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질문

lupinlll의 이미지

mount: could not find filesystem '/dev/root'

안녕하세요.

페도라 리눅스 웹서버 보드 고장으로 하드디스크만 떼서 다른 컴에 장착했습니다.
바로 부팅 될 줄 알았는데 바로 에러 메세지가 뜨네요.

아래 질문 내용외적으로도 다른 대안있으면 의견 바랍니다.

에러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frech의 이미지

CPU Hotplug를 지원하는 배터리 세이버가 없나요?

외장그래픽이 달린 노트북을 쓰는데 bumblebee로 외장 그래픽을 쓰고요, laptop-mode-tools나 tlp를 사용하면 wayland 환경 아래에서 자동으로 외장그래픽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 외장그래픽을 사용해서 제가 직접 꺼줘야 하는 불편함이 생겨서 사용에 어려움이 있어서 사용을 못하고 있습니다.
위에 두 프로그램을 못 쓰다 보니까 배터리가 살살 녹아서 cpu덜 돌리면 배터리 적게 든다는 것 밖에 몰라 cpu hotplug를 하는 데몬을 만들어 쓰고 있습니다.
혹시 cpu hotplug를 지원하는 데몬이나 위에 배터리 세이버 말고 다른 프로그램은 알고 계신게 없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cpu hotplug를 파일 시스템을 통해서 말고 C api로 되어 있는게 없는지도 궁금합니다. 인터넷에는 잘 나오지 않네요.

토스님@Google의 이미지

g++ 컴파일러에서 이상한 오류가 납니다

g++ 컴파일러에서 이상한 오류가 납니다. (사진 첨부함)
thread 도 인클루드 했는데 왜 이런 오류가 나는지 모르겠네요.

읏짜의 이미지

cmake 권한 오류

windows에서 Makefile.cmake을 빌드하려고 하는데("make -f Makefile.cmake")
"windows-build-tools-4.2.1-2/bin/sh: cmake: Permission denied"라는 에러가 발생하는지
혹시 아시는분 계신가요?

sky1027의 이미지

라즈베리리파이(리눅스) 인터넷 끊어짐 현상

라즈베리파이 cm을사용하고 있고, USB to LAN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유선랜인데 인터넷이 자꾸 끊어지는 현상이 나타나요

ssh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않아도 그렇고, 몇 분지나면 그냥 끊겨버립니다.
고정 IP로 설정하면 될까 싶어 시도 해도 똑같고 그 상태에서
sudo service networking restart 네트워크 재시작 명령어를 입력하면 또 살아납니다.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날까요?...

계속 찾아봐도 해결이 되지 않네요
도와주세요..

읏짜의 이미지

eclipse + cygwin

eclipse와 cygwin을 사용해서 makefile project를 빌드하려고 하는데 Makefile 안에
dir :=$(shell pwd)가 있어요
근데 cygwin을 쓰다보니까 dir을 출력해보면 /c/~~로 찍혀서 경로를 제대로 못찾아가는데
/c를 C:로 바꿀수 있나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cygwin path 설정

윈도우에서 eclipse ide + cygwin으로 makefile project로 만들어서 빌드하려고 하고있어요
근데 makefile안에 pwd를 사용하는게 있는데 이게 D:/~~로 잡혀야되는데 D:/가 /cygdrive/d로 마운트 되있어서 제대로 안되네요,,

혹시 makefile안에 pwd가 원래 pwd처럼 D:/~~로 동작하게 하는 법 아시나요

andycho1120의 이미지

c언어 구구단 Floating point exception (core dumped)오류

구구단을 해결하는 코드를 작성중인데 Floating point exception (core dumped)가 뜨면서 동작을 멈춤니다.
검색이랑 숫자를 출력하는 코드를 통해 어디가 잘못된 부분인지 찾아내려고 해도 잘 안되네요.
아직 배우는 단계라 오류가 일어난 부분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leo8131의 이미지

shutdown시 recovering journal이라는 메시지가 뜨면서 shutdown이 안됨

Ununtu18.04 desktop version을 설치했습니다.
Partition은 boot 512M, swap 32G, / 100G, 이렇게 primary로 잡아 주었고,
512M uefi, 나머지 home으로 logical로 잡아 주었습니다.
SSD 1T에 위와 같이 설정했습니다.

Graphic card nvidia 2080TI이고
cpu 사양은 intel I7 계열이었던 것 같습니다.

한글 입력기는 fcitx로 설정하였고,
graphic card driver는 cuda 설치하면서 가지고 있던 batch file로 함께 설치를 했습니다.

문제가 있어서 SSD를 교체후에도 동일한 문제가 있는데요.
무엇을 확인해야 할까요??

제가 Linux에 대해서 잘 알지는 못합니다.
위 현상에 대한 설명 및 어떤 식으로 대처를 하면 될지 알 수 있을까요??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질문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