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emptynote의 이미지

문서에 관한 좋은 글 소개합니다.

"문서화에 대해 아무도 말해주지 않는 것들" 라는 좋은 글 소개합니다.

번역글이구요. 원문 제목은 "What nobody tells you about documentation"

내가 만든 오픈 소스 홍보를 어떻게 해야 하나?

이게 고민인데요.

오픈 소스라고 소스만 개발해서는 끝이 아닌데

이런 이야기를 누가 해주는 곳이 없다는것이 아쉽습니다.

-------
"문서화에 대해 아무도 말해주지 않는 것들" 번역글 참고 주소 : http://blog.weirdx.io/post/60414

원문 주소 : https://www.divio.com/blog/documentation/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외부에서 bash script에 인수 전달하기

생명과학연구하는 사람입니다.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한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파이프라인으로 process.sh 라는 bash script가 있다고 하겠습니다.

revengetar의 이미지

인터넷강의하시거나 인터넷강의듣는분중에 관심있으시면 들러주세요.

Forums: 

인터넷강의하시거나 인터넷강의듣는분중에 관심있으시면 들러주세요.
코딩 프로그래밍 인강 인터넷강의 사이트 추천드립니다!
https://proingang.com/
https://proingang.com/

lalupo20의 이미지

개발 한 1년 쉬었더니...

C++ 문법이 가물가물하네요;

만들고 싶은 프로그램이 생겼는데

개발 시작하기전에 문법부터 다시 봐야할거 같네요;

dasi의 이미지

C 언어 펀더멘탈 201, 891페이지 수정

C 언어 펀더멘탈 초판을 보고 있는데 201페이지랑 891페이지의 틀린 부분이 한빛미디어 홈페이지에 제대로 나와 있지 않습니다. 혹시 수정된 모습이 어떤 것인지 아시는 분 없으신가요?

emptynote의 이미지

웹에서 IE 가 버림 받는 이유를 알듯하군요.

웹 프론트 개발에서 모바일과 PC 라는 해상도가 전혀 다른 매체를 지원하고자 할때

정말로 축복같은 API 가 있습니다. 바로 부트스트랩입니다.

이것을 "반응형 웹" 이라고 부르는데요.

PC 에서 화면을 이리저리 바꿀 경우 그것에 맞추어서 화면이 바꾸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을 이용하여 지금 커뮤니티 사이트 개발중인데요.

2번 이상 클릭 즉 캐쉬 잡힌 이후로는 크롬으로 할때에는 깜빡임이 별로 없는데

IE 에서 보니깐 깜빡임이 심하네요.

그래서 엣지로 해 보니 IE 보다 상대적으로 덜 하네요.

개발하는 제 입장에서는 IE 가 깜박이는것은 최신 기술 미지원으로 다가옵니다.

그런데 저 혼자만 이렇게 생각하는것이 아니고 웹 개발자들 다 그리 생각하는듯 해요.

그러나 저러나 부트스트랩4까지 나온 상태에서

IE8 지원을 한다는 부트스트랩3로 개발중인데 잘한 선택인지 모르겠습니다.

joone의 이미지

WINE 프로젝트에서 Direct3D를 담당한 개발자가 사고로 운명을 달리했군요

Wine 5.0 Released

January 21, 2020

The Wine team is proud to announce that the stable release Wine 5.0 is now available.

This release represents a year of development effort and over 7,400 individual changes. It contains a large number of improvements that are listed in the release notes below. The main highlights are:

zasxer의 이미지

char device driver 질문.

안녕하세요.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공부하고 있는 직장인입니다.

리눅스 디바이스 드라이버 책을 따라해보고 있는데,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 질문을 올립니다.

dev = open(DEVICE_FILENAME, O_RDWR|O_NDELAY);
wirte(dev, 0x40, 0x41);

응용 프로그램에서 DEVICE_FILENAME에 해당하는 inode와 file 구조체를 찾고 write를 하는 구조로 이해를 햇는데요. 쓰는 거는 쓰는건데 dev의 0x40의 주소에 0x41을 쓰는 거라는 설명으로 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궁금한게 두가지 인데요.

1. 0x40은 물리주소인가? 가상 주소인가?
2. 0x40말고 엄청 큰 수를 입력을 해도 해당 영역에 write가 되는가?(가상주소에 한에서)
3. module을 등록하는데 module의 크기나 위치는 도대체 어디에 등록되는 걸까요?
단순히 register(CALL_DEV_MAJOR, CALL_DEV_NAME, &call_fops); 로 등록만 하는데요...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