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gurugio의 이미지

7년 독일 생활을 마치고 귀국했습니다.

오늘 우연히 어떤 분께서 제 아이디를 알아보셔서 생각난김에 인사드리려고 글을 올립니다.

정말 운좋게 독일에 취업할 기회가 생겨서 2015년에 베를린으로 이사를 갔었는데요
사정이 생겨서 재작년 귀국을 했습니다.
아직도 아침에 깨면 여기가 어디지 싶을 때가 있어요.

정말 운이 좋았다고밖에 말할수가 없는게 제가 간 회사가 자체적으로 커널 코드도 수정하고
rtrs/rnbd라는 드라이버도 만들어서 커널에 올리고하는 자체 개발이 많은 회사라서 좋은 경험을 많이 했습니다.
개발도 많이 하고 실력좋고 친절한 사람들도 많이 만났고
독일 회사 자체도 참 좋더라고요. 아프면 마음편하게 쉴수있고 야근도 없고요.

한국오면서는 나이가 있다보니 개발 포지션을 찾지 못했어요.
서류 통과도 잘 안되서 건너건너 물어봤더니 역시 나이가 제일 문제더라고요.
결국 인프라관리하고 프로젝트 리드하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하고 포기하고 머리카락도 포기하고 일하고있어요.

허대건@Google의 이미지

억울한 상황이 생겨 전문가님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상황 설명: VPN을 통해 SSH 서버에 접속한 상태에서, VPN 사용 로그에 따르면 첫 번째 세션의 시작 시간은 2020-12-18 22:40:28이고 종료 시간은 2020-12-18 23:02:24입니다. 다음 세션은 2020-12-19 00:40:11에 시작하여 2020-12-19 00:52:32에 종료되었습니다. 사용자의 실제 IP는 111.118.29.66이고, VPN을 통해 할당받은 IP는 183.111.73.199입니다.

문제 상황: VPN이 종료된 후에도 SSH 서버 접속 로그에는 VPN을 통해 할당받은 IP(183.111.73.199)로의 접속이 계속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VPN이 종료된 시점(2020-12-18 23:02:24)부터 다음 VPN 세션 시작 전까지(2020-12-19 00:40:11), 심지어 2020-12-19 01:02:20까지 접속이 유지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문의 내용 요약:

phyljh의 이미지

linux Energy Aware Scheduling에서 PELT와 WALT에 대해 설명좀 해주세요

Linux 5.0 커널에 새로 추가된 Energy Aware Scheduling에 대해 공부하다가
PELT와 WALT에 막혀서 진도를 못나가고 있습니다.

EAS는 타스크를 CPU에 할당하려 할때 고성능/저성능 코어중에 어디에 할당하는게 가장 전력소모가 작은지를 고려하는 스케줄링 방식이고
그 할당하기 위한 정보를 각 태스크별로 수집하는데 그 방법에 두가지(PELT/WALT)가 있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근데 PELT와 WALT가 이해가 안되네요.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lfs의 이미지

서브넷 마스크 물고기 잡는 방법

Forums: 


네크워크를 공부하는데 있어서 서브넷 마스크를 이해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라고 주위 사람이 말했다. 그런데 실상 제가
서브넷 마스크를 공부했는데 문제는 단하나 인문학을 공부 못
해서 책을 못보는 거라 결론을 내 나름다래로 지었다.

어떤 사람은 이렇게 말할수가 있다. "기술 문서를 보는데
왠 인문학이냐고?" 인문학 공부를 않하는 사람은 아무리 책을
많이 읽는다하더라도 그 책의 저자의 마음을 읽지 못한다는 것
이다. 그래서 책 내용을 독파하지 못하고 어렵다고 불평만
내놓게 돼는것이다. 그런즉 서브넷 마스크를 공부할려면 그리
고 앞으로 컴퓨터 공부를 열심히 할 사람이라면 인문학 공부
를 하면서 기술 문서를 보았으면 한다.

