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삼구의신의 이미지

Datasheet 보는법

imx28evk 보드의 Data sheet에서 duart_tx/rx 핀을 쓰려고 합니다.

아래 Datasheet 와 사용하는 코드가 있는데
Muxsel6_CLR(0xF0);
Muxsel6_SET(0xA0); 이 두 코드가 duart 핀을 사용하겠다는 코드입니다. Data sheet에보면
duart는 muxsel6 에 4,5 6,7 register를 사용하는데 왜 0xA0이 핀을 set하는건지 이해가 안갑니다.
혹시 아시는분 조언 부탁드립니다.ㅠ

세벌의 이미지

우분투 16.04 페이스북 한글입력 문제?

우분투 16.04 잘 쓰고 있고요.
페이스북 잘 쓰고 있고요.
한글 입력은 ibus-hangul
그런데 페이스북에서 한글 입력하면 글자 순서가 이상하게 꼬입니다.

페이스북 아닌 다른 사이트에서는 한글 입력 잘 됩니다.
우분투 문제 아닌 거 같고,
페이스북 문제도 아닌 거 같고,
그렇다고 한글입력기 문제도 아닌 거 같고.

도대체 문제는 어디있는 걸까요?

저와 비슷한 경우 겪으신 분은 안 계신나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thread 정보...

android에서 스레드의 스택트레이스를 출력해서 보고있습니다.
그런데 getCurrentThread().getStacktrace() 뿐만아니라 기본 이런 스택트레이스가 스레드단위로 제공이 되더군요.
안드로이드에서 제공해주는 함수들 전부 이런거같은데 이렇게되면 로직 중간에 스레드를 생성해서 진행하는 부분이 있으면 thread run이 스택트레이스 최상위에 보이고 그 스레드를 호출한 함수 윗부분은 보이지가 않습니다.
프로세스는 pcb 등을 통해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등의 정보같은것을 볼 수 있는데 스레드는 그런 개념이 없는 것 같기도하고...

질문의 요점은 스레드를 호출, 실행한 스레드의 스택트레이스와 호출된 곳에서의 스택트레이스를 연결할 수 있는 정보가 있을까요?

thread 3에서
스택트레이스 : 1) 2) 3)... 5) .. 거쳐서 6)에서 새 스레드를 생성해서 7)을 호출하면

thread 4에서
스택트레이스 : 7) 8) 9)...

sherlock9001의 이미지

system 함수 사용문제

안녕하세요. system 함수를 사용하여, Command 명령어를 사용하려 하는데요.
기본적인 윈도우 명령어들은 잘 적용이 되지만.. 제가 하는것이. 크흠.. 안되더군요

제가 하고 싶은 것은, 어느 특정 exe파일에 대한 뒤에 인자값을 붙여서 command 상에서 입력한 것처럼
진행하는 것입니다.

ex ) "C:\a\b\c.exe" /r /g 000000000 /l " " /s
라고 입력하고 싶습니다.

파일 경로에 대한 앞 뒤에 대하여 큰 따옴표가 존재해야하는데.. ㅠㅠ

아래 코드좀 봐주세요..

limix의 이미지

시리얼 통신

시리얼 통신 관련해서 질문있습니다.
현재 윈도우(pc)와 리눅스(보드)를 시리얼 통신으로
주고 받을수 있게 하고 싶은데요.
리눅스 pc가 아닌 윈도우에서 VGDB를 이용해 하고 있습니다.
아직 배우는 단계인데 잘 모르겠네요.
보드에서 포트를 잡는것부터 막히고 연결이 됬다 싶으면
데이터가 넘어가고 받아지는것들이 전혀 안되고 있습니다.
방향만이라도 잡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가즈아의 이미지

임베디드 리눅스 GUI 라이브러리 좀 알려주세요.


디버깅 용도의 CLI(Command Line Interface)만 제공하는 제품만 만들다가

이번에 GUI 프로그래밍을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임베디드 리눅스 기반이구요..

QT가 유명하기는 하지만 라이선스를 검토해보니 라이선스 비용이 문제가 되네요.

개발용 라이선스야 그렇다 치지만 배포 라이선스가...ㅠㅠ

QT를 대체할 만한 GUI 툴을 찾고 있는 중입니다.

선후배 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 드립니다.

그럼 추운데 감기 조심하세요.^^

세벌의 이미지

구글 번역의 문제점

cat 을 고양이로 번역한다.
cat 은 고양이 맞긴 한데...
리눅스 명령어 이기도 하죠.
그래서 아직은 사람이 필요합니다. :)

ykw1101의 이미지

우분투 ping질문 입니다. 초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우분투 2개를 가상머신(버추얼박스 사용합니다)으로 작동시키고 google하고 서로 핑 주고받게 하려고 하는데 자기 ip로 핑 보내는 것은 정상 작동됩니다. 그런데 서로 핑을 보내면
From 192.168.212.200 icmp seq=1 Destination Host Unreachable 이렇게 뜹니다. 이거 어떻게 하나요? 리눅스를 잘 몰라서 검색을 해도 잘 알아듣지 못하겠습니다. 부디 쉽게 답변 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clean11의 이미지

리눅스 부팅시 mount partition 체크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특정 변수를 1 or 2로 setting하고 재부팅하면 아래와 같이 동작하도록 하고 싶은데요.
부팅초반에 변수를 읽어야되는데, 어떤 영역에 저장해야될지 고민이 많네요.
혹시 방법을 아시거나 고민해보신분 있으면 답변부탁드릴께요.

if(variable == 1) {
    mount a partition
} else if(variable == 2) {
    mount b partition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x86_64 vs. i686 vs i386

윈도우 비스타 32비트가 구동되던 오래된 노트북이 있습니다.

이 컴퓨터에 아치리눅스를 설치해 보려고 알아보고 있습니다.

우선 32비트용 iso file을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데, 공식적으로 32비트는 이제 더이상 아치리눅스에서 지원하지 않는다는 글도 보이네요.

여튼 몇 가지 찾아봤는데, 어느게 어떻게 다른지 잘 모르겠습니다.
우선 아마 64비트용인것 같은데, 파일명에 x86_64가 있습니다.

32비트를 찾아보려고 했더니 i686가 보이길래 일단 다운받고 있습다.

예전 우분투 설치할 때는 i386을 다운받아서 32비트 머신에 설치했던것 같은데, 이건 찾을 수 없네요.

이제 질문드리겠습니다.
우선 x86_64, i686, i383이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32비트 노트북에 아치리눅스를 설치하려면 i686을 다운 받아서 설치하면 되는지 알고싶습니다. 아니면 정말 더이상 지원하지 않아서 제가 i383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일지도 모르겠네요.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