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선배님들 일단 intelliJ를 이제야 입문했네요.
Maven에서 SpringMVC + SpringBoot 체계로 개발을 하려하는데,
community 버전은 spring 프레임워크가 없나요?
구글링해서 보이는 자료들은 다들 Spring 이니셜라이저? 이런것도 탭에 있고 한데
저는 스프링관련된 탭이 안보이네요..
무료버전이어서 그런건지 플러그인 설치가 따로 필요한건지... 무지해서 죄송합니다
SpringBoot는 퀵스타터로 pom.xml이랑 스트럭쳐 직접 만들어서 실행해서 Hello 예제 찍히는건 확인했는데요,
혹시 intelliJ에서 스프링 사용시 따로 더 설치해야되는게 있는건가요?
무료버전이라 지원이 안되는거라면,
SpringMVC 기본 샘플과 똑같은 구조를 만들고 SpringBoot 관련 디펜던시를 추가시키면 되는건가요??
gvim으로 작업을 한지 약 한달 되었습니다.
제가 분석하는 C 코드에서 함수의 return type을 FUNC(type,s) 로 사용하고
헤더 파일에 #define FUNC(type, memclass) type 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 부분 때문에 gvim의 ctags에서 함수 연결이 안되는데
혹시 gvim에서 어떻게 설정하면 되는지요?
PS.
source insight에서는 token macro를 이용하여 FUNC(type, memclass)을 type 으로 변경가능한데요
혹시 gvim에서도 이런 방법이 없을까요?
저는 개발 경험의 거의 없는 사람인데요. 주로 자바 때문에 intellij 를 쓰고 있는 사람입니다.
비주얼 스튜디오만의 장점이 뭔가요? 사람들이 강력하다고 하는데 어떤 점에서 강력한지 궁금합니다.
그냥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개발에서 비주얼 스튜디오가 독보적이라서 사람들이 그렇게 느끼는 건가요?
여담:
제가 느낀 언어 별 특성
C : 정말 간결하다. 근데 만들어진 api 나 유틸들이 상대적으로 떨어(?)져서 스스로 만들어야 된다
자바 : C 짝퉁 같은 느낌이 난다. 근데 문서는 잘 되있다
파이썬 : 기본으로 제공 되는 기능은 많다. 근데 문서가 자바보다는 좀 난해(?) 하게 되어있어서 헤맨다.
Linux Begining Programming을 배우는 도중에 해석하기 힘든 용어들이 나와서..
한 번 여쭙고자 합니다..
Terminals 부분을 보면서.. Canonical Mode라는 말이 자주 나오더라고요.
반대의 의미로 Noncanonical이라는 의미도 나오는데
사전적 의미로는 standard와 비슷한 의미가 있네요.
리눅스 원서를 읽으면서 맥락을 어떻게 읽어나가야 할 지 고민입니다. 간간히 등장하는 단어인데
왠지 제가 생각하는 의미와 조금 다른 듯 해서 한 번 여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