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trymp의 이미지

linux kernel 소스코드에서 함수구문 중 모르는 것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static void __task_rq_unlock(struct rq *rq)
	__releases(rq->lock)
{
	raw_spin_unlock(&rq->lock);
}

위의 함수처럼 함수문 다음 가로열기 전에 __releases(rq->lock) 이게 무슨의미죠?

함수시작하기 전에 초기화 해주는 것인가요?

이렇게 쓰는 경우를 처음봐서 어떻게 해석해야하는지 모르겠습니다.

어떤의미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권순선의 이미지

실리콘 밸리 지역에 계신 회원분들 계신가요?

https://www.facebook.com/events/1968821253344724/permalink/1968937069999809/

제가 다음주에 그쪽으로 출장을 가게 되어서 몇몇 분들과 만나기로 했는데 기왕 하는김에 다른 분들도 좀더 초대해도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참가신청을 명시적으로 해주시고 페이지에서 업데이트되는 내용 간간히 확인 부탁드립니다.

그쪽 동네에 계신 분들 중에 시간 되시는 분들 계시면 편하게 들러 주세요~

msshinok의 이미지

[apt pkg server 관련]

ubuntu나 debian계열은 apt-get으로 프로그램들을 pkg형태로 손쉽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요.

물론, 디펜던시등의 이유로 설치용량이 마구마구 증가하는 단점이 있어서 예전에는 embedded linux에서
거의 사용을 안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램,낸드용량이 몇Giga단위로 올라가서, uboot/kernel porting후 ubuntu,debian rootfs을
설치하고, apt-get을 사용하여 package들을 설치하고, 프로그래밍하여 기능을 개발했습니다.

문제는 이후에 발생하는데요.

제품에 탑재된 rootfs의 바이너리가 아닌 소스를 구해서, 빌드하여 pkg server를 확보해야하는 문제가
생겼습니다.

물론 GPL에따라 소스코드는 github나 gitlab등을 사용하여 공개합니다.

현재 debian, raspbian등이 어떤 빌드시스템을 사용하는지에 대한 정보도 없구요.

debian pkg build부터 시작해야 하는건지?

조언부탁드려요.

joone의 이미지

The 2016 X.Org Developer's Conference (XDC2016)

https://www.x.org/wiki/Events/XDC2016/

발표 자료와 동영상이 모두 공개되었네요.

Windowing system integration (Wed):

adamjb의 이미지

python 2.7 PyQt4로 업무에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개발중에 문제가 생겼습니다

업무중에 측정장비에서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받아와서 GUI 화면에 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계속 띄우려고 하는데요
프로그래밍은 처음해보는거라 자꾸 막힙니다 ㅜ
python 2.7, PyQt4입니다.

함수1[edscall()] = 장비에서 데이터를 받아오는 명령어들
Slot이 5개가 있는데 5개 Slot을 다 받아와서
제가 필요한 부분만 파씽하여
slot1,slot2,slot3,slot4,slot5 라는 변수에 저장하도록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그 변수들을 str형으로 변환하였습니다.(Qlabel에 표현하기 위하여)

thinga3의 이미지

terminal에서의 질문입니다.

제가 이런 쪽으론 잘 몰라서 어떻게 찾아야 할지도 모르겠어서 질문을 올립니다.

제가 이번에 맥 os를 업데이트하면서 전에는 되던게 안되서 조금 불편합니다.

터미널 모드에서

Desktop Documents Downloads Pictures

mingihunui-MacBook-Air$ cd *ments

이런 식으로 입력하고 바로 탭을 누르면

mingihunui-MacBook-Air$ cd Documents

이렇게 자동완성이 됐는데 업데이트하면서 포맷을 했더니, 지금와선 이것을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어떻게 잘 모르는 말들로 인터넷에 찾아보니
git~ 어쩌고 나와있던데...
그 나온걸 해보니 대소문자 구분이나 자동완성(auto-completion?)이런 식으로 나오던데
사실 전 자동완성 보다는 단순히 위에 나온 것처럼 되길 바라고 있습니다.
혹시 아시는 분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konoki의 이미지

쉘 스크립트 mput후에

쉘스크립트로mput하고나서
mput이 정상적으로 들어갓는지 로그 만드는 방법이 어떻게 되나여?

불량청년의 이미지

getaddrinfo()에 ip주소 입력해도 되나요?

감자기 궁금한게 생겼습니다.

보통 domain으로 된 주소를 DNS를 이용하여 ip 주소 얻을때 getaddrinfo()를 쓰는데요.

ex)
http://[2001:232:1234:5678::222]/test/test/test.dat

지금 domain address 대신에 IPv6 주소를 이용하여 connect에 사용하면 Network is Unreachable(errno 101)이 발생합니다.

실제 getaddressinfo()에 입력되는 값은 2001:232:1234:5678::222

http://test-ipv6.com/test/test/test.dat 이렇게 입력하면 접속이 되구요.

지금까지 별생각없이 사용했는데 getaddrinfo에 Domain대신 ip address를 넣으면 안되는 건가요?

shint의 이미지

kgconf 2016 이 열리지 않네요.


한국 게임 개발자 컨퍼런스가 열리지 않고 있습니다. ㅠ_ㅠ...

clapmin의 이미지

합병정렬(merge sort) 시간 복잡도 질문드립니다.

합병정렬의 시간 복잡도가 n log n 일고 알고 있는데요.

log n 은 한번에 이해가 가는데, n이 이해가 안되네요.

책에는 예를 들어 크기가 8인 배열을 합병정렬하는데, 이걸 가장 작은 단계 그러니까

배열에 1개의 원소만 들어간 가장 작은 상황에서 두 배열을 합칠 때 최대 2개의 연산이 필요하고 4쌍이므로 2 * 8해서

최대 8번이 발생하고

배열 크기 2인 배열들 합칠 때는 최대 4번씩 * 2 해서 8번이고 ,....

해서 merge가 n복잡도 나온다는데, 전혀 이해가 안갑니다.

배열에 1개의 원소만 들어간 상황에서 크기가 1인 부분 배열 2개를 합병하는데 왜 최대 2개의 비교 연산이 필요한거죠? a 랑 b를 합치는데 '누가더 크냐?' 한번만 하면 되는거 아닌가요ㅑ??

ㅠㅠ 오밤중에 공부하다가 질문드립니다.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