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dozeelf의 이미지

Python 클레스 사용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아래처럼 사용했을때 클레스에서 사용하는 statusBar의 내용을 바꿀수 있는 방법을 알고싶습니다.
testButton을 누르면 정상적으로 statusBar에 testStatus가 디스플레이됩니다.
callButton을 누르면 statusBar에 내용이 갱신되지 않습니다.
어떻게 하면 갱신이 될까요?

dlsxjsptvmfhxhzhf의 이미지

공기업이나 공공기관에서 일하시는 용역 개발업체분들..


저도 그런 사람들처럼 개발을 하고 싶은데..

그런쪽으로 가려면 어떻게 취업을 준비해야 하나요?

공기업 인턴을 하면서 공기업의 전산팀보다는 대다수가 외주나 용역업체에 매달리더군요..

공기업 전산직에 입사하려면 엄청난 스펙을 갖춰야 하고, 또 그 중에서 시스템 유지보수라도 전산직 직원분들이 어느정도 할 줄 알았더니 이건 뭐.. 인턴하면서 옆에서 보니까 아예 코딩한줄 못하고, 그냥 공기업에 상주하고 있는 외주팀에게 다들 맡기는 형식이더라구요..

제가 간곳만 그런지는 모르겠지만요.. 그래서 저도 단순히 전산직보다는 실질적으로 코딩을 통해서 제 몫을 다하고 싶어서 공기업이나 공공기관의 개발 외주용역팀에 들어가고 싶은데, 이렇게 취직을 하려면 어떻게 이력서를 써야 하나요?

AustinKim의 이미지

[리눅스커널][시스템콜] strace로 시스템콜 디버깅하기

Forums: 

리눅스에서는 시스템콜 디버깅을 위한 strace라는 훌륭한 툴을 제공합니다.

유저 프로그램이 실행할 때 어떤 시스템콜을 실행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strace 이란 툴은 리눅스에서 제공하는 강력한 시스템 트레이싱 기능입니다. 물론 라즈베리파이에서도 기본으로 설치되어 있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strace는 다음 기능을 제공합니다.
1. glibc(GNU C) 라이브러리에서 시스템 콜을 호출하는 함수 이름 출력
2. 시스템콜 실행 후 반환값

이 기능을 쓰기 위해 우선 다음 코드를 시스템 프로그램으로 입력해 봅시다.

esrevinu의 이미지

SNI 차단 우회 프로그램 만들어 봤어요.

SNI 차단 우회하는 프로그램이 윈도우즈나 안드로이드에는 있는데 리눅스에는 없는 게
자존심 상해서 만들어 봤어요.
만들고 보니 코드가 얼마 안 되네요. libnetfilter_queue 예시 소스에 패킷
쪼개는 코드만 추가했는데 처음 써 보는 거라 힘들었어요. libnetfilter_queue 문서가
난해하게 되어 있네요. 그리고 tcp payload와 tcp payload len를 얻어오는 함수가
가리키는 payload 영역이 서로 다르네요. 라이브러리가 별로인 것 같아요. 하나의 패킷을
나눠서 두 개의 패킷으로 삽입시킬 수도 없어서 raw socket을 이용했어요.

https://gitlab.com/esrevinu/split_client_hello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 - rm -fr sys, dev, proc

제 컴퓨터는 UEFI 모드로 리눅스만 설치되어 있습니다. 동료가 자기 파일 시스템을 tar 해서 보냈습니다. 저는 이 안에 chroot 해서 들어간 다음 어떤 테스트를 하게 되어 있었구요. 동료의 tar 파일 안에 sys, dev, proc이 있었습니다. 배포판도 다르고 머신도 다르니 주저없이 지웠습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는 제 proc, dev, sys를 tar를 풀어놓은 가상의 mock env 밑으로 마운트 하고, 실수로 거기에다 대고 rm -fr을 했습니다. --;;;

편의상 제 동료의 파일이 전부 /mnt/gentoo 밑에 풀려져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제가 proc, dev, sys를 거기 마운트 하기 위해 쓴 스크립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hic7649의 이미지

맥 OS 초보 사용자 인데요, 왜 앱 단축키가 작동을 안할까요?

