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질문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PhantomJS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십니까 현재 phantomJS를 사용해 html 동적 파싱을 하려고 하는데요

using OpenQA.Selenium.PhantomJS; 추가가 안되며
CS0234 'OpenQA.Selenium' 네임스페이스에 'PhantomJS' 형식 또는 네임스페이스 이름이 없습니다. 어셈블리 참조가 있는지 확인하세요.
라는 에러문구를 띄워줍니다.

그런데 저는 현재 누겟을 통해서 PhantomJS 2.1.1버전을 설치한 상태이구요 셀레니움 웹드라이버 크롬드라이버 등등 모두 설치해두었습니다.

PhantomJSDriverService를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문제가 뭔지 알고싶습니다.

hanorang2의 이미지

node.js 기반 express 서버에서 서브도메인 설정이 자꾸 막히네요

현재 폴더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var/www/html/example.com : 메인 홈페이지
/var/www/html/project1 : 추가하려는 서브도메인 홈페이지

메인 홈페이지 디렉토리의 app.js에서 vhost 모듈을 설치하고 다음과 같은 코드를 작성했습니다.

ssoobebe의 이미지

SVN Repository 중복 이름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SVN를 이용하여 형상관리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제가 궁금한 점은

1. 기존에 존재하는 ABC라는 Repository를 dump뜨고 Repository를 삭제합니다.

2. 그 후 다시 ABC 동일한 이름으로 Repository를 생성한 후 dump뜬 파일을 load하였습니다.

load가 정확하게 이루어진 후 svn Repository Browser를 통해 접속하면

"error running context the server unexpectedly closed the connection"

라는 에러 메시지가 출력되서 하위 디렉토리를 들어갈 수 없습니다.

만약 ABC가 아닌 다른 이름의 디렉토리에 동일하게 load하면 browser에서 확인 및 접속이 가능합니다.

제 생각엔 이름이 중복된 디렉토리 문제로 보이고 기존 디렉토리가 서버에서 제대로 삭제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해당 문제의 해결방안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Repository 이름은 무조건 동일하게 하고 싶습니다.

ansdusah의 이미지

Ubuntu 기반 docker에서 Fedora 21 구축 가능 여부

Docker를 이제 막 사용해보는 초보입니다.
여태 개발환경 이분화를 위해 동일한 Ubuntu16.04 기반에서 개발 Target에 따른 구분을 Docker로 활용했습니다.

Ubuntu16.04 기반에서 다른 OS(Fedora21)에 대한 image를 올려 Docker로 돌릴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미리 답변 감사드립니다.

세벌의 이미지

FreeCAD 한국어 문서?

AutoCAD 비슷한 오픈소스 프로그램 FreeCAD 공식페이지에 한국어 설명은 안 보이네요.
https://www.freecadweb.org/wiki/Main_Page

다른 사이트라도 FreeCAD에 대한 한국어 설명이 있는 곳은 어디있나요?

greeze의 이미지

context switching에 대해서 질문 드려요.

context switching에 대해 공부중에 있습니다.
대충 PCB등 이해는 하였습니다.
그런데 context switching을 줄이는 방법에 "저장하고 복원하는 context 정보의 갯수를 줄이는 것"
이렇게 설명되어 있는데요.
이말이 프로세스의 수를 줄이는것을 의미하는건가요?
아니면 프로세스 내에 함수의 수를 줄이는것을 의미하는건가요?
정확한 뜻을 모르겠네요.. ㅎㅎㅎ
아마 프로세스의 수를 줄이는것도 관리되는 PCB의 수가 줄기때문에 context switching을
줄이는 방법일거 같긴한데요.!
정확한 의미가 무엇인지 답변 부탁드려요!

dubai91의 이미지

Qt4 버전 QWS_MOUSE_PROTO 옵션사용과 관련하여 문의드립니다.

먼저 임베디드 디바이스 (커널 버전 4.1.15)에 USB Touch 가 되는 GP 를 사용하려고 합니다.
임베디드 디바이스에 TSLIB 와 QWS_MOUSE_PROTO 옵션도 주었는데요.

export TSLIB_TSEVENTTYPE=INPUT
export TSLIB_TSDEVICE=/dev/input/touchscreen0
export TSLIB_CALIBFILE=/etc/pointercal
export TSLIB_CONFFILE=/etc/ts.conf
export TSLIB_PLUGINDIR=/usr/lib/ts
export TSLIB_FBDEVICE=/dev/fb0
export TSLIB_CONSOLEDEVICE=none
export QWS_MOUSE_PROTO="tslib:$TSLIB_TSDEVICE"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리눅스커널 블록디바이스 I/O관련해서 질문있습니다.

VFS층에서는 block을 데이터의 단위로 보고

밑단의 블록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섹터를 데이터의 단위로 보고있으므로

중간 layer에서 block과 sector를 맵핑 해줘야 할것 같습니다.

그 역할을 하는 layer가 generic block layer라고 생각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떤식으로 맵핑이

이루어지는지 모르겠네요.

generic block layer의 bio structure field를 보면

sector_t bi_sector // i/o요청이 발생하는 첫 sector

가 있는데 이 bi_sector는 어떻게 구하는거죠??

jys923의 이미지

makefile to .sln 방법 없나요?

makefile to .sln 방법 없나요?

깃 허브의 필요한 프로젝트가 있는데

cmake는 없고 makefile 만 있습니다.

makefile로 부터 sln 파일을 만들어서 Visual Studio 에서 컴파일 하고 디버깅을 하고 싶습니다.

목적이 컴파일 뿐이 아니고 IDE에서 보면서 디버깅 하고 싶습니다.

따라서 꼭 Visual Studio 에서 볼필요는 없습니다.

괜찮은 IDE에서 makefile을 임포트해서 디버깅 할수 있기만 하면 됩니다.

윈도우에 방법이 없다면 리눅스도 관계없습니다.

https://github.com/solokeys/solo.git

이 프로젝트 입니다.

trymp의 이미지

kernel 에서 쓸만한 tree API 있을까요?


kernel 코딩시에 쓸만하고 심플한 Binary Search Tree 함수를 찾고 싶습니다.

가능한 가볍고 심플한 것이었으면 좋겠습니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ㅎㅎ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질문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