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emptynote의 이미지

서울시 서울체 다운로드후 자유 사용 표현이 리브레 베타판을 안정판이라는것 보다 양반 아닙니까?

서울시 서울체 다운로드후 자유 사용 표현이 리브레 베타판을 안정판이라는것 보다 양반 아닙니까?

서울시 서울체 다운로드 페이지는 이벤트 페이지로 성과를 강조하는 용도이지요.

전산의 ㅈ 자도 모르는 분이 책임자인 사이트에 무엇을 더 바래야 합니까?

반면 리브레 오피스 홈피는 오픈 소스 개발이라고 하는데 이상해요.

과연..... 순수 오픈소스 개발자가 중심이 되는건지...

개발자가 중심인데 베타판을 안전판이라고 말하고 있으니 알다가다 모르겠네요.

리브레 홈피 메뉴에는 분명 베타판과 안정판을 나눈 흔적이 있습니다.

그 누군가가 어느 시점에서 베타판을 fresh 버전이라고 안전판을 still 버전이라고 말하면서

다운로드를 모두 fresh 버전을 받게 유도하고 있습니다.

리브레 오피스 운영진은 과연 베타판을 안전판이라고 속이는 양심 불량 개발자인가?

아니면 개발가 아니여서 그런건가?

리브레 오피스 개발자님들 과연 어느쪽입니까?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scanf_s가 표준인가요?

GCC에도 없고 비표준으로 알고 있었는데,
어떤 사람이 cppreference에 있다고 표준이라고 해서요

뭐가 맞나요?

ljw10827의 이미지

tracert 관련 질문입니다.

tracert로 google.com 을 추적했을시에 제 컴퓨터와 다른 집에 있는 컴퓨터의 도착지(IP Address)가 다른이유가 무엇인가요?? 왜 많은(1개가 아닌) IP주소를 가지고있나요?

세벌의 이미지

서울시 홈페이지의 서울서체 페이지 관련 여러분의 생각은

서울시의 서울서체 배포 정책이 홈페이지만 보면 알기 어렵습니다.

서울시 정책을 보면 서울서체를 리눅스에서 못 쓰게하는 것 같지는 않습니다.
서울서체는 누구나 무료로 다운로드 받아 자유롭게 사용 가능합니다. 출처는 반드시 표시 하시기를 권장합니다.
라고 서울시 홈페이지에 나오죠.

그런데 다운로드 링크는 윈도용, 맥용은 있는데 리눅스용은 없습니다.
이걸 보면 서울서체를 리눅스에서는 쓸 수 없을 것처럼 보이기도 합니다.
기술적으로는 서울서체를 리눅스에서도 쓸 수 있긴 합니다.
서울시 정책이 서울서체를 리눅스에서 쓰기 어렵게 만든 거죠.

Nel의 이미지

오픈소스 라이센스 관련해서 궁금한 것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픈소스 라이센스 관련하여 궁금한 것이 있어서 글 올립니다.
오픈소스로 올라와있는 프로젝트를 제가 수정해서 배포하려고 하는데 해당 프로젝트는 BSD 3-Clause "New" or "Revised" License로 되어있습니다.

해당 라이센스 내용을 찾아보니 소스코드 수정 가능, 소스코드 공개 의무 없음, 수정 버전 배포 가능한 것으로 나오는데 맞는지, 소스코드 수정해서 빌드한 결과물만 배포하고 코드 공개는 하지 않을 생각인데 라이센스상으로 문제가 없으니 해당 오픈소스 프로젝트 소유자에게 따로 연락 하지 않아도 추후에 문제가 생기지 않을지 걱정입니다.

이런 작업을 하는 건 처음이라 경험 있으신 분들의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세벌의 이미지

ibus dvorak qwerty 한글 전환 관련 특이한 문제 발결

Super-Space 키로 드보락 - 한글 전환,
Shift-space 키로 한글 세벌식 - 영어 qwerty 전환
잘 됩니다.(터미널, gedit 등에서)
그런데 크롬에서는 Shift-space를 눌러도 영어가 드보락으로 나오네요 쿼티가 아니고...

크롬에서 쿼티 - 드보락 전환하려면 어떻게 하면 되나요?
파이어폭스에서도 크롬과 같은 현상이네요...

corone의 이미지

인터럽트 중첩 관련

인터럽트 중첩 관련해서 몇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1) 프로세스가 실행 중에 인터럽트가 발생하면
현재 CPU 레지스터들을, 지금까지 실행중이던 프로세스에 할당되어 있는 커널 스택(혹은 인터럽트 스택)에 저장하고
인터럽트 핸들러를 실행하잖아요.

서로 다른 인터럽트가 계속 떠서 인터럽트가 중첩되면
인터럽트 핸들러가 실행중일 때 레지스터들도 또 백업해놓아야 할 것 같은데
(처음에 실행중이었던) 인터럽트된 그 프로세스에 할당되어 있는 커널 스택에 계속 저장되나요?

프로세스가 실행중이던 상태(레지스터)를 백업해놓는 곳은 그 프로세스에 할당되어 있는 커널 스택인데
인터럽트가 실행중이던 상태(레지스터)를 백업해놓는 곳도 (인터럽트된) 프로세스에 할당되어 있는 커널 스택인가요?

myiun20의 이미지

SD카드 부팅이 안됩니다.

라즈베리파이에서 제가 작업하던 것을 dd 명령을 사용하여 iso 파일로 추출하였습니다.

그런 다음 다른 SD카드에 이미지를 넣고 부팅 SD카드로 구워냈습니다.

그리고는 라즈베리파이에 장착 후 부팅했는데 부팅이 안되네요 ㅠㅠ..

dd작업에서 data만 iso파일로 추출이 된걸까요..? 왜 부팅이 안될까요 ㅠㅠ 도와주세요!!

csw95의 이미지

공부방향이 잘못된 거 같아 조언을 얻고 싶습니다.

지방의 한 대학의 3학년에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2년간 이 전공이 맞는지에 대해 고민만 하다 해놓은 것이 없습니다. 적성이 맞는지도 잘은 모르겠습니다만
전공성적은 4이상으로 나옵니다. 하지만 프로그래밍 실력은 없습니다.
리눅스 서버를 이용해 알고리즘 과제를 주니 더듬더듬하는 정도입니다.

올 6월까지 OS와 아키텍처,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을 한 번보며 리버싱 책을 보려합니다.(보안 쪽 진로를 생각해서요.)
뭔가 공부방향이 자꾸 이론적인 것만 찾고 실질적인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은 뒷전인 식의 방향인 것같아 고민이 됩니다. 취업 준비도 해야할텐데 실력이 부족하니 많이 조급도 하고요.
또 아는 언어는 C언어밖에 없으니 새로운 언어도 배워야할 것 같은데 어느 순서로 준비를 해나가야 하는 지를 잘 모르겠습니다.

혹시 조언을 얻을 수 있을까요.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