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bureokjam의 이미지

컴퓨터와 컴퓨터 시스템은 각각 무엇을 지칭하나요?

제목에서 언급한 두 단어를 각각 검색하여 입맛에 맞는 설명을 가져와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컴퓨터: 단순한 수치계산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부터 유래.
컴퓨터 시스템: 외부로부터 데이타를 입력받아 정의된 규칙에 따라 이를 처리하여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모든 전자기기.

따라서 컴퓨터는 프로세서(조금 더 엄밀하게는 ALU)라는 하드웨어만을 지칭하는 것이고, 컴퓨터 시스템은 컴퓨터(프로세서)를 포함한 입력장치, 기억장치, 출력장치라는 하드웨어와 프로그램이라는 소프트웨어를 지칭하는것이 맞는건가요?

/* 덧붙이는 말 */
조금이라도 빠른 답변을 받아보기 위해서 그리고 다양한 답변을 참고하기 위해서 네이버 지식인과 어느 한 카페(구체적으로 언급하면 홍보라고 오해하실까봐..)에 동일한 내용의 질문을 남겼음을 밝힙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라이브러리 함수(fopen, fread, fwrite)와 시스템 함수(open, read, write)의 차이

궁금해서 구글링하다가 KLDP에 유사한 질문과 답변이 있어서 참고했는데 사실 이해가 그렇게 잘 되지 않아서요.

https://kldp.org/node/2864

답을 달아주신 분의 답변을 보면 fread, fwrite의 경우 중간 버퍼/경유 버퍼(intermediate buffer)가 존재해서 작은 데이터 양이면서 잦은 호출이 발생할 때 read, write보다 더 빠른 속도로 처리를 할 수 있다고 하셨는데요.

이것을 저는 이렇게 이해했습니다. read, write도 버퍼가 존재하며 그 사이즈를 정할 수 있도록 함수의 인자값으로 받죠. fread, fwrite는 라이브러리 함수가 앞의 시스템 함수와 다른 점은 내부적으로 read, write를 사용하면서 또 하나의 버퍼를 생성시켜서 데이터를 다룬다는 것으로 해석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조금 이해가 되질 않는 부분이 있는데요.

lalupo20의 이미지

방금 게임 회사 포폴 보고 왔는데

대단하네요.

특히 유니티로 만든것들

당장 상용으로 써먹어도 될 만한 것들 엄청 많네요.

저런 사람들도 간신히 붙거나 하는데 제가 뭐라고 지원한건지

제가 쓴 원서 삭제해달라고 하고 싶을 지경

kyuho6942의 이미지

qt creator에서 높은 dpi를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질문 있습니다.

현재 우분투 18 환경에 qhd 모니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qt로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해 qt creator를 설치해서 하는데 글자가 너무 작게 보여서 고민입니다 인터넷에서 찾아봤는데도 잘 나오지 않아서 이렇게 질문 드립니다 ㅠㅠ

chl66의 이미지

첨부파일의 이름 일부가 영어로 나옵니다..

api를 이용해 게시물을 받고있습니다.

다운받은 파일은 예를들어 택시이용요금.hwp 이렇게 정상적으로 이름이 나오지만
뷰페이지의 첨부파일리스트에서는 택시이용eW09dxBGTU8w0OOaCg1CRYKOEVohU69qZEFnEztAQto= 이런식으로
앞에 4-5글자를 제외한 나머지 글씨가 영어로 변환됩니다.ㅜㅜ

왜 일부만 저렇게 변형되어 나오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런 경험이 있으시거나 의심가는 부분이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shint의 이미지

전자 큐레이터 The Electronic Curator





전자 큐레이터 The Electronic Curator
 
 
ㅇ_ㅇ;;
 
요즘 말많은 인공지능 딥러닝 CNN RNN GAN 등이 예술에도 이용된다고 합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제가만든 프로그램에 GUI와 네트워크적인요소? 를 입히고 싶습니다.

제목그대로
제가 학교에서 과제로 한것들에,
단순히 상품 추가 삭제하고 그런 것이지만
GUI와 네트워크적인 요소를 입히고싶습니다.
근데 딱히 어떤 언어 혹은 프레임워크?를 사용해야되는지 모르겠습니다.

일단 과제로 만든거는 c++로 만들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지 방향을 제시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추가로 실제 기업들이 사용하는 관리시스템? 같은 거는 어떤 언어 혹은 프레임워크를 사용해서 만드는지도 궁금합니다.

leehy305의 이미지

linux(application/x-executable) 실행 문제

xgui라는 이름의 실행파일을 실행하는데
./xgui: Command not found라는 오류가 생겨서 이것저것 해보다가
이게 i386으로 32비트 용 프로그램이라서 지금 사용하고 있는 리눅스 우분투는 64비트 용이라 오류가 생긴것같아서
ia32-libs
lib32asound2
lib32gcc1
lib32ncurses5
lib32nss-mdns
lib32stdc++6lib32z1
libc6-i386
등을 설치해봐도 파일이 실행이 안됩니다.
그래서 파일 의존성을 확인해보니
%ldd xgui
linux-gate.so.1 (0xf7f2e000)
libc.so.5 ==> not found
libXaw.so.6 ==> not found
libXmu.so.6 ==> not found
libXt.so.6 ==> not found
libSM.so.6 ==> not found
libICE.so.6 ==> not found

호기심천국의 이미지

변수선언 할때마다 malloc을 해줘야하는게 정상?일까요?

(C언어로 코딩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malloc을 거의 안쓰고 코딩했는데, 문득 궁금해졌습니다.

변수 선언할 때 자동적으로 그 변수크기에 맞는 메모리를 할당한다고 생각했었는데요..

사실 변수 선언할때마다 아래처럼 malloc을 사용해 주는것이 정확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드는데.. 제 생각이 맞을까요?
(저는 지금 아파치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니 apr_palloc을 사용합니다)

아니면 포인터형 변수를 선언할때만 malloc을 해줘야하나요?

추가적으로 저같은 경우 char*형을 자주 쓰게되는데, 이 경우는 무조건 메모리 할당을 해줘야겠죠?

질문이 너무 많은것 같네요 ^^;;; 미리 답변 감사드립니다~!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