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cg3980의 이미지

구글링 해서 나온 글들에 대한 궁금증

컴퓨터 전공하는 학부 3학년 학생입니다.

올린 사진 2개는 제가 ssh 연결을 하다가 오류가 나서 구글링하다가 찾은 한국인들이 쓴 블로그 글입니다.
보다 보면서 생각이 든 게, 저분들은 어떻게 저런 사소한 명령어 옵션이나 오류메시지 해석 등을 다 알고 썼을까? 란 궁금증이 들더라는 겁니다.
물론 저분들도 다른 사람들이 쓴 글을 읽고 결과만 해석해서 썼거나, 아니면 저쪽 일을 많이 하시다보니 세세한 프로그램 옵션같은것도 다 알고 있어서 자세히 쓴 걸수도 있겠지요.
만약 다른 사람의 글을 읽고 그대로 가져온 거라면, 최초의 그 글을 쓴 사람은 본인이 오류나 구현하고자 하는 상황에서 옵션 값을 조사하고 본인 상황에 맞춰서 연구한 걸 글을 쓴 경우일까요? 아니면 저런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archlinux 설치과정 중 wifi 설정하기.

제가 처음으로 archlinux를 오래된 노트북 컴퓨터에 해보고 있습니다.
유선 인터넷으로 각종 패키지는 받아서 설치를 했고, wifi가 가능하게 하고 싶은데 인터넷을 뒤져봐도 아지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일단 제가 궁금한게, lspci에서는 장치가 보이는데 ip a 또는 ip addr에서는 안보인다면 무엇이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

$ lspci | grep Network
06:00.0 Network controller: Broadcom Limited BCM4322 802.11a/b/g/n Wireless LAN Controller (rev 01)

emptynote의 이미지

차별 없는 세상이 공자왈 맹자왈인 이유

차별 없어야 한다
당위성을 누구나 인정한다 하지만

트롤아니여도 그분만의 독특한 정신세계로
불편함을 느껴 그분 차단하려하는것도
인간이라면 충분히 그렇수 있습니다.

이렇게 디테일로 가면 차별 하나쯤은
다 갖고 있게 마련입니다.

그래서 저는 리누스 커널 소스에 CoC가
들어간것을 갑질이며 오만함이라고 생각합니다.

세벌의 이미지

etax 리눅스?

데비안 linux에서 etax.seoul.go.kr 접속했더니
모바일 사용자는 stax 쓰라며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woorifis.stax
로 이동하네요.

etax 를 리눅스에서 쓰려면 어떻게 하나요?

u235의 이미지

[해결] vim :e로 공백있는 파일명 불러오기 되나요?

vi 에 맛들여 윈도에서도 메인으로 사용합니다.
vs code, atom, notepad+ 등이 있으나
긴 문서가 아니면 가급적 vi만 씁니다.

처음 시작은 주로 파워셀 창에 vi를 띄워놓고 마우스로 끌어오며
중간에는 :e [파일명] 해서 불러옵니다.

그런데 :e 명령으로는 경로에 공백이 있으면 파일이 없습니다. 라며 불러오기가 안되네요.
이 현상은 아마 리눅스도 마찬가지 같은데

해결 방법은 없나요?

윈도우 버전의 다른 단점으로 :set mouse=a 해도
여전히 마우스가 안먹는데 이것의 해결 방법은 확실히 없는것 같습니다.

[함수 작성으로 해결]
함수를 만들어 해결됐습니다.
먼저 Tedit란 다음 함수를 만들었으며

shint의 이미지

원격컴퓨터에서 연산처리 - Remote procedure call (RPC)





원격 서버에서 처리를 하고. 결과값을 받을 수 있네요. ㅇ_ㅇ;;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