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질문

wowwwn의 이미지

리눅스 서버 하드웨어스펙 확인

컴공 학부 졸업하고 어쩌다보니 대기업 Linux Administration으로 업무를 배정받았습니다.
그런데 코딩이나 bash만 조금 할줄 알지 리눅스에 대해선 전무합니다.

리눅스를 접한지 3개월 되고 공부겸 선배가 Linux 서버 하드웨어 제반사항 파학해 오라고 클러스터중 하나의 서버의 루트계정을 주었는데

센서, 코어개수, 시스템 기본사항, 연결된 장비들, 파티션, 케이블. 네트워크, 포트개수 등등...
이런거 어떻게 조사하나요...

이 서버가 계산노드? 여서 dmidcode나 ipmi같은게 안깔려있고 yum으로 설치도 막혀있습니다.

어떤식으로 공부하고 어떻게 하면 어떻게 생겨먹은지도 모른는 서버 architecture와 하드웨어 스펙을 잘 정리할 수 있을까요?

zzllee77의 이미지

OpenSSL SHA256RSA 구현 헤더파일 인클루드 오류 문제

제가 SAH256RSA 암/복호화 구현을 위해 코딩중입니다
코딩은 아래와 같구요 개발환경은 리눅스이고 리눅스서버는 centos입니다.gcc명령어를 통해 컴파일 하는데요

test20514의 이미지

centos PPTP 서버 설정 질문좀 드릴게요.

pptp에 접속한 clients 끼리 내부 통신을 막고, 외부로만 통신이 되도록 하고 싶은데요.
따로 pptpd.conf 에 설정을 하는 부분이 있을까요? 아니면 iptables를 이용해 차단을 시켜야 될까요?

고수님들 한수 부탁 드립니다.

nixon4545의 이미지

가상머신에서 write시 함수분석을 하고 있는데 인자가 안넘어가네요

커널 소스 분석을 하고 있습니다.
kvm가상머신에서 virtio를 사용하고 있고

write를 실행시 거쳐가는 함수들을 관찰하고 있습니다.
I/O스케줄러 직전단계까지 왔는데
block/blk_core.c에
ret = q->make_request_fn(q, bio);부분이 있더군요
cscope로 검색해봐도 함수포인터를 넘겨받는 부분을 찾을수 없어 검색을 해보니
http://jhk-research.tistory.com/9에 따르면 결국 __make_request를 함수를 사용하네요.

그래서 이 함수에서 bio 구조체 안에 있는 제가 실행한 프로그램의 inode 번호(구조체 변수는 제가 직접 넣었습니다)를 출력해보니 0번으로 뜨네요... 패러미터가 제대로 안 넘어간거 같은데 왜이럴까요?

psy882000의 이미지

C쉘을 처음 사용해보았습니다. [C쉘 | backspace 여부 등 질문이요!!]

회사를 옮기면서 새로운 환경에 적응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약간의 쉘에 차이가 있더군요

bashrc라던가 vimrc라던가

그와중에 vim환경에서 backspace 키를 누르면

[ ^? ]키로 인식되더군요..

1. stty erase ^H
2. set t_kb=^V
3. set t_kD=^V

로 해보았는데 모두 실패했습니다.

현재 shift를 누르고 backspace를 누르면 정상 동작합니다;;

그냥 이대로 vi 명령어를 이용해야 할까요??ㅠㅠ

아 그리고 추가로

vim 환경에서 :q로 창을 나온경우

bash에서는 vim 들어가기 전 내용이 표출됬었는데

현재는 vim에서 작업하던 내용들이 그대로 보이고 있어서요?

이것도 설정에서 변경 가능할 까요??

k1d0bus3의 이미지

커널 옵션 설정 중, "If unsure, say N (or Y)"의 의미

커널 config를 하면서, 특정 옵션(혹은 디바이스드라이버)을 선택할지 말지를 고민해야 할때가 많습니다.
이때 저는 "?"을 눌러서 매뉴얼을 보는데, "If unsure, say N"라고 되어 있는 경우, 대부분 왜 그래야 하는지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설명을 읽어보고도 잘 모르겠으면 그냥 선택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가끔 특별한(합당한)설명 '조차' 없이, 그냥 "If unsure, say N"라고 되어 있는 경우가 있더군요 (특히 디바이스 드라이버 파트).
이런 경우에도 모르면 그냥 선택하지 말아야 합니까?
아니면 매뉴얼작성이 잘못된 것을 의심해보야 합니까?

mydream의 이미지

하나의 ThreadProc에 대해 CreateThread 함수를 여러 번 호출해서 여러개의 스레드를 만들 수 없을까요?

CreateThread 함수의 원형은 다음과 같고

HANDLE WINAPI CreateThread(
_In_opt_ LPSECURITY_ATTRIBUTES lpThreadAttributes,
_In_ SIZE_T dwStackSize,
_In_ LPTHREAD_START_ROUTINE lpStartAddress,
_In_opt_ LPVOID lpParameter,
_In_ DWORD dwCreationFlags,
_Out_opt_ LPDWORD lpThreadId
);

세 번째 인자가 스레드 프록을 인자로 받는다고 합니다. 그러면 이렇게 해서 두 번 스레드를 등록하면 스레드가 두 개 만들어지는건가요?

kimhw09의 이미지

리눅스 개발관련해서 질문드립니다.

이제 갓 프로그래밍의 기초를 쌓으려는 열정넘치는 사람입니다.

사용하는 용어가 표준이 아니면 지적바로 해주세요.

일단, 이 글을 통해 질문하고자 하는 것은 바로

함수입니다. 정확히 제가 무엇을 모르는지를 인지하지 못하여 글이 길어지는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표준라이브러리의 printf()를 사용할 때, 제가 printf()가 궁금해서

찾아봤습니다.

먼저, stdio.h 파일에는

extern int printf (const char *__restrict __format, ...); 라고 정의되어있네요.

라이브러리에서 사용할 수 있게끔 정의부(?)가 적혀져 있다고 생각하면 될까요?

그리고 /usr/include/i386-linux-gnu/bits/stdio2.h 이라는 파일에는

kikiki0611의 이미지

int main, void main

안녕하세요 컴퓨터공학전공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오늘 알고리즘 수업시간에,
교수님께서 제가 짠 코드를 보시더니
int main ( void )
~
return 0;
을 왜 이렇게 하냐고 물으시면서, void main()으로 사용하라 라고 하시더라구요.
저는 int main이 표준으로 알고 있어 그렇게 사용했고, 그게 습관화가 됐다라고 말씀을 드렸죠.

잘못된 습관이라며 습관을 고치라고 하셨는데

정말 잘못된 습관인지, 실무에서는 어떻게 사용을 하시는지 생각이 들어
여러분께 말씀을 여쭙고자 글을 남겼습니다.

muz0880의 이미지

테이블이 생성되지 않습니다;;;


테이블을 생성하려고 하면

Apply changes to Error 1813: Tablespace for table exists. Please DISCARD the tablespace before IMPORT.

이러면서 삭제하라더니 .. drop table 을 사용하면

Error Code: 1051. Unknown table 이라고 얘기를 합니다;

안되겠다 싶어서 찾아본 뒤 show variables like 'datadir'; 로 찾은 경로로 가서.. 해당 테이블 파일을 삭제한 뒤,
다시 시도를 해보았으나 결과는 똑같습니다...

repair Error Table 'table' doesn't exist
repair status Operation failed

repair도 이렇게 듣질 않으니 어떻게 해야할 지 모르겠습니다.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질문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