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질문

k1d0bus3의 이미지

Pentium-m용 젠투리눅스를 빌드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뭔가 이상합니다.

Pentium-m용 젠투리눅스를 빌드하고 있습니다.
정확히 말하면 젠투리눅스기반인 크로뮴OS를 빌드중인데, 빌드방법이나 포티지시스템이 거의 흡사하니 젠투라고 보셔도 무방할것 같습니다. (emerge/equery 명령어와 각 설정파일 path만 조금 다름)

문제는 Pentium-m의 instruction set는 mmx,sse,sse2 인데,
젠투의 x86-generic용 설정파일인 make.conf에는 MARCH_TUNE="-march=i686 -mfpmath=sse -mmmx -msse -msse2 -msse3"로 되어있습니다.
그 이유 때문인지 x86-generic용으로 빌드해서 Pentium-m에서 부팅 후 쉘을 띄우면, mkfs.ext4(sys-fs/e2fsprogs 패키지)명령이 안먹힙니다.(illegal instruction 에러발생) 물론 다른PC에선 잘작동합니다.

astzlra955의 이미지

Yocto에서 코드 수정후 다시 build를 하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현재 Yocto를 진행하고 있는데요,
weston의 설정 (weston.ini)를 변경한 다음 다시 build를 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어떻게 해야 다시 빌드가 되는지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bitbake core-image-weston 처음 빌드시에는 이렇게 빌드를 했는데요,
weston.ini를 수정한 뒤에 bitbake core-image-weston를 다시하면,
바로 "didn't need to be rerun and all succeeded." 이런 log가 나오면서 빌드 프로세스가 종료됩니다.

그런데 image 파일 생성되는 부분에 가보면 새로 생성된것이 없어요...

kernel이나 uboot를 re-build 하듯이 뭔가 다른 명령이 있을 것 같은데, 어떤 명령인지 찾을 수가 없어서요.

Yocto에서 weston의 설정 (weston.ini)를 변경한 다음 re-build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yous87uu2의 이미지

Arch Linux AUR에서 dasom-qt-git를 설치하려는데, 오류가 발생합니다.

Arch Linux에 KDE 5 Plasma Desktop을 올려서 쓰고 있는데, 한글 입력기는 dasom이 좋다는 말을 보고 설치를 시도했습니다.
dasom-git, dasom-gtk-git, dasom-jeongeum-git 까지는 정상적으로 설치 되었는데,

aabram의 이미지

extern 선언된 CString의 포인트 파손

extern으로 선언된 CString에서 첨부와 같이 포인트 에러가 발생합니다.

전역변수는 자동으로 초기화 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왜 이런 경우가 발생하죠?

이럴때 포인트를 강제로 잡아줄 방법은 없나요?

** 이부분도 쓰레드이고 단독으로 구동시 문제가 없으며

다른 쓰레드를 작동을 시키면 발생됩니다.

** 전역변수인데 왜 다른 쓰레드의 영향을 받을까요?

** 타 쓰레드 작동시 어느부분의 영향을 받아서 파손되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qeeeeep의 이미지

[자바] 예외클래스를 만들 때 serialVersionUID 변수 선언이 권장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이클립스에서 자바로 예외클래스를 만들 때 static final long형 변수인 serialVersionUID 변수를 선언하지 않으면 선언하라는 경고가 나옵니다.

serialVersionUID 변수는 객체를 송수신 할때 필요한 식별 번호로 쓰인다고 하는데요,

예외클래스가 객체단위로 송수신 되는 과정이 왜 꼭 필요한 것처럼 보이는지,

예외클래스를 만드는데 serialVersionUID 변수가 필요한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park3250의 이미지

Centos ffmpeg 라이브러리 버전 업그레이드 후 하위버전 참조 발생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ffmpeg 버전 업그레이드를 위해 기존꺼 삭제 후 상위버전 컴파일 하여 설치 하였는데요

바이너리 재컴파일 후 실행하면
계속 하위버전 ffmpeg 라이브러리를 못찾는다고 나오는데요

error while loading shared libraries: libavformat.so.55: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open("/usr/local/lib/libavformat.so.55", O_RDONLY|O_CLOEXEC) = -1 ENOENT (No such file or directory)

단순히 바이너리 컴파일시에 -lavformat -lavcodec -lavutil
/usr/local/lib 파일을 읽도록 하는건데..

왜 이전버전 라이브러리를 찾을까요?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park3250의 이미지

ffmpeg key frame 얻는 방법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ffmpeg key frame(i-frame) 얻는 방법 문의드립니다

프레임을 읽었을때 해당 프레임이 i-frame 인지 확인할 수 있는 함수가 있을까요?
아니면 별도에 값들로 계산 후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아시는분 답변 좀 부탁드립니다.

ak9033의 이미지

squid3를 이용하여 forwarded를 하는데 설정 방법을 못찾겠습니다

squid3를 이용하여 a.com이라는 웹 서버가 작동되지 않을 시 b.com이라는 웹 서버로 Forwarded 하여야 합니다
그런데 저런 자료를 찾다가 못찾아서 여기에 글을 올려봄니다.
그리고 c.com이라는 웹 사이트는 프록시를 사용안하고 웹서버로 도착하게 하는 방법도 궁금합니다
모든건 한 클라이언트에서 확인합니다.

richard0326의 이미지

[Window API] 포트리스에 사용하는 지형 충돌 기술이 알고 싶습니다.

[Window API] 포트리스에 사용하는 지형 충돌 기술이 알고 싶습니다.

포트리스를 만들려고 하는 것은 아니구요.

Window API를 이용해서, 메탈슬러그를 만들고 싶은데, 포트리스를 만들때 사용하는 지형 충돌 방식을 알고 싶습니다.

혹시 알고 계신분 계신가요??

hyogukim의 이미지

Dell T5810 워크스테이션에 ubuntu Desktop amd64 설치시 오류 관련

안녕하세요. 초보자 입니다.

최신 Dell T5810 워크스테이션에 "ubuntu-12.04.2-desktop-amd64" 버전 설치시

오류가 납니다. 원래 설치가 불가능한가요?

1) ubuntu Desktop 버전을 쓰고 싶은데요. 어떤 Desktop 버전을 써야 할까요?
죄송합니다만.. 버전좀 알려 주세요.

2) ubuntu Desktop 설치시 하드드라이브 선택이 않됩니다. COMS에서 STAT를 ATA방식으로?
아니면 AHCI 모드로 설정해야 하드 드라이브 선택이 되는건지요?

무식하지만 조언 부탁 드립니다.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질문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