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질문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시스템정보를 실시간으로 클라이언트한테 주렴 어케해야대나요?

서버에 대한 cpu 사용률이나 mem 사용상황을 실시간으로 클라이언트에게
넘겨주려고 하는데요.
전혀 감이 안잡히네요.
proc디렉토리 정보를 이용하면 좋겠지만 더 범용적인방법이 있었으면 좋
겠습니다.
top 명령어에 대한 소스정보도 없어서.. ^^;;;;
관련 툴이나 top소스 또는 정보를 알고 계신분은 마니마니 연락주세요.
서버프로그램에 왕초보이다보니 너무 어렵네요..
감사합니다..
행복한하루대세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define 문 질문~!


#define AA( x ) char BB[]= "x";

AA( aa )

위와 같이 한다해서 BB 에는 aa 가들어 가지 않는데

BB 에 aa 를 대입할 방법이 있습니까?

물론 define 문을 이용해서 말입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혹시..키보드라이브러리 잘되는거 아시는분..

리눅스콘솔에서 키보드를 제어할려구 하는데..

svga에 있는걸 먼저 써봤는데...

좀 불안하더군요..

그런데 그걸 안쓰자니...shift나 lock상태를 알수가 없고요..

다른 좋은 라이브러리나 예제가 있으면 소개좀 부탁드립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iptables를 이용한 masquerading 이 여기 문서대로 했는데 안되

iptables -t nat -A POSTROUTING -o eth0 -j MASQUERADE

저렇게 했는데...

Invalid argument 라는 에러가 뜨네요.

그래서

iptables -t nat -A POSTROUTING -o eth0

라고 하니까 Couldn't load target `standard' 라는 에러가 뜨네요.

참고로 iptables의 버젼은 1.1.0 입니다.

왜그런지 혹시 아시는분 좀 도와주세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질문] 프로그래밍으로 kernel 의 상태확인하는 법 - 메모리, cp

top이란 프로그램은 현재 시스템의 상태를 보여주는데요,

그 소스를 분석하는 중에

시스템의 상태값에 접근하는 함수를 사용하는 걸 봤는데,

dg_ 로 시작하는 함수였습니다.( general data ..라고 하던데.)

#include
#include

에서 선언한 것같습니다만.
제가 사용하는 wow linux 7.1( kernel 2.4.2-3)에서는

소스를 볼 수 있는 헤더가 없습니다.

어떻게 사용할 수는 없나요?

아니?

저 함수를 어떻게 쓸 수 있을까요?

추신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beowulf 을 구축하려고 하는데 자료구하기가 넘 힘드네요,.,

저는 전산과에 다니는 학생인데..
요번에 beowulf을 구축하여 간단히 프로젝트을 하려고
하는데...
좀처럼 자료을 구하기가 힘이드네요...
설치방법같은 것은 많이 잇는데.. 정작 beowulf을 어떤데
사용하는지 어떻게 사용하는지등의 자료을 찾기가 어렵네요..
beowulf한 프로그램이나 예제 소스가 이는곳을 알고 계시면 ..
좀 알려주세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http에 대해 조언을 구합니다.

제가 소켓을 이용하여 www서버의 메인 페이지를
받아서 어떤 일을 처리 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근데 한가지 문제점이 있어서 이렇게 문의 드립니다
소켓에서 웹 서버의 ip를 입력하여 접속 한 후
GET /index.html HTTP/1.0
이라고 명령을 내리면 웹 서버의 메인 페이지가 전송이 됩니다. 물론 메인 페이지의 파일 명이
index.html일 경우만 그렇지요.....
하지만 메인 페이지의 파일명이 index.html이 아닌경우도 많이 있지요.(*.jsp, *.php등등)
여기에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익명ftp 접근권한에 대하여...??

웹브라우저에서 익명ftp접속시 incoming,pub 디렉토리에 접근할수 있는

권한에 대하여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다름이아니라,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컴리눅스2.2를 설치하여 리눅스서버를 만들었습니다.

외부에서 그러니깐..게임방이나..친구네 집(하나로 혹은 한통사용)에서는

웹브라우저에서 익명ftp접속시 정상입니다.

incoming,pub디렉토리로 접속이 모두 가능합니다.

그런데 제가 근무하는 회사에선 사내 자체 방화벽때문에...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index.html 읽어 들이지 않네요.

ADSL 사용자입니다.
codns 프로그램(고정Ip화)으로 웹서버 구축
하려는데, index.html파일을 읽어들이지 않네요.

제가 간단히 만든 index.html

/usr/local/httpd/htdocs/index.html

여기저기 웹서버 관련 사이트 가니까
/var/www/html/index.html
테스트페이지를 생성해야 된다고 .., 그러는데
그렇게 하면 읽어 들일까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파티션을 꼭 나눠야만 하는 건가요?

초보입니다.

레드헷 설치중이구요.

왜 파티션을 나눠야만 하는지 이유를 물어도 될까요?

나눴을때와 나누지 않았을때 차이가 있나요?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질문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