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3커널에서
#mke2fs /dev/ram0 8192
로 ramdisk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물론 root file system도 잘 동작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커널을 2.4.17로 업그레이드 하였는데..
그 뒤로 ramdisk를 만든 후에 마운트 하고 파일을 쓰고..
언마운트를 한 후에 다시 마운트를 하면...
EXT2-fscorrupt root inode, run e2fsck.
메세지를 남기고 마운트가 되질 않습니다.
역시 그냥 /dev/ram0 에서 이미지 떠서 rootfs.gz을 만들어
얼마전까지는 su 사용이 비밀번호만 알면 다 되었었는데,
특정사용자만이 su를 사용할수있도록 하지않은상황에서도 su가 갑자기 먹
히지 않아서, /etc/pam.d/su 화일에 wheel그룹이 su 사용가능하도록 해주
고,user 를 /etc/group 화일에 wheel 그룹 뒤에 , 를 붙이고 추가한후 해
보았는데도, su가 안됩니다.
도와주세요!
저는 쓰레드로 수행되는 서버와 클라이언트에서 브로드캐스트 소켓으로 서
버의 주소를 알고 싶습니다.
그런데 클라이언트에서 브로드캐스트 소켓을 보냈는데(sendto) 서버에서
이 브로드캐스트 소켓을 받았는데(recvfrom) 클라이언트의 주소
가 '0.0.0.0'으로 되어 있네요.
그런데 쓰레드로 수행하지 않으니까 클라이언트 주소가 제대로 되어 있는
데 쓰레드로 수행하면 다시 클라이언트 주소가 위와 같네요.
리눅스의 명령어를
execl를 이용해 프롬프트 상에서 옵션들을 입력 받아 실행하는 프로그램
을 만들어 실행하려고 합니당
그런데 앙 어떻게 설명하징
예를 들면 제가 execl를 이용해 리눅스의 어떤 실행파일을 실행할수 있는
a라는 프로그램을 만들었어요
root@local]./a ss bb cc---> ss,bb,cc는 a라는 프로그램을 실행할때 필요
한 옵션들. 이렇게 해서 프로그램이 실행하는데 a 프로그램의 결과 같이
다시 어떤 옵션 값을 필요한데 이때는 어떻게 해야 하는징
통신 프로그램에서 fork을 이용해 부보 프로세스 와 자식 프로세스로 나누
어 지는데 이것을 gdb로 어떻게 돌아 가는지 보려고 하는데요
fork에서 나누어지는 두개의 프로세서중 자신이 보려고 하는 부분을 찿아
서 gdb로 돌리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궁금해요(부모 프로세스를 선택할
것인가 아니면 자식 프로세서를 선택할것인가를 선택하게 해주는 gdb옵션)
알고 있는 분이 있다면 제발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