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isn't that hard
라는 밈이 있을 정도로 포인터와 배열이 엉켜 있는 변수를 해석하는 게 굉장히 어려웠는데
결국 간단하게 몇 가지만 기억하면 수월해지더라구요. (하지만 여전히 헷갈리긴 합니다)
기본 자료형은 그대로 해석하면 되니까 어렵지 않고
함수, 배열, 포인터는 식별자 뒤에 뭐가 자꾸 붙으니까 헷갈리는 것 같습니다.
일단 식별자가 함수일 때, 배열일 때, 주소(포인터)일 때 각각 알아둬야 할 점은
함수 : 매개변수의 개수와 각각의 자료형, 반환값의 자료형
배열 : 원소 개수, 원소 자료형 (여기서는 원소 개수가 그렇게 중요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주소 : 그 주소에 있는 값의 자료형
그리고 연산자 우선순위는 일단 큰 틀로 볼 때 이렇게 나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