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cansee5744의 이미지

LTE-M 통신 모뎀 AT command 문제

안녕하십니까. 코로나가 기승인데 무탈하시길 기원합니다.

현재 LTE-M 모뎀을 쓰고 있습니다. 한 50대의 장치에 LTE-M을 연결해서 통신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문제는 AT command를 날리면 LTE-M 모뎀에서 이를 TCP 소켓으로 넘기지 않고 본인이 사용하여야하는데 TCP 소켓으로 AT command를 전송시키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렇게 AT command를 전송하게 되면 서버 쪽에서 AT command를 받고, 정작 실제로 받아야 하는 데이터를 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그 뒤로는 장치에서 데이터를 LTE-M 모뎀을 이용하여 전송을 하더라도 전송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습니다.
(서버에 어떠한 데이터도 도착을 하지 않아서 전송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LTE-M 모뎀을 컨트롤 하는 프로그램을 껐다가 다시 켜면 데이터가 제대로 전달이 됩니다.

허나 이러한 문제가 모든 장치에서 일어나는 것이 아닌 특정 장치에서만 존재합니다.

sky1027의 이미지

라즈베리파이 cm3 7인치(1024*600) 화면 깜빡임 질문이요..

라즈베리파이 cm3에 7인치1024*600 디스플레이 연결해서 사용중인데요.
OS는 라즈비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설정은 해상도를 1024*600으로 맞췄는데요.
이렇게 하면 해상도에 맞춰서 바탕화면이 이 사이즈에 맞게 나타는게 아니라 밖으로 넘어가버려요..
그래서 해상도를 낮추면 화면은 맞춰서 나오는데 화면이 깜빡거리거나 안나오구요..
화면 해상도를 낮추면 처음엔 잘 나오다가 나중에 또 깜빡거려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ㅠ;;

원인을 모르겠어요
해결책으로는 위와같이 여러 해상도 시도해봤고 주파수도 바꿔봤는데 원인을 도통 모르겠어요..
케이블도 바꿔봤고, 디스플레이가 2개 있어서 다 해봤는데 똑같더라구요
hdmi_mode 인가요 거기서도 다 설정해봣는데 잘 안되네요 ㅠㅠ

kysu5095의 이미지

[깃허브] 커밋을 유지하면서 파일들을 폴더로 이동시키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깃 레포를 정리하는도중 문제를 도저히 해결하지 못하여 질문드립니다.

현재 제가 하고있는 작업은 폴더 안에 있는 파일들을 이전 커밋을 유지하는 상태에서
폴더화를 시키는 작업입니다.

예를 들면 A라는 폴더 안에 [a.c] [b.c] [c.c] [A.cpp] [B.cpp] [C.cpp] 라는 6개의 파일이 있을 때
c_dir, cpp_dir라는 두개의 폴더를 만들고 c_dir안에 c파일들을 넣고, cpp_dir안에 cpp파일들을 넣으려 합니다.

구조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A
├─cpp_dir
│ A.cpp
│ B.cpp
│ C.cpp

└─c_dir
| a.c
| b.c
| c.c

세벌의 이미지

데비안 홈페이지 html validation

https://www.debian.org/index.en.html 를 validator.kldp.org 로 점검하면
에러가 나옵니다. 특정 언어만 그런 게 아닌 걸 보면
공통파일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 같습니다.
아직 해결 안 되었나 봅니다. 혹시 도와주실 분? 계실까요?

관련 글:
https://lists.debian.org/debian-www/2020/12/msg00079.html

Gamjago의 이미지

파이썬 XML파싱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PY4E라는 입문? 책을 보고 공부를 하고 있는데, XML파싱을 하려는데 계속 오류가 납니다.
어떻게 해야될지 전혀 감이 안오는데, 오류가 왜 나는 건가요?
일단은 코드는 이렇구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NFS 공유파일 사용시 질문 있습니다.

windows12 server에서 파일하나 정해서 nfs공유하고 보드와 연결된 pc에서 CentOS7 환경에서 윈도우에 nfs마운트 후에 정한파일을 사용해서 프로그램(read -> write)을 돌리고있습니다. windows12에서 보드와연결된 pc가 이 공유된 파일을 사용하고있을때, 보드가 여러개다 보니 어떤 보드가 공유된 프로그램들을 돌리고있는지 확인이 힘든데, 윈도우 파워쉘 관리자버전에서 보드가 이 공유된프로그램을 돌리고있는지와, 보드의 ip를 알수있는 명령어가 있을까요? 혹은 방법이 있을까요?

eternityova의 이미지

shell 변수 숫자로 읽기


nr=2
result=$(echo "$check" | awk 'NR==$nr {print $1}')
echo $result

위 코드에서 nr을 숫자로 인식하지 않는거 같습니다
expr도 써보고 let도 써보고
이것저것 해봤지만 문자로만 인식하는거 같습니다

혹시 해결책 아시는분 있으신가요???

emptynote의 이미지

삼성 휴대폰 웝 비밀번호 자판 아주 칭찬해~

한국 사람이라 한글 비밀번호가 기억하기 쉬운데
휴대폰 웹에서 비밀번호 입력시 영문 자판이라
참 곤혹스러워습니다.

그런데 제가 쓰는 삼섬 휴대폰에서 웹 비밀번호 입력시
영문 자판이지만 2벌식이 병행 표시되어
정말 좋네요.

사소하다면 사소하지만 가슴이 따뜻해지네요.

토스님@Google의 이미지

C++ 소켓 통신 중인데 ...

Server 가 Client 에게 send() 함수로 어떤 문자열을 보내고
Client 는 if() 를 사용하여 받은 문자열이 Hello 와 같은지 확인하고
Hello 와 같다면 특정 코드를 실행하고 싶은데 방법이 없을까요?

계속 찾아봐도 이해를 못하겠네요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Visual Studio에서 프로그램이 차지하는 Stack과 Heap 메모리 크기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나요?

코딩을 하다가 문뜩 실시간으로 메모리 크기를 알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Visual Studio로 시도해보았는데

목표는 프로그램에서 Stack과 Heap의 메모리 크기를 실시간으로 보고싶습니다.

(사진을 넣기가 안되네요 보기 쉽게 파일로 첨부해두었는데 그림 첨부가 가능한가요? (하나는 cmd 입력, 하나는 debug창 사진)

그래서 아래 코드를 Visual Studio의 디버그 모드의 Diagnostics Tools을 이용해서 Memory Usage를 Snapshot으로 찍어서 확인해봤는데 Heap 크기의 경우 (int형 4바이트)를 malloc으로 할당하는데 0.04KB씩 상승하는걸 보았습니다.

사용법이 맞는진 잘모르겠어서 일단 시도해보았는데 Heap 할당이 4바이트가 아닌 0.04kb씩 상승하는 것도 이해가 안되고 Stack 크기는 어디서 봐야할지..

고수님들의 도움이 절실합니다. 이런걸 실시간으로 볼 수 있는 툴이나 다른 사용방법 혹은 왜 0.04kb씩 아래 사진에서 Heap 크기가 증가하게 되는지.. 궁굼합니다.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