시스템 환경설정 키는거 자체를 단축키로 지정하고 싶어서

시스템 환경 설정 → 키보드 → 단축키 → 앱 단축키 → 시스템 환경설정 단축키 설정 (opt+cmd+,) 로 했는데 아무리 눌러도 시스템 환경설정 창이 켜지지 않습니다.

맥 고수분들 도와주세요 ㅠ

-- 해결했습니다. 정확히 써야하는거군요...

-@Naver의 이미지

MFC 질문입니다.

리포트를 보고 코딩을 해야하는데
막힌 부분이 여기서 이상이 없을 경우 추가버튼을 누르면 입력한 값이 모두 나와하고 이상이 있으면 에러가 떠야하는데 이상이 있어도 값이 출력이 됩니다. 그리고 닫기 버튼을 누르면 출력된 값이 메세지박스로 다 떠야하는데 하나만 뜹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ㅠㅜ
그리고 ExtreamToolkit도 씁니다.

ykw1101의 이미지

여기로 와서 죄송하지만 가상머신 돌릴 수 있는 노트북 질문 해도될까요

제가 이번에 노트북을 새로살건데요, 하고 싶은 작업 중에 가상머신 하나는 메모리 2~4, 하나는 1로 두개를 동시에 돌리는 작업을 해야합니다. 커널 빌드하고 모듈도 빌드하는 작업을 해야합니다.
물론 항상 가상머신을 켜놓을 것은 아니지만 어느정도 리눅스 공부도하고 작업도 해보려고 합니다. 지금 노트북을 고르는데 램이 가장 고민입니다. 8기가로도 충분할까요 아니면 12혹은 16기가를 써야할까요?
8기가 모델이 더 맘에 들어서요.. 16기가가 필요하면 어쩔 수 없지만

ykw1101의 이미지

가상머신 돌릴 노트북 램이 얼마나 필요할까요?

제가 이번에 노트북을 새로살건데요, 하고 싶은 작업 중에 가상머신 하나는 메모리 2~4, 하나는 1로 두개를 동시에 돌리는 작업을 해야합니다. 커널 빌드하고 모듈도 빌드하는 작업을 해야합니다. 물론 항상 가상머신을 켜놓을 것은 아니지만 어느정도 리눅스 공부도하고 작업도 해보려고 합니다. 지금 노트북을 고르는데 램이 가장 고민입니다. 8기가로도 충분할까요 아니면 12혹은 16기가를 써야할까요?

sbk9803의 이미지

제 아이피주소 외부접속이 안됩니다.

지금까지 한일
1.가상머신 설치
2.centos7 다운로드후 사용
3.nginx 다운로드해서 가상호스트사용 ip주소:8001/a.txt입력시 지정폴더안에있는 a.txt가 나오도록 설정
4.php다운로드후 nginx와 연동
5.mariadb와 pure-ftpd다운로드하고 서로 연동해서 site_1,site_2,site_3사용자와 각각 비밀번호등록
6.방화벽 selinux 전부 끔
위에적은것들을 실행하고나서 제 아이피:8001 해서 원하는 페이지가나왔습니다. 그래서 이제 외부접속을 하려고하는데 안되서 해결방법을 찾다가 dmz 설정을 하라더군요. 그래서

외부접속을 위해서 한일
1.dmz설정 접속허용으로 변경
2./etc/nginx/nginx.conf 파일에서 listen부분을 *:80으로 변경
위의것들을 해봤는데 핸드폰 와이파이로는 접속이되지만 와이파이를끄고 접속했을때는 다른사이트는 접속이되지만 제 아이피 접속은안됩니다. 문제점이 무엇인지 아신다면 알려주세요!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