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C언어 프롬프트 사용 질문드립니다.

Visual Studio 2017 사용하고 있습니다.

프롬포트에서 exe파일을 실행해 메모장 내용을 읽는 프로그램 이구요,

프롬포트에서 해당 exe파일 경로 지정 후 text.txt파일을 폴더에 직접 생성한 뒤

프로그램.exe text.txt 실행하면 메모장을 읽어야 하는데 읽지를 못하네요...

아시는분 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dangdanghe의 이미지

GitLab push event 조정

GitLab과 Jenkins를 연결해서 빌드 및 배포를 연습중입니다.
현재 Jenkins에는 두 project가 존재하고 각각의 URL은 A, B 일 때
A, B를 이용해 GitLab의 한 프로젝트의 webhook에 push event로 동작하는 두 개의 webhook을 생성했을 경우
해당 프로젝트에 push event가 발생하면 A와 B의 구분 없이 두 Jenkins project가 동작합니다.
저는 이 형태를 해당 GitLab의 project에 push event가 발생하면 A 와 B가 구분되어 원하는 Jenkins project를 동작시키고 싶습니다.
방법이 없을까요? branch는 master로 고정입니다.

yohda의 이미지

확장자 mbn

임베디드에서 종사하는 newbie입니다.

낸드 부팅 파티션 관련 업무를 맡고 있는데, 확장자 .mbn인 파일이 감이 잘 안잡히네요 ㅠ.ㅠ

partition.mbn, mibib.mbn, sbl.mbn 등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s_eul의 이미지

대량 데이터 파일 파일 open

파일 자체의 파일을 크지 않으나
많은 파일들을 사용해야합니다.
예를들어
for i in range(1000):
a=open(input_file1)
for r in range(1000):
b=open(input_fil2)

이런식으로 돌아가다 보니 계속 파일들을 열고 닫기를 반복해야해서 굉장히 메모리를 많이 먹는데요..ㅜㅜ 혹시 좀 더메모리에 덜 부담가는 방법이 있을까요?

rajakym의 이미지

Linux kernel stack size 가 8Mb 인가요 8Kb 인가요?


안녕하세요

Linux kernel stack size 를 보고 있는데
이곳 저곳 다른 말을 하고 있어서 문의 드립니다.

일반적인 kernel stack size 는 8MB 다 8KB 이다 갈리던데
어떤게 맞는 건가요?

프로세스별 stack size 가 8KB 이고 kernel total stack size 가 8Mb 인건가요?
(그럼 프로세스 스택이 가득찼다고 가정시 1000개의 프로세스만 구동 가능한가요?)

아니면 User stack size 가 8Mb 이고 kernel stack size 는 8Kb 인지....

세벌의 이미지

서울체를 리눅스 배포판에 포함시킬 수 있을까?

서울시 폰트를 담당하는 부서를 이리저리 찾아 헤맨 끝에 담당자와 통화 간신히 성공.

결론은?
사용자가 서울시 홈페이지를 통해 폰트를 받아서 리눅스에서 재주껏 쓰는 건 법적으로 문제 없음.
그러나...
리눅스 배포본에 서울폰트를 포함하여 배포하면 아니된다는 답을 받았습니다.
법적 검토 이미 다 끝난 거라고 하네요.

압축 풀면 폰트파일이 그냥 나오도록 하면(지금은 압축풀면 실행파일이...) 좋겠다고 했더니...
전에는 그렇게도 해 봤으나...
내려 받은 폰트 파일을 컴퓨터에 설치할 줄 모르는 분들의 민원이 너무 많아서, 압축을 풀어 실행파일 돌리면 자동으로 설치되도록 했다고 하네요...

참고하셔요.

hypnosis의 이미지

mmap() 과 memcpy()의 대한 질문드립니다.

mmap() 으로 파일을 메모리매핑 시켜 매핑된 메모리를 변수에 memcpy() 시키는 함수를 만들었습니다.

헌데, 물리적인 서버(pc) 리눅스(redhat 계열)에서 실행 하면 /sys/devices/pci0000:xx 하위 파일 중에
resource0 ~ 4 들이 매핑후 copy 하게 되면 kernel panic 과 같은 현상이 나타납니다. (검은 화면으로 변하거나 REBOOT)

resource 명을 가진 파일들은 물리적인 서버에서 확인해보면 입출력에러(errno 5) 나오는 파일들입니다.

mmap 으로 해당 파일들을 매핑시, map_failed 가 떨어지지 않고, 넘어가는것도 이해가 안됩니다.
읽어들일수 없는 파일이면 매핑도 안되야되는게 정상일 것 같은데..

emptynote의 이미지

누군가에게 게시판 따위이고 하늘아래 새로운것 없다하지만....

누군가에게 게시판 따위이고 하늘아래 새로운것 없다하지만....

자바 언로로 구현된

트리형태의 half update 를 활용한 게시판으로 운영되는 커뮤니티 사이트 오픈 소스 어디 없을까요?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소스는 단순한 CRUD 이고

(1) 게시글 차단, (2) 게시글 해제, (3) 게시글 삭제, (4) 게시글 이동, (5) 게시글 이력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자바로 구현된 오픈 소스를 찾기가 어렵네요.

이정도 기능은 요즘 CRM 에서 그야말로 명함도 못내미는 초급 수준인데도

저는 왜... 오픈 소스를 찾지를 못하는걸까요 ㅠ.ㅠ

오픈 소스 홍수 시대라하지만 자기가 원하는것은 자기만이 알고 있어서 그런가

막상 찾고자 하면 그 어디에도 없으니 마치 사하라 사막에 혼자 있는 기분이네요.

자바로 구현된 5 가지 기능까지 제공하는 게시판 기능이 있는 오픈 소스를 알고 계시면 제보 부탁드립니다.

yohda의 이미지

NAND 일반적인 파티션 구조

임베디드에서 NAND에는 왜 반드시 부트 로더, 운영체제 커널, 파일 시스템 이 3가지는 포함되는 건가요??

저 3개의 프로그램들이 서로 어떤 상관 관계 때문에 반드시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yohda의 이미지

NAND의 주소 체계와 레지스터 크기

제가 NAND를 공부하면서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왜 NAND는 바이트 단위 혹은 워드 단위의 데이터 버스를 지원하지 않는걸까요??

RAM or ROM처럼 다이렉트로 XIP(Excute In Place)로 실행되면 안되는 건가요??

그리고 또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NAND가 페이지 단위의 읽기/쓰기를 지원하고 CPU는 레지스터에 저장된 32비트 혹은 64비트 명령어 or 데이터를 처리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결국 데이터 과정은 반드시 레지스터로 데이터가 와야 되는거 같은데, 레지스터를 낸드의 페이지 단위로 크게 해서 낸드에서 받은 데이터를 레지스터로 한번에 옮겨서 처리할 수는 없을까요?

즉, 레지스터의 크기를 낸드의 페이지 단위만큼 크게 할 수는 없을까요??!! 이게 제 두번째 질문입니다!

레지스터는 비싸기 때문에 용량을 늘릴기 힘들다는 답변을 제외한 다른 답변을 듣고 싶습니다!!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강좌 + 뉴스, 새소식 + 토론, 토의 +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