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질문

mydream의 이미지

CreatePipe에서 자식프로세스로 핸들을 상속받을 수 있도록 했다면 자식에서도 모두 파이프를 닫아줘야 할까요?

연습용으로 파이프 프로그램 만들었습니다. 부모 프로세스가 CreatePipe로 한 쌍의 파이프를 만들고 읽기용 파이프를 자식으로 전달했습니다. 한 쌍의 파이프가 모두 상속가능하기 때문에 자식에서도 CloseHandle로 닫아주지 않으면 메모리 누수가 발생하지 않을까요?

rlaxorud814의 이미지

파이썬3.0으로 시간 계산하는 소스코드

예를들어 6:00에 02:15을 더하면 08:15가 되게하는 소스코드를 짜는중인데 답이 없어보입니다..
23:00에 02:00를 더하면 01:00이 나와야합니다..

k1d0bus3의 이미지

SCSI기술/장치가 일반x86 PC에서 쓰이기는 합니까?

x86-generic 일반PC용도의 커널을 부팅할때마다, SCSI에 관한 메세지들이 떠서 질문드립니다.

분명 부팅한 PC들에는 SCSI장치나 기술들이 없는 걸로 아는데요.

SCSI장치/기술이, 지난 10년간 생산된 일반x86 PC(apple제외)에서 과연 쓰일 일이 있을까요??

ruddnjs87의 이미지

스위칭 허브 2대 연결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지금 대학원 생활을 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이번에 연구실에서 서버를 증설하려고 하는데 사용 중인 스위칭 허브 (3COM 사의 baseline switch 2824) 포트 수가 부족하여

스위칭 허브 2대를 연결해서 쓰려 합니다. (24포트 2대를 연결하여 총 46개의 포트를 사용하려 합니다.)

스위칭 허브 사용 목적은 병렬 컴퓨팅에 따른 계산 노드들간 연결인데요.

허브를 새로 사면

스위칭허브-(연결)-스위칭허브-(연결)-메인 컴퓨터

이렇게 연결을 하려하는데 이때 허브간 데이터 전송으로 인해 성능이 떨어지는지가 궁금합니다.

검색을 해보면 나올 줄 알았는데 제가 용어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지 만족스러운 대답을 얻지 못했습니다.

stackable 허브를 이용해야만 성능이 안떨어진다는 얘기도 있고 그냥 일반적인 스위칭 허브끼리 연결해도 안떨어진다는 얘기가 있는데

무엇이 맞는지 모르겠네요..

혹시 아시는 분이 계신다면 답변 부탁드리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kbs1439의 이미지

리눅스 응용 프로그램 설계 중에 커널 레벨 설계와 유저 레벨 설계에 대해 혼란 스러워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임베디드 리눅스를 접한지 3개월이 안된 직장인입니다.

현재 리눅스에서 HDMI로 영상 출력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설계중인데요.

초급자다 보니 혼란스러운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간단히 말씀드리면 FPGA에서 받아온 데이터를 후처리 후 HDMI로 출력하는 건데요.

현재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유저 레벨 스레드 하나를 사용해서 설계는 완료된 상태입니다.

이를 위해 추가적인 GPIO 드라이버나 스위치 드라이버도 설계를 했는데요.

제가 궁금한 것은 이러한 동작들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커널 레벨에서 설계해야 하는지, 유저 레벨로 설계해야하는지 감이 안잡힙니다.

검색으로 두 방식의 장단점은 조금씩은 알겠지만, 필드에서는 실제로 어떠한 기준에 따라 커널 레벨과 유저 레벨 설계를 나누는지 알 수 있을까요?

또한 저는 드라이버를 개별로 코딩하여 insmod를 통해 사용하고 있는데요. 기존의 커널에 포함되 있던 키 입력 드라이버나 LED 드라이버를 다 빼고 제가 설계한 드라이버로 사용을 했거든요.

ehaakdl의 이미지

wmi에서 가져온 메소드 실행 함수 실행시 나오는 반환값에 대하여 질문드립니다. Execmethod

msdn에서 지원하는 win32_volume class format method를 사용하는 도중 execmethod 반환값이 WBEM_E_INVALID_METHOD_PARAMETERS이것이 나와 질문 드립니다.

wmi에서 연결후 보시는바와 같이 메소드 실행 하엿는대 반환값이 WBEM_E_INVALID_METHOD_PARAMETERS 이렇게 나왔습니다. 찾아본 결과 execmethod로 넣어준 파라

미터가 유효하지 않거나 클래스가 정적으로 ?? 만들어져서?? 원인이 두가지 라는대 제가 보기엔 넘겨준 값들은 다 리턴값 체크해서 확인한 뒤 넣은건데 왜 이런

반환값이 나오는지 의문이 듭니다.

이건 에러값에 대한 정보입니다.
https://msdn.microsoft.com/ko-kr/library/aa392103(v=vs.85).aspx

wmjj의 이미지

C# 자동구현 프로퍼티를 사용하는 이유.

public String Name{get; set;} 과 같이 선언한 자동구현 프로퍼티는

사용하는 입장에서 보면
public String Name 으로 선언한 멤버 변수와 전혀 다를게 없는 것 같아요.

public String Name{get; private set;}와 같이 읽기 전용으로 선언했다면 이해가 가는데요.
그게 아니라면 그냥 멤버 변수로 선언하는게 더 간편하지 않나요?

Control 클래스를 들여다 보면 자동구현 프로퍼티들이 많이 눈에 띄는데요.
비주얼 편집툴과 연계되는 어떤 부분때문에 어쩔 수 없이 프로퍼티가 사용되는건가요?

궁금합니다~

saehymkldp의 이미지

yum으로 패키지 설치 후에 소스코드 compile을 하려고 하는데 문제가 있는데?

안녕하세요~~~ 문의 좀 드리겠습니다.

제가 libgcrypt라는 패키지를 yum으로 설치하였는데요.
패키지 버전이 낮아서 새로운 버젼으로 다시 설치하려다 보니 rpm패키지는 여전히 낮은 버젼이어서
결국 소스코드를 다운받아서 컴파일하여 설치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우선 yum remove libgcrypt 이렇게 하니까 의존성 관련 메세지가 엄청 많이 나오면서
마지막에는 Error: Trying to remove "yum", which is protected 라는 에러메세지가
나오면서 제거에 실패를 하는데... 어떻게 제거 해야할까요??
의존성 라이브러리도 함께 삭제되어도 되는지 확신도 없고??
암튼 해결 방법을 좀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혹 패키지 설치를 그대로 둔 상태에서 최신 버번의 소스를 컴파일하여 설치해도 되는 건지요??

고수님의 도움을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daechang37의 이미지

파이썬 스트리밍 인코딩문제점.

#!/usr/bin/env python
# -*- coding: utf-8 -*-
import tweepy
import json
import re
import sys
reload(sys)
sys.setdefaultencoding('utf-8')

페이지

프로그래밍 QnA + 설치 및 활용 QnA + 질문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