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bwrw2347의 이미지

ERwin이나 DA#잘 아시는 분 계신가요?

DA#으로 다이어그램 만들고

sql로 바꾸고 싶은데 아무리 찾아봐도 안보이네요.

생초짜에게 도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lapmin의 이미지

int 와 unsigned의 차이

질문 1
제가 알기로는 둘다 4byte라고 알고 있는데, 어제 제가 누군가와 이야기를 하다가 int를 unsigned로 바꾸게 되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더니, 상대방이 하는말이 "unsigned int로 바꾸면 약~~~~~간 용량을 더먹기는 하지만...." 이라고 말했는데, 전 둘다 같은 크기라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닌가요?

질문 2
만약
int a = int_max; // int 최대값
int res = 0;

res = (a+ 1) / 2
라는 형태의 코드가 있는경우
저는 a + 1은 int가 저장 할 수 있는 값보다 크지만 /2연산 후에 res에 저장하기 때무네 overflow가 발생하지 않을거라고 생각했는데, a + 1 에서 바로 overflow가 난다고 하더군요..... 이부분도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 왜 overflow가 나는건지?
- 어떤 방식으로 이 상황을 방지하는지( unsigned int // casting... 등등)

rlatjrdnjs의 이미지

리눅스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call back 함수의 매개변수는 어떻게 결정되냐요?

hardkernel의 odroid xu3의 커널 코드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ina231이라는 sensor의 디바이스 드라이버 코드를 보고있는데 궁금한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parkon의 이미지

클래스에서 구조체를 멤버 변수로 갖는 경우

안녕하세요,

갑자기 뭔가 홀린 것처럼 헷갈리네요.
구조체를 클래스의 멤버 변수로 갖는 경우, 그 구조체가 변형이 될때마다
그 구조체를 소멸시킨 후, 새로운 구조체를 생성시키는 건가요 ?
즉 제 코드가

class MyClass {
// ...
private:
   TList fList;
};

이런식으로 되어 있고, 여기서 TList는 Cern에서 개발된 ROOT라는 프로그램에서 정의된 class인데
대충 std::list하고 비슷한 녀석입니다.
위처럼 했더니 이 클래스의 (저 fList에 연관되어 있는) 멤버 함수를 부를때마다 fList의 주소가
바뀌는 군요.

구조체를 멤버변수로 갖고 싶으면,
거의 무조건 아래처럼 포인터를 이용해서 클래스를 정의해야 하는 걸까요 ?

dahyoung91의 이미지

쟝고 파이썬 웹프로그래밍

안녕하세요, 점프투파이썬으로 파이썬 문법을 보고
'(Django로 배우는 쉽고 빠른 웹 개발)파이썬 웹프로그래밍'을 정독하려 하는 사람입니다.

머릿말에서 지은이가 '필자의 실습환경'을 제시했습니다.
* Django : 버전 1.7.4
* Python : 버전 2.7.5
* Linux : CentOS 7.0
* VirtualBox : 버전 4.3
* Windows : Windows8 (Intel PC)

저도 버추얼박스에 리눅스를 올리고 연습을 해야 할까요?
제일 처음 나온 예제도 그냥 윈도우7 상에서 인터프리터로 따라해 보니
urlparse, urllib2 모듈도 임포트가 안되네요.

그리고 전 파이썬도 3.5.1 버전이거든요.
책의 예제를 따라할 때 문제가 없는건가요?

trymp의 이미지

exe(PE)파일 같은 실행 바이너리에서 문자열 스트링을 추출 할 수 있나요?

리눅스 플랫폼에서 윈도우에서 사용되는 exe,dll 같은 실행 바이너리에

포함된 스트링(문자열)을 추출하기를 원합니다.

리눅스에서는 실행(elf) 파일형식을 strings 라는 tool 로 뽑아낼 수 있는데

이런방식으로 exe,dll 같은 파일의 문자열을 뽑아낼수 있는 툴이나 API 를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fydtkadl의 이미지

리눅스 커널에서 해시값 연산 중에 질문이 있습니다.

리눅스 커널에서 hash값을 구하려고 합니다.
리눅스 커널에서 제공하는 crypto API를 사용하여 파일의 해시값을 구하는 커널 모듈을 구현 중 입니다.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16861332/how-to-compute-sha1-of-an-array-in-linux-kernel
위의 링크의 글을 참고하여 구현 중
char *plaintext = "plaintext goes here";이 아닌
커널에서 vfs_read로 파일을 읽어서 읽은 값을 연산하려고하는데
일정 크기 이하의 파일은 해시값이 일정하지 않고 계속 바뀌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무엇이 원인인지 알고싶습니다.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