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질문

eternalklaus의 이미지

Static binary instrumentation 과 Binary rewriting 의 차이점?

Static binary instrumentation 과 Binary rewriting 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저는 이전까지 이 둘의 개념이 동일하다고 생각을 했었습니다.
왜냐하면,
Static binary instrumentation 의 경우, 필연적으로 바이너리를 수정한다음에 재 컴파일해서 새로운 바이너리를 생성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결국에 바이너리를 재작성하는 것이기에 Binary rewriting이랑 동일한 개념이라고..생각을 했었는데요,

교수님께서는 Static binary instrumentation이 Binary rewriting의 상위개념(Superset)이라고 말씀하십니다.

그 말인 즉슨...
Static binary instrumentation 개념 안에는 Binary rewriting 기술이 아닌 무언가(?)가 추가적으로 존재한다는 말인데요,
아무리 찾아도 이 예시는 못찾겠습니다 ㅠㅠ

frost917의 이미지

파이썬 import 질문있습니다

파이썬 버전은 3.7, IDE는 VS쓰고있습니다
디렉토리 구조는

SnP/
    src/
        main.py
        Permutation/
            permutation.py
입니다.

from SnP.src import permutation

로 했지만 import가 안되서 질문합니다.
오류구문은 No Module Named permutation입니다.

rururara429의 이미지

첫번째나 두번째 줄을 파일명으로

파일의 첫번째 줄이나 두번째 줄을 출력해서 (sed -n 2 filename 하면 되나요?) 파일명을 그걸로 수정하고 싶습니다.
어렵진 않을 것 같은데, 저는 잘 감이 안 와서 ㅜ.ㅜ 도움을 부탁드립니다.

미리 감사드리며. 꾸벅.

nixon4545의 이미지

QEMU VM의 로그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QEMU를 사용하는 중에 생긴 질문입니다..

apt나 yum을 통해서가 아닌 직접 소스를 컴파일하여 QEMU를 설치하고
그 소스에 출력문을 입력하여 출력값을 확인하고자 합니다.

예전에 우분투에서 dpkg-buildpackage를 이용하여 QEMU를 컴파일할때
출력문을 입력하고 컴파일하여 QEMU의 VM을 실행하면 그 VM의 log파일에
출력값이 기록되는 것을 확인 하였습니다.

동일하게 Centos에서 rpmbuild를 이용하여 QEMU 소스에 출력문을 입력하고
컴파일을 하여 출력값을 확인하려 하면
log파일에 기록이 되지 않는 것을 확인했고 오히려 컴파일 과정중에
드문드문 그 출력값이 터미널에서 나오게 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제가 원하는 구도는 우분투에서 처럼 log파일에 출력값이 기록되게 하는 것인데
구체적으로 어떤 점 때문에 이렇게 되는것인지 그리고 해결방법이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diget91의 이미지

</code> 언어 고수님들 도와주세요.

============================ 첫번째 =======================================

livey의 이미지

우분투 18.04 에서 initctl command not found

안녕하세요
우분투 18.04 에서 svn 서버 설치중인데 터미널에서 initctl 명령어가 없다는 메세지가 자꾸 뜨는데
/sbin 에 해당 명령이 없는것같습니다.

이 명령어는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hammazzang의 이미지

디스크가 두개인데 파티션이 같아요

안녕하세요. 현재 서버를 운영중에 있는데 너무 이상한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려요

서버에 디스크 2개를 달고 하나는 미러링 용도로 하여 사용중에 있습니다.
파티션까지 모두 동일하게 사용중이에요.

근데 이상한 점이

/sda2 랑 /sdb2 랑 같은 포인트인거같아요.

예를 들어

/sda2 /
/sdb2 /mir

이런식으로 마운트해서 사용중인데,

touch /a
로 a 라는 파일을 만들면
/mir 에도 똑같이 a 라는 파일이 새로 생성이 됩니다.

이 때문인지...두 디스크를 모두 서버에 장착시켜야 부팅이 되요
마스터건 미러링이건 둘중 하나만 장착 후 부팅을 시키면 부팅이 안되네요 커널패닉나면서 ㅠㅠ

이같은 상황 겪어보신분 계신가요 ㅠㅠ 도와주세요..

cococo의 이미지

windows server 2012 에서는 32bit 바이너리를 프로그램 실행 못하나요?

VS2010( C++ ) + mysql.msi ( libmysql.dll ) 을 이용해서 프로그램을 작성하였습니다.

근데, 이게 32bit 버전으로 컴파일된 실행파일입니다.

구조는 디비에 주기적으로 접속해서 데이터 변경해 주고 감시하고... 그런 겁니다.

그런데, 이 프로그램을 고객사 가상서버 ( windows 2012 R2 가비아 ) 에서 돌리니까, 실행이 안되는군요.

사무실 개발 피씨 ( Win10 x64) 에서는 실행되는데, 가상서버에서는 실행이 안되는 겁니다. 에러창 띄우고 죽습니다.

최초에는 msvcr100.dll 메시지가 나와서
https://www.microsoft.com/en-us/download/confirmation.aspx?id=13523
에서 패키지 다운로드 받아서 실행(설치)했는데 안되고.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질문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