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으네이의 이미지

copy elision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당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class Test
{
public:
	Test() { printf("디폴트\n"); }
	Test(const Test &) { printf("복사\n");}
};
 
Test ree(Test T)
{
	return T;
}
 
int main()
{
	Test A = ree(Test());
}

이런식으로 진행이 돼는건가요?

1. main 함수의 ree(Test())에 의해 먼저 Test형 임시객체 한 개가 생성된다.

2. 그 후, ree 함수의 매게변수 ( Test T )에 대해 복사 생성자가 호출된다. ( main 함수 임시객체와 복사 )

3. 하지만 copy elision떄문에 복사 생성자가 만들어지지 않고 main함수에서 만들어진 임시객체에 이름을 할당한다.

shint의 이미지

윈도우 Guest 사용자 계정 로그인' 하면 좋습니다.

윈도우 프로그램이 부드러워지네요. ㅇ_ㅇ;;

근데. 프로그램이 3분 이상 멈추는 현상도 발견 되었습니다.
이럴때는 Ctrl + Alt + Del 키로 작업 관리자' 화면에서 성능 탭 - 리소스 모니터'를 실행 하면.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이 뜨는데.
그거 실행하고 부터 30초 정도 되니. 멈추었던 프로그램이 다시 실행이 됩니다.

ha3k1e의 이미지

우분투에서 파일이 있음에도 실행이 안됩니다.

우분투 초보라서 잘 모르겠습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비주얼스튜디오 환경에서 gcc 환경의 makefile을 이용해서 파일을 빌드하고 싶습니다.

리눅스 서버에서 vim으로만 코딩을 하다가 디버깅이 너무 힘들어
vs에서 코딩을 하려 합니다. makefile을 이용하고 싶은데 vs에서도 가능한가요?

hanhan의 이미지

python 질문드립니다

score=int(input('점수를 입력하시오 : '))

def printGrade (score):

if score>=90:
print('A')

elif score>=80:
print('B')

elif score>=70:
print('C')

elif score>=60:
print('D')

else:
print('F')

c=printGrade (score)

print(c)

@ 점수에 따라 등급 출력하는 프로그램인데
@ 값을 입력하면 결과가

F
None

으네이의 이미지

c++ 변환 생성자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당

일단 제가 알기론 변환 생성자란 매게변수가 한 개인 생성자를 변환 생성자라고 부르고

형변환이 가능하다 이런식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당.

만약 예를 들어서

class Test
{
   Test (int n) { }
}
 
int main()
{
   Test T = 3;
}

이런 식으로 작성을 하면....

1. T와 3이 메모리에 저장이 돼고 컴파일러가 T와 3이 형식이 같은지 확인한다.

2. 3은 정수고 T는 Test 이므로 형식이 다름을 안 컴파일러는 다음을 수행한다.

3. 형변환 생성자를 이용해 먼저 Test형 임시객체를 만든 후, 3을 대입한다.

4. 최종적으로 T에 만든 임시객체를 대입한다.

질문 : 이런식으로 진행돼는게 맞나요? 맞다면.. 다음 소스를 보면

cg3980의 이미지

visual studio 에서 디버깅했을 때 프로그램 종료가 안 될때...

프로그램을 만들다가 runtime error인건지 메모리 할당을 잘못했든지 어쨌든 문제가 있어서 vs가 문제가 있는 부분을 짚어줬습니다.

그래서 그 부분을 수정하기 위해 다시 소스로 돌아가려고 빨간색 네모를 눌렀는데 중지도 안 되고 콘솔 창도 종료가 안 됩니다 ㅠㅠ

인터넷에서 찾아보니 부모프로세서인 visual studio 를 강제종료 하라고 했더니 종료가 되더라구요

이런 경우는 consol program이 좀비프로세스가 되어서 그런건가요?

이럴 땐 코드 내용에 어떤 내용을 넣어야 디버깅 중에 종료시킬 수 있나요?

dltnrlf321의 이미지

웹서버에 로드밸런싱할때의 로그인 질문


웹서버 1 한번 웹서버 2에 한번 이렇게 1:1 비율로 로드밸런싱을 했는데요

로그인을 하면 웹서버 1에 로그인 되서 쿠키값이 저장되는데
로드밸런싱으로 2로도 가지니까 로그인정보가 없어서 로그인 상태가 이상해지는 결과가 나오더라고요

그래서 lsync로 쿠키값을 동기화 시켜봤는데 시간차가 있어서 적용시키기에는 애매해서 질문합니다.

로드밸런싱을 수행하면서 쿠키값만 재빠르게 동기화 할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실제 네이버나 다음도 로드밸런싱을 수행할텐데 기업이 쓰고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kong1353의 이미지

리눅스 초보 질문드립니다.

리눅스 shell 에서

공백문자를 입력 받았을 때 특정 문자를 출력하는 소스를 작성해야하는데.

이게 무슨 오류인지 계속 오류가 뜹니다..

혹시 다른분들은 어떻게 하시는지요?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