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webnari의 이미지

Linux UART IRQ 사용 관련

안녕하세요.

우분투 18.04를 사용중인데 8 Port Serial Port Card(PCI-ex)를 총 4장 설치하여 시스템에서 총 32개의 UART SerialPort를 사용하려고 하고있습니다.

그런데 시스템에 올라온 UART 장치의 IRQ를 보면 1,2,3번의 슬롯은 HW IRQ가 잘 할당되었지만 나머지 4번 슬롯의 IRQ는 1번과 공유하도록 구성이 되있습니다.

테스트를 하는 과정에서 IRQ 공유에 따른 UART Overrun이 의심되고 있는데, 시스템에 추가적으로 사용가능한 IRQ를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mrx@Google의 이미지

c언어 literal의 저장 위치 질문입니다

int main()
{
char* str="123";
char str1[]="2323";
}

123은 read-only data로서 .rodata영역에 저장되고

2323은 stack에 저장되는게 맞나요?

str에 저장되는건 .rodata영역 내에서 '1'의 주소값이고요. str1에는 stack 내의 '2'의 주소값이고요.

kysu5095의 이미지

시그널 처리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며칠전 선배님들의 도움으로 하나의 관문을 통과하였는데
또 다시 난관에 부딫히게된 초보입니다ㅠㅠ

질문 드리겠습니다
먼저 현재 수행중인 과제조건은 clone, kill, signal관련 함수로만 쓰레드를 관리해야 한다입니다.

1. 제가 시그널을 이해한 바로는
1) 시그널은 모든 쓰레드에 전달된다.
2) 시그널 함수가 호출되면 그 시그널은 해제된다 입니다.

reorigang의 이미지

c언어에서 mktime 함수가 -1을 리턴

mktime함수를 사용해서

현재 시간을 unixtime으로 환산하여 사용하려하는데

값이 잘 나오다가 종종 -1이 리턴되더군요....

-1이 리턴되는 경우를 찾아보니

1970년 1월 1일 00:00 에서 2038년 1월 19일 03:14:08 사이에 없는

시간대를 입력하면 -1이 리턴된다는거 같은데

이거 외에 다른 경우도 있을까요?

세벌의 이미지

새 것이 새 것이 아니었네요.

제목에 New 붙은 게 있고 비슷한 제목으로 New 안 붙은 게 있기에, New 붙은 게 새 건 줄 알았는데...
아니었네요...
제목에 속지 마세요...
https://sebuls.blogspot.com/2020/04/new-is-not-new.html

hongachi7109의 이미지

서버 클라이언트 통신에서 read, write 함수 사용에 관한 질문

서버 클라이언트 통신에 대해서 배우고 있는 학생입니다.
예제로 연습해보고 있는데 클라이언트 쪽에서 사용하는 write()함수가 예제에 적혀있는대로 작성하면 값이 다르게 나오더군요.

예제에는
write( client_socket, argv[1], strlen( argv[1])+1);
로 나와있는데, 실제로 서버쪽에서 메세지를 수신받으면 한글자가 잘려서 들어옵니다.
(ex. 클라이언트 쪽에서 message_send 전송 -> 서버에서는 message_sen으로 수신, 글자수도 12가 아닌 11로 받음)

서버 쪽에서는
read ( client_socket, buff_rcv, BUFF_SIZE);
를 통해 메세지를 전송 받습니다. (BUFF_SIZE는 1024로 고정)

skycloud의 이미지

명령어 연산 과정 궁금증

메모리에서 명령어를 가져와서 해석하고 명령을 진행하고 다시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게 기본 CPU의 명령어 처리 방식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필요한 값이 어디에 저장되어 있는지 메모리에 있는 명령어가 어떻게 알죠?

예를 들어 처음 명령어가 아래라고 가정하면

f = (g + h) - (i + j);
add $t0, $s1, $s2
add $t1, $s3, $s4
한 다음에
sub $s0, $t0, $t1
가 진행되어야 하는데 메모리에 있던 sub 명령어는 t0,와 t1에 값이 저장되어 있는 것을 메모리에서 어떻게 아는 것인가요?
이미 정해져 있나요? 정해져 있다면 그 정해진 정보는 어디에 있고 어떻게 해석하나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Gentoo 설치를 통해 보는 리눅스 시스템의 기본 개념들 3 - 리눅스가 설치된 상태

Forums: 

설치

리눅스 설치

어떻게 설치하느냐, 를 생각하지 말고 설치된 상태란 뭐냐를 생각해 봅시다.

혹시 윈도우즈를 하드에 카피해서 다른 머신에 꽂으면 안 되나, 생각해 보신 적 있으신지요? 대부분 안 되셨을 겁니다. 그런데 그게 그렇게 설치된 상태와 거리가 멀지 않습니다. 약간의 수정/작업이 필요하죠.

기본적으로는 제대로 작동하는 리눅스 시스템의 C 드라이브에 해당하는 내용을 카피한 다음, 어떤 수정을 가하는 게 대체로 Gentoo를 설치하는 방식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아주 거칠게 말해 C 드라이브에 해당하는 걸 리눅스에선 루트 파티션이라고 부릅니다.

하드 복사해서 꽂으면 안 되는 이유들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하드 복사 이외에 필요한 것들

우선 리눅스 파티션의 파일들을 복사할 경우--제가 알기로 대부분의 설치 디스크는 파일 복사를 씁니다--, 부트 로더는 복사는 보장되지 않습니다.

mrx@Google의 이미지

데이터 베이스 relational algebra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데이터베이스도 여기 물어봐도 되는건진 잘모르겠는데 물어볼데가 없어서 여기라도 혹시나 해서 올려봅니다.

사진 속 위 아래 두 표현이 같은걸 나타내는거죠? 다만 속도 차이만 있을 뿐이고요.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