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질문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dd를 이용한 디스크 복사중 발생한 오류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리눅스 시스템상에서 임베디드 시스템의 펌웨어 디스크의 복사를 시도했습니다.
디스크를 연결하고(fdisk로 /dev/sda에 마운트된 것 확인), dd로 덤프파일을 떴습니다.
dd if=/dev/sda of=/diskdump.bak bs=1M
덤프 파일이 생성된것을 확인하고, 디스크를 분리했습니다.
복사시킬 디스크를 연결하고(/dev/sda 마운트 확인), dd를 시행했습니다.
dd if=/diskdump.bak of=/dev/sda bs=1M

작업이 완료된 후 복사한 디스크를 임베디드 시스템에 연결해, 정상적으로 부팅되는것을 확인했습니다.
이후 몇개의 디스크에 더 복사했습니다.
그런데 추가로 복사한 디스크는 임베디드 시스템상에서 부팅이 되지 않았습니다.(바이오스에서 Verifying dmi pool data...에서 진행불가)
복사를 시도한 디스크의 용량, 모델명이 모두 같고 파일 시스템 또한 미리 맞춰놨었습니다.(윈도우 노트북에 연결해 맞춰줬습니다. )

kingkong86의 이미지

우분투20.04를 두개의 SSD에 설치하고 싶습니다.

총 3개의 SSD가 있습니다.

1SSD에는 윈도우 설치
2SSD의 반을 파티션해서 CentOS8설치
2SSD의 남은 반과 3SSD를 파티션해서 우분투20.04 설치

이런게 가능할까요? efi는 1SSD에 한번에 몰아서 설치할 예정입니다.

kinys4의 이미지

비트필드를 오버플로우에 대한 문제

매 프레임 들어오는 8바이트 메세지를 받아서 정렬을 해야합니다.
받아서 8바이트 배열을 구조체로 넘겼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select함수를 이용해서 udp서버와 tcp서버를 하나로 만들어야 하는데

select함수를 이용해서 udp서버와 tcp서버를 하나로 만들어야 하는데 어떻게 해야할지 하나도 모르겠습니다. ㅠㅠ 단 멀티스레드는 최소로 사용해 여러 TCP 클라이언트와 UDP클라이언트를 서비스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하는데 알려주실 분 있으신가요?? ㅠㅠ

byeown의 이미지

아파치에 이런 기능을 넣을수 있나요?

혹시..

http://xx.example.com/ABCDE/
http://xx.example.com/JQJEJ/
http://xx.example.com/5475A/

이런식으로 뒷주소가 다른 경로로 접속을 하면

실제로
/var/www/html/aa.php

로 연결이 되는거죠.. 주소는 뭐 다른주소로 리다이렉트 되진 않고..

이후 aa.php에서는 ABCDE, JQJEJ, 5475A같은 값을 읽으려고 하는거거든요..
뭐.. RestAPI같은 느낌으로요..

이런 기능 혹시 가능한가요?

세벌의 이미지

hwp viewer for debian 도와주셔요.

데비안에서 hwp 파일을 읽으려 합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 커널의 물리메모리 상 위치에 대해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리눅스 커널에 대해 갓 공부하기 시작한 학생입니다.

32bit 아키텍쳐의 가상메모리상에서 커널 이미지가 3g~4g 부분에 위치한다는 것은 알고 있는데, 이 커널 이미지가 물리메모리상에도 위치하고 있는건가요? 위치한다면 어느 위치에 있는건가요?

또, 가상 메모리의 3g~4g 부분에 위치한다면 이는 하나의 task의 가상메모리마다 각각의 커널 이미지가 위치하게 된다는 뜻인 것 같은데 그럼 이러한 각각의 커널 이미지들은 각자의 작업 내용을 서로 어떻게 공유하는 것인가요? (스케줄링 등을 위해)

공부를 시작한지 얼마 안되어 잘 모르는게 많습니다.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hoijuo의 이미지

윈도우10 설치시 파티션 나누는게 좋나용?

노트북이 MSI 게이밍 노트북 쓰는뎅

예전에 겜할때 멀쩡했는데 요즘에 롤할때 끊기고 무슨 영상보는데도

중간에 멈추고 그러더라고요;;

그래서 포맷을 하려고 설치 usb 갖구와서 포맷을 했습니다

전에는 c드라이브 d드라이브 이렇게 나눠져서 d드라이브에 800기가인가 할당 되었던거같고

이번에 포맷할때 뭘 잘못설정했는지

C드라이브 하나만 있고 900GB 정도로 다 되있더라고요 ... 그리고 윈도우에서 폴더를 열거나 설정누를때

되게 느려진 것 같습니다.. 파티션 영향 때문인가요??

혹시 원인이 뭘까요 ㅠ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질문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