다시말하지만 낚시를 할때 고기를 주는것이 아니라 낚시 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는거라 너무 불만을 않가졌으면 한다.(인문학
공부는 꼭 하자)

aspire1019의 이미지

로컬 계정에서 intel c compiler 설치 방법

안녕하세요. 가입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신입입니다.
인텔 c 컴파일러를 로컬 계정에 설치하는 방법을 몰라 질문 드립니다.

일단 /usr 에는 이미 intel compiler가 깔려있습니다.
다만 이것이 구 버전이라, 새로 나온 프로그램들을 빌드업 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껴
새로운 version의 intel c compiler를 설치하려고 합니다.
하지만 직접 다운로드를 받으려니 라이센스가 필요하다고 해서 설치에 애를 먹고 있습니다.
그래서 /usr에 있는 구 버전을 로컬 계정으로 가져온 뒤 업데이트를 진행하려고 하는데 이게 쉽지 않습니다...
혹시 관련된 자료나 다른 해결법이 있으신 분 있으면 도와주세요.

세 줄 요약.
1. intel 구 버전이 이미 /usr에 있음.
2. 하지만 /usr에 있는 intel 구 버전은 건들면 안되어서 구 버전을 가져와 새로운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해야 함.
3. 방법을 몰라 애를 먹고 있음..

오지훈@Google의 이미지

되게 초보적인 질문입니다만 C++ 문법 끝나면 무엇을 보통 보시나요?

C++ 문법 끝나고 나면 레퍼런스를 보시나요? 아님 STL을 보시나요? 이제 입문 단계 끝났는데 책이나 자료는 뭐를 봐야하죠? 목표 수준은 중급 이상으로 올리고 싶습니다.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joone의 이미지

리눅스 커널에서 ReiserFS 지원 중단에 대한 한스 라이저의 입장

아시다시피, ReiserFS에서 리눅스 커널에서 제거되었는데,
https://arstechnica.com/gadgets/2023/08/the-torrid-saga-of-reiserfs-nears-its-end-with-obsolete-label-in-linux-kernel/

그에 대한 개발자 본인의 입장문이 공개되었습니다.

자세한 것은 아래 사이트에 요약이 있습니다.
https://news.hada.io/topic?id=12933

parkon의 이미지

C++에서 getter 이름에 대한 뉘앙스 차이

ㄴ안녕하세요,

사소하다면 한없이 사소한 문제인데요,

어떤 class에서 여러 변수들에 대해 getter/setter들이 있고
setter들은
SetName(name), SetValue(value) 등등 Set으로 시작하기로 했을 때
getter들은
1. Name(), Value(), Size(), XXX(), 이런 형식하고,
2. GetName(), GetValue(), GetSize(), GetXXX(), 이런 형식이 있을텐데

이 둘의 뉘앙스 차이가 있으려나요?

질문을 다시 말해 이 두 방식을 혼용한다면, 어느 경우에 1번을, 어느 경우에 2번을 쓰면 좋을까요?

한편으론 당연히 존재하는 건 1번, 있을수도 없을수도 있는건 2번,
아님 자주 쓰이는 함수는 1번, 어쩌다 한번씩 쓰이는 건 2번,
아님 setter가 있는건 2번, 없는건 1번,
아님 완전 작성자 맘대로,
그것도 아님 제가 모르는 뭔가 일것 같은데,

foruses의 이미지

conda 로 여러 환경 모두 activate 할 수 있나요?

conda env list
# conda environments:
#
base * /home/user/miniconda3
aaa /home/user/miniconda3/envs/aaa
bbb /home/user/miniconda3/envs/bbb
ccc /home/user/miniconda3/envs/ccc
ddd /home/user/miniconda3/envs/ddd

이렇게 프로그램 aaa,bbb,ccc,ddd를 설치 했는데요,
설치한 프로그램을 모두 activate 할 수도 있나요?

쉘로 job srcipt를 만들어서 필요에 따라 위 프로그램들을 실행시켜가면서 작업을 실행 중인데,
개별적으로 매번 activate 하고, deactivate 하는건 너무 번거로워서요.

WATO x64@Google의 이미지

cmake로 *.sln 빌드

Cmake로 빌드 시 아래 매시지 해결해주세요.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