면 기존에 다른사람이 접속한 test2,test3,test4계정들도 모두 세션이 초기화되는데 세션초기화 안되도록 하는 방법도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 상에서 Process = Thread 라고 봐도 상관 없나요?

별도의 스레드를 생성 후 스레드에서 fork 후 exec으로 넘겨줘도 메인 프로세스(스레드)는 죽지 않더군요...

그러면 (프로세스 = 스레드)이다 라고 봐도 부방할 것 같은데 내부적으로 무슨 차이가 있나요?

스레드도 pid 값을 부여 받는다고 하던데... 그럼 완전 Process = Thread 아닙니까!!?

삼구의신의 이미지

timer와 일정주기로 드는 thread 비교

일반적으로 timer를 검색하면 나오는 signal handler를 이용해 설정한 interval 마다
signal을 발생시키고 handler에 등록된 동작하도록하는 타이머와.
쓰레드에서 usleep과 같은 것을 넣어 일정 주기마다 쓰레드가 돌도록 동작하느것 둘이 어느 차이가 있나요?

timer code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솔라리스에서 싱글스레드로 멀티프로세싱할때 문제가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CPU 퍼포먼스 관련해서 도움을 받고자 합니다...

마이그레이션을 진행하는데(로컬간) 총 유저 2800 명을 100명 단위로 나눈뒤 한 프로세스로 잡고

가상서버 2대(Solaris 10 spracv9 - T4) 에 각각 14개씩 돌리는 방식입니다.

두대의 솔라리스 서버는 한대의 리눅스 DB서버(mysql)를 바라보고있습니다.

프로세스는 로컬내 유저의 sqlite 를 한번 질의 후 File과 함께 DB정보를 mysql로 마이그레이션 하는 로직입니다.

(DB,File 스토리지는 NFS 에 마운트되어있습니다.)

문제는 OS 재부팅 후 발생했는데...

문제가 발생하기 전까지는 mysql에 초당 4000~5000개의 쿼리를 요청하여 처리하였으나

문제가 발생 후에는 초당 100개도 요청하지 못하고있습니다.

cpu 모니터링을 좀 해 본 결과...

prstat -mL 로 확인하면 12개의 모든 해당 프로세스의 LCK 비율이 100% 인걸 확인하였으며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