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질문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mount

mount 시키고
리눅스 다시 깔았는데
윈도우로 마운트가 않되요
그리고 윈도우에 파일하나가
sub directory 가 무한정
생기고 방법을 좀 알켜주세요
고수님들 ?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예약 하는프로그램은 X-window P/G 안 되나요?

시간예약 명령어 at 은 X-window 프로그램 같은 거는 안 되는가요?

xmms, netscape 예약 해도 실행이 안 되네요?

/bin/ * --- bin디렉토리에 있는 거는 실행이 되는 거 같구요..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kde 플밍할때 컴파일 방법??

qt 라이브러리는 tmake 를 이용해서 하면 에러 없이 되던데..

kde라이브러리를 사용하다 보니까 (예를 들어서 kapp.h 같은거요)

컴파일 자체가 안되더군요 ㅠㅠ

링크방법이 잘못되었는지 여기저기 찾아봐도 안되더군요..

쉘에서 echo $KDEDIR 을 찾아봐도 /usr 이라고만 나오고 이상하더군요..

컴피일방법좀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FD_ISSET 에 관한 질문

select 문을 사용하여 소켓으로 입력되는 데이타를 읽으려고 합니다.
그런데 read 이벤트가 있은지 확인하는
FD_ISSET 에서 리턴값의 의미를 잘 모르겠네요
리턴값 < 0 이면 소켓이 끊어진 것으로 봐야되고
리턴값 > 0 이면 소켓에 데이타가 입력된것으로 간주 읽으면 되는데
리턴값 = 0 이면 뭐죠 처리를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네요

왜 이질문을 드리냐면 이상하게 가끔 서버쪽에선 소켓이 끊어진 채로
client 에서 재접속이 오지 않는데 client 에서는 소켓이 아직 연결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질문]glibc-devel 패키지 rpm 설치가 안 됩니다..

안녕하십니까..
전에 아파치 configure 에러 올렸던 필입니다.
조성호님께서 개발 패키지 쪽이 빠진듯 하셨던 말씀이 맞는듯 합니다.
다시한번 고맙다는 말 전합니다.

다름아니라 다른 PC의 crt1.o 파일을 rpm -qf /usr/lib/crt1.o 파일 정보
를 확인하니깐, glibc-devel-2.1.3-32 패키지에서 나온걸 확인했는데..
당연히 제 PC에는 안 깔려 있구여..
CD 배포폰에 glibc-devel-2.1.3-32.i386.rpm 파일이 있던데..
rpm -Uvh glibc-devel-2.1.3-32.i386.rpm 실행하니깐,
error failed
dependencies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iptables 질문이여

라우터를 할려고 리눅스를 설치하고 iptables 를 사용했습니다
근데 처음에는 됐는데 다음날 다시 하니깐 안돼더군여
클라이언트에서 ping 테스트 하면 받는데
인터넷이 안돼네여
사설아이피를 처음하는거라거 잘모르겠습니다 아직 개념도 모르는데
사정이 있어서 지금 사설 아이피 사용하는걸 급하게 하고있거든여
시간이 별로없는데..
그럼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질문]로지텍휠 마우스 사용하기

모델명 M-U48a
제조자 LOGITECH
판매자 삼성

포인터는 잡히는데 휠기능이 안되네요.
프로토콜을 "IMPS/2"로 잡았고요.
"Logitech"으로 해봤는데 먹통되버리고..
아래건 마우스 설정 부분입니다. (ps/2 2버튼 마우스도 같이 쓰고있어서 이렇게 했습니다.)

Section "Xinput"
Subsection "Mouse"
DeviceName "USB Mice"
Buttons 3
Protocol "IMPS/2"
Port "/dev/input/mice"
AlwaysCore
EndSubsection
EndSection

여러군데 질답란 찾아봐도 답이 안나와서 이렇게 질문 올립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하드디스크 이전후 커널패닉 에러

사용배포본 와우리눅스 7.1 파란

하드웨어 사양과는 무관한 문제인것으로 생각되어, 세부사항은 생략합니
다.
새로운 하드로 부팅시 'kernel panic no init found try passing
init=option to kernel'에러가 발생합니다.
리눅스관련사이트를 십여개쯤 뒤졌습니다만, 저 에러 발생시는 다시 깔란
말 뿐이더군여. 근데 그럴 상황이 아니라서.

저의 시스템 환경은 스카시하드가 3개(핫스왑컨트롤러를 장착)
각각 sda,sdb, sdc로 잡혀 있고, fstab파일의 내용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 상에서 모뎀을 두개 인식시킬려고 하는데..

안녕하세요

리눅스 상에서 모뎀(pci)을 두개를 인식시킬려고 하는데 잘 안됩니다.
하나는 ttyS15 로 인식되고, 다른 하나는 ttyS2 로 인식되는 것같은데
ttyS2 가 잘 동작을 안합니다.

기본적올 /dev/modem -> /dev/ttyS15 로 링크가 걸려 있어서 그런지
ttyS15 는 잘 인식이 되는데 말이죠..

minicom 에서 시리얼 세팅한 다음에, AT 라고 쳤을때, OK 라는 메시지가
나오면 잘 인식이 된걸로 알고 있는데 ttyS15 는 OK 메시지가 잘 나오는데
ttyS2 는 이런 메시지가 안나오네요 ㅠㅠ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텔넷이 안되네요.. 방화벽때문인가요??


처음 레드헷7.2를 깔때 방화벽을 최상위로 해주고 몇몇 신뢰하는장치에
텔넷 ftp등 필요한거만 체크해주고 깔았더니 외부로 접속은 되는데
외부에서 들어오지를 못하네요..

이거 어떻게 해결해야하는지 ... 난감하네요.. 여기저기 검색해두
비슷한내용은 있지 궁극적인 해결방법이 없네욤..

참고루 시스템사양은 펜티엄3 700듀얼 스카시(17G) IDE(30G) 입니다..
용도는 웹서버용이구요..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질문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