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분투 6.06 사용중입니다]
sudo apt-get install kdevelop3하면 시작메뉴에 개발항목이 생성되고 kdevelop3 메뉴가 생겼었습니다. (이거뿐만 아니라 vmware도)
그런데 지금은 몇번이고 지우고 다시 인스톨해도 아무런 메뉴가 생기지않습니다. Adept로 인스톨해봐도 안생기고 apt-get으로 인스톨해도 안생깁니다.
vmware 깔려고 필요한걸 깔고있는데요.. 커널헤더와 gcc가 필요하죠.
gcc는 기본적으로 깔려있는줄 알았는데 gcc치면 command not found라고 나오네요.
하지만 스냅틱관리자 화면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분명히 깔려있습니다.
이럴땐 어떻게 해야하나요?
쿠분투 6.06 사용중이구요. 몇시간전에 하드포맷하고 다시 깐겁니다.
화면은 시냅틱관리자 화면입니다. 위 화면보시면 글자가 출력이 다 안돼죠. 그런데 마우스를 그 위에 휘휘~ 휘저으면 글자가 나타납니다.
왜 이런 현상이 생기나요?
리눅스 서버에서
who
라는 명령을 내려보면 현재 쉘에 접속하고 있는
사용자가 나오잔아요?
그런대 가끔가다 접속IP가 표시되는 부분에 IP주소가 아닌
접속중인 호스트의 도메인이름이 나오게 됩니다.
[root@llls ~]# who 접속자ID pts/0 Jun 15 22:17 (??.domain.com) root pts/1 Jun 15 23:49 (221.?.82.?)
윈도우즈에서 Gulim.ttc가져와서 화면의 모든 글꼴, 웹브라우저의 글꼴등 글꼴이란 글꼴은 몽땅 Gulim으로 바꿔버렸습니다.
그런데 첨부된그림 보시면 아시겠지만 글꼴이 뭐랄까.. 좀 뭉게졌다고할까? 하여튼 윈도우즈와는 다르게 나오는것같습니다. 형태는 똑같은데 윈도우즈처럼 깔끔하게 나오지않습니다.
서버에 설치도 필요없고 로컬에서 파일 하나로 돌아가는 wiki입니다.
http://www.tiddlywiki.com/ 위 홈페이지도 들여다보면 tiddlywiki로 만들어진 html 파일 하나입니다.
kldp에서는 언급된 적이 없는것 같아 글 적어봅니다.
관심있는분들은 한 번 써보시길.... 사용하면 할 수록 놀랍습니다. :)
솔라리스에서 설정된 duplex확인하는 방법좀알려주세요.. 검색한결과 아래 명령을 하면 된다고 하는데 ndd -get /dev/hme link_speed 하니 open of /dev/hme failed: No such device or address /dev/ 디렉토리에 hme가 있는데 열수 없다고 나오네요..ㅠㅠ 해결방법이 없을까요?
기본20바이트에 옵션+패딩해서 24바이트까지 가능한것으로 책에 나와있는데,
지금 인터넷 돌아다니는 패킷캡쳐해서 보면 TCP해더Length가 28바이트인것도 꽤 많네요;
쿠분투 대퍼사용중입니다.
윈도우즈에서 gulim.ttc를 복사해서 /usr/share/fonts/truetype/msfonts에 복사했습니다. 그리고 sudo fc-cache -f 했습니다.
이제 화면 글꼴을 바꿀려고 시스템세팅->글꼴에서 살펴보니 제가 추가한 글꼴이 보이지않습니다. 어디가 잘못된걸까요?
다음과 같은 구조체가 있습니다.
struct xmlTagNode{ struct xmlTagNode *parentNode; struct xmlTagNode *childNodes[50]; char *nodeName; char *nodeValue; int countOfChild; };
struct xmlTagNode *temp; temp = (struct xmlTagNode *)malloc(sizeof(xmlTagN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