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wltjd666의 이미지

리눅스 가상머신과 WSL의 차이, 도커?

안녕하세요. 요즘 리눅스 환경을 설정하려고 이것 저것 알아보고 있는데요.
너무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 드려요.

리눅스를 설치하는 방법은 제가 이해한 바로는 이렇습니다.

1. 컴퓨터 자체에 운영체제 설치(멀티 OS)
2. 가상머신으로 리눅스 구동하기
3. 윈도우 WSL2로 리눅스 사용하기..

이렇게 세가지 정도 알고 있고, 1번과 2번은 확실하게 이해했고, 2번은 직접 해보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3번 WSL2가 조금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어요.

1. 여기서 WSL은 리눅스를 구동할 수 있는 가상머신이라고 볼 수 있나요?
2. 가상머신이라고 볼 수 있다면, 2번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요? 왜 메모리 측면에서 더 좋나요?

3. 우분투 터미널을 사용하려면 무조건 WSL과 연동되어야 하는 건가요?
4. 도커를 사용하는 이유를 잘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컴퓨터 메모리를 아끼기 위함인가요?

tamatama의 이미지

boost 의 asio 사용시 네임스페이스 문제 (c++, visual sutdio 2017 community)

visual sutdio 2017 community을 사용하고 있으며

boost의 asio 를 이용해서 소켓통신 프로그램을 만드려고 합니다.

boost를 설치하고 프로젝트에 디렉터리 포함까지 다하고

샘플코드등을 받아서 확인하는데 컴파일시에 네임스페이스 에러 발생하네요..

using boost::asio; 

까지는 문제 없으나

skyinfo34의 이미지

Ubuntu 18.04 DHCP server 관련 (client가 remote에 있는 환경)

안녕하세요.
Ubuntu 18.04 에서 DHCP server 를 구동하려 합니다.
그런데, direct network이 아니라, remote network 환경입니다.
따라서, 서버와 client 사이에 relay agent가 있는 구성입니다.

DHCP server ----------- DHCP Relay Agent------------- DHCP client
(10.1.1.1/24) (10.1.1.2/24) (10.100.100.1/24) (10.100.100.0/24)
(10.200.200.1/24) (10.200.200.0/24)

sunnybegood의 이미지

[질문]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연결 개념 부탁..

안녕하세요.

MFC 로 프로그램 만들고 외부에서 유선이던 무선이던 장치로 신호를 받고 싶은데.

개념이 부족해서 도움 부탁드리고자 이렇게 질문 올려 봅니다.

소프트웨어 : 컴퓨터 외부의 장치(?) 에서 (유선 무선 상관없음) 신호를 받아서 화면처리 한다.

하드웨어 : 단순한 여러개의 버튼 또는 스위치 정도의 신호를 컴퓨터 내부의

             프로그램에게 전달할수 있는 장치(?).

눌려졌다나 켜졌다 꺼졌다 정도의 신호를 컴퓨터로 보내면 되고 프로그램에서 신호를 받고  

신호에 따라 화면처리 되게 하는 것이 목표 이고요..

요약하면 컴퓨터 프로그램에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서 퀴즈프로그램에서 사람들이 버튼 

눌르면 누가 눌렀는지 알수 있게되는 정도 수준이면 됩니다.

이런 하드웨어 버튼 장치를 파는 곳이 있는지 아니면 만들어야 되는지. TCP/IP 를 이용해야 되는지 

RS-232C 를 이용해야 되는지 무선을 이용해야 되는지 아두이노를 이용해야 되는지...

hydrangeanroses의 이미지

시스템 프로그래밍 help!!!

저번에 c, c++로 무엇을 할지 질문드렸던 질문자인데여,
뭐할지 고민하다가 동아리에서 리버싱 기초부터 배우고 있긴해서 시스템 프로그래밍
배우면 재밌을 것 같아서 시스템 프로그래밍으로 결정했습니다.
혹시 시스템 프로그래밍 접해보긴 괜찮은 교재나 사이트가 있을까요?
웬만하면 읽을 수 있는 교재로 부탁드립니다 ㅎㅎ..
운영체제는 어떤게 괜찮을 까요? Linux??
그리고 언어는 c, c++이면 좋을 것 같습니다 ㅎㅎ...
부탁드립니다!

byungjun4458의 이미지

레드헷 리눅스 재부팅시 서비스 기동 실패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지금 아주 특이한 상황이 있어서 도움을 받고자 글을 작성해 봅니다.

RedHat 8.1 / RedHat 7.7 대상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며
재기동시 특정 서비스 시작시 실패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수동으로 서비스를 시작하면 정상적으로 기동됩니다.

제일 처음 확인한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1. runlevel 명령어로 현재 실행 중인 run level 확인
2. cd /etc/rc.d/rc[런레벨 번호].d 이동 (e.g. cd /etc/rc.d/rc3.d)
3. ls -al | grep 서비스 이름 검색
4. SXX서비스이름 형태의 파일 존재 여부 확인 (시작 문자열이 S인지 확인 및 XX 번호 확인)
5. 해당 파일 실행 여부 확인 절대 경로 및 상대경로 모두 실행 테스트 (e.g. ./S99서비스 이름 start , /etc/rc.d/rc3.d/S99서비스 이름 start)

zip9seok의 이미지

리눅스 netstat 명령어의 0.0.0.0 주소의 의미

안녕하세요 netstat 명령어에서 Local Adress와 Foreign Address 의 0.0.0.0 주소 의미가 궁금합니다

Proto Recv-Q Send-Q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 PID/Program name
tcp 0 0 0.0.0.0:111 0.0.0.0:* LISTEN 1/systemd

0.0.0.0은 모든 IP 주소를 의미한다고 알고 있는데요

systemd 프로세스 기준으로 해당 netstat 결과를 해석하면

내부의 모든 IP의 111포트가(Local Address, 0.0.0.0:111) 외부의 모든 IP의 모든 포트에 대한(Foreign Address, 0.0.0.0:*) 요청을 기다리고(Listen) 있다

이 말이 맞나요?? 근데 자신의 서버의 모든 IP라 하면 각 인터페이스에 설정한 IP 전부를 뜻하는 걸까요??

해석을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paulpark의 이미지

Automation 프로그램 python/java?

안녕하세요,

제가 personal project 로 쇼핑 봇을 만들려고 그러는데, python 하고 java 중에 automation 만들기 뭐가 좋으나요?

두언어다 초보자 급입니다...

YouTube 에서 찾아봐서 Java Selenium 에서 ChromeDriver 로 한번 automation program 만들어서 로그인 하려다가 봇 인증 걸려서 포기한적 이 있습니다.

혹시 다른 방법으로 automation program 을 만들수 있나요?

이런 비슷한 Web Automation program 만드는법 아시는 분있으시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hydrangeanroses의 이미지

c++ 포인터 연산자 오버로딩 질문

사진에 나와있는 코드에서
operator-> 연산자가 객체 자신의 주소를 반환하도록 해놓았다고 했는데 참고사진에는 객체의 변수의 주소를 반환한다고 하는 것은 또 무슨 말인지 모르겠네요 ㅠ
이해좀 시켜주세여...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