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eternityova의 이미지

shell 변수 숫자로 읽기


nr=2
result=$(echo "$check" | awk 'NR==$nr {print $1}')
echo $result

위 코드에서 nr을 숫자로 인식하지 않는거 같습니다
expr도 써보고 let도 써보고
이것저것 해봤지만 문자로만 인식하는거 같습니다

혹시 해결책 아시는분 있으신가요???

토스님@Google의 이미지

C++ 소켓 통신 중인데 ...

Server 가 Client 에게 send() 함수로 어떤 문자열을 보내고
Client 는 if() 를 사용하여 받은 문자열이 Hello 와 같은지 확인하고
Hello 와 같다면 특정 코드를 실행하고 싶은데 방법이 없을까요?

계속 찾아봐도 이해를 못하겠네요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Visual Studio에서 프로그램이 차지하는 Stack과 Heap 메모리 크기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나요?

코딩을 하다가 문뜩 실시간으로 메모리 크기를 알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Visual Studio로 시도해보았는데

목표는 프로그램에서 Stack과 Heap의 메모리 크기를 실시간으로 보고싶습니다.

(사진을 넣기가 안되네요 보기 쉽게 파일로 첨부해두었는데 그림 첨부가 가능한가요? (하나는 cmd 입력, 하나는 debug창 사진)

그래서 아래 코드를 Visual Studio의 디버그 모드의 Diagnostics Tools을 이용해서 Memory Usage를 Snapshot으로 찍어서 확인해봤는데 Heap 크기의 경우 (int형 4바이트)를 malloc으로 할당하는데 0.04KB씩 상승하는걸 보았습니다.

사용법이 맞는진 잘모르겠어서 일단 시도해보았는데 Heap 할당이 4바이트가 아닌 0.04kb씩 상승하는 것도 이해가 안되고 Stack 크기는 어디서 봐야할지..

고수님들의 도움이 절실합니다. 이런걸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툴이나 다른 사용방법 혹은 왜 0.04kb씩 아래 사진에서 Heap 크기가 증가하게 되는지.. 궁굼합니다.

jabans의 이미지

SPI 통신의 네트워크 계층

STM32 코어와 메모리 간에 SPI 통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실습을 해봤습니다.
이 때 SPI 통신은 OSI 7계층의 어디까지 해당하는지 궁금해져서 질문 올립니다.
위키백과의 데이터 링크 계층 설명을 보면 '장치 간 신호를 전달하는 물리 계층'이란 말이 있는데 코어와 메모리 사이의 신호를 전달하니까 Physical layer 같기도 하고, '네트워크 상의 주변 장치들 간 데이터를 전송한다'는 말을 보면 데이터 링크 계층처럼도 느껴집니다. 코어 기준으로 메모리는 주변장치이니까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듣고 싶습니다.

tjsel981의 이미지

Linux & windowserver NFS 마운트 질문있습니다

windowserver12 에서 nfs 공유파일 설정후에
linux에서 nfs마운트 하고 공유파일에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있을때
windowserver12 powershell에서 nfs마운트하고있는 linux가 ip가뭐고 무슨프로그램실행중인지? 알수있는 방법 없을까요?

kmjkn의 이미지

MFC에서 CString 과 string에 관한 질문 입니다.

프로그램 하나를 분석하고 있는데 어떤 곳에서 CString을 사용하고 다른 곳에서 string을 사용하는 것이 보여서 질문 드립니다.
CStrng과 string의 차이점과
MFC에서 둘 중 어떤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지 궁금합니다!!

wkdtlguszoq의 이미지

이 문제좀 풀어주실 수 있나요

각 달의 날 수를 배열(array)로 저장하고, 특정한 달(1에서 12까지의 정수)을 입력하면 이를 인덱스(index)로 하여 그 달의 날 수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2월은 윤년과 관계없이 28일로 한다.
라는 문제인데요 제가 풀어본건

academic의 이미지

RHEL 8을 재패키징한 CentOS 8은 2021년까지만 지원한답니다.


https://blog.centos.org/2020/12/future-is-centos-stream/

CentOS Linux 8, as a rebuild of RHEL 8, will end at the end of 2021.

10년간 지원이 되는 것 때문에 CentOS를 써왔는데,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RHEL을 쓰기엔 비용이 꽤 나갈 것 같은데요.

CentOS 사용자가 옮겨갈만한 배포판이 뭐가 있으려나요?

박지원@Google의 이미지

파이썬 질문이요!

학교 과제인데 너무 어렵네요 도움을 받을수 있을까요?

awidesky의 이미지

Taylor serise로 sin값을 구하는 코드가 cmath의 sin과 오차가 7%정도 됩니다.

Taylor serise로 sin값을 구하는 코드를 작성했는데, cmath에 있는 sin과 relative error(fabs( 1 - (getTaylorSin(i) / sin(i)) ))를 비교해 보니 7%정도의 차이가 나네요;;
floating point의 오차일 뿐일까요...?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