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eBPF (Burkeley Packet Filter)

eBPF bytecode가 커널에 적재되기 전에 verifier를 통해 검증을 합니다.
검증하는 항목중에는 "무한 loop를 도는지"에 대한 것도 검사하는 걸로 알고있는데
무한loop 탐지 알고리즘은 만드는게 불가능하다고 알고있습니다. 휴리스틱을 섞어서 탐지하나요, 다른 트릭을 섞어서 탐지하나요??

trymp의 이미지

insmod 시에 DEFINE_PER_CPU 사용시 alloc fail 이 나는 이유?


linux kernel 의 모듈에서 insmod 시에

내부에 percpu memory 가 필요해서 DEFINE_PER_CPU 를 이용해서

사이즈가 큰 메모리를 잡을때 alloc 이 실패해서 insmod 가 fail 이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run time 중에 alloc_percpu() 이용해서 할당하면 큰 size 의 메모리 할당도 성공하는데요.

왜 DEFINE_PER_CPU() 를 이용해서 per_cpu memory 를 사용하면 insmod 시 실패나는지 모르겠습니다.

아시는 분 조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 명령어나 함수뒤에 숫자 붙는건 뭔가요?

예를 들어
"stat(2) 계열함수를 사용하면 해당 파일의 UID를 얻어올 수 있다" 에서 나오는 "(2)" 라던지,
"getpwuid(3)를 이용하면 해당 uid에 대한 유저이름도 얻어올 수 있다" 에서 나오는 "(3)"이라던지,

혹시 인자 갯수?!?!!?

lalupo20의 이미지

역시 스택오버플로우...

만들고 있는 앱이 있는데

BaseAdapter 상속 받은 클래스에서 getview 함수가 여러번 호출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검색으로도 해결이 어려울거 같은 문제라 그동안 놔두고 있었는데 오늘 찾아보니까 코드 한줄 바꾸는걸로 깨끗하게 해결되네요.

검색을 생활화 합시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 make질문

이제 막 make명령어 공부중이어서 간단한 것부터 하고있습니다. 다중 타겟 방법을 이용할려고 하는데 계속 오류가 발생합니다. 간단한 것인데 벌써 막히내여.
오류내용
main.o: In function `main':
(경로)main.c:7: undefined reference to `test2'
collect2: error: ld returned 1 exit status
make: *** [test1] 오류 1

Makefile파일 내용
.SUFFIXES : .c .o
CC = gcc
CFLAGS = -g

OBJS1 = main.o test1.o
OBJS2 = main.o test2.o

SRCS = $(OBJS1:.o=.c) $(OBJS2:.o=.c)

all : test1 test2

test1 : $(OBJS1)
$(CC) -o test1 $(OBJS1)

isanghan의 이미지

Git 소스 관리에 도움을 받고 싶어 올립니다

상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1..Net기반의 웹개발

2. 소스관리는 GIT을 이용

3. Git브런치 따라서 테스트와 본서버 소스를 가름
(빌드는 Jenkins를 이용)

4. 현재까지 로직차이가 없어 서버별 소스 관리는 없었음
(앞으로도 없을 걸로 보고 있음)

5. 이번에 컨피그를 조절 할 일이 있어
서버별로 컨피그파일 관리가 생김

6. 복수 브런치가 있지만 컨피그 파일 이외엔
전부 일치 할예정입니다.

7. 자주 수정하기에 서버별로 수정 후 컨피그 파일만
또 바꿔주는게 너무 번거롭고..
반대로 컨피그 이외의 파일만 마지 하는 방법은
Git이 익숙하지 않아서도 있고 아무리 구글링 해도 안나오고
지금 좋은 아이디어를 고민중인데 담이 안나오네요

혹시 좋은 해결책이 있을까요?

lalupo20의 이미지

kldp 회원분들의 조언을 무시하고...

메인테이블 기본키를 핸드폰번호로 했는데

문제가 생겼네요.

다른 사람이지만 동일한 핸드폰번호로 등록되어 있는 사람들이 있음...

ㅠㅠ

앞으로는 조언 잘 참고하겠습니다.

joone의 이미지

붉은별OS에서 남한 사람들의 흔적들

https://changwoo.xyz/hacks/2017/12/19/things-from-redstar-os.html

창우님이 직접 붉은별을 설치했나봅니다.

남북 공동 개발이 된건가요? :-)

skycloud의 이미지

유닉스 - 프로세스 테이블 질문

프로세스 테이블이 커널 영역안에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프로세스가 생성되면 테이블에 entry가 추가되며 entry에는 file descriptor table이 존재하여 open file들에 대한 것들이 있어서 open한 file들을 알 수 있는데
제가 알기로는 file descriptor table은 user area에 있다고 생각했는데 아닌가요?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