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twitter.com/unypoly
트위터까지 사칭당하는 군요
제 진짜 트위터는
http://twitter.com/chessdosa
http://twitter.com/wikibook 인데 말이죠. 저작권법 위반으로 라도 고소하고 싶습니다.
어디에 올려야 할지 분류가 애매해서 자게에 올려 봅니다.
RMI를 이용해서 WebSphere(IBM AIX 5상에서 운영)에서 데이터를 받아와서 CSV화일로 저장하는 자바applet이 있습니다.
시스템이 개발된지 오래 된 것도 있지만 MS Java VM를 클라이언트인 Windows xp Sp2에 설치해서 운영 중 입니다.
현재는 멀티코어
일이 생겨서 친구 녀석(놈)집에서 며칠 신세를 졌습니다.
친구 녀석(놈)이 넷북을 샀다고 자랑하더군요.
얼마 전부터 갖고 싶다고 하더니, 결국은 마련한걸 보면서 부러움 반, 회의 반이었습니다. (학생인지라 부러움이 70%였다는 것은 공공연한 비밀)
들고 다니는 것 보니 편하긴 해보이더군요.
저는 한국이 3:0으로 이기리라 예상합니다. 그러면 자력진출이니까요.
http://kldp.org/node/115178 에 달린 다음 댓글을 달고, 커뮤니티의 형성 과정 및 종류에 대해 더 얘기해보면 어떨까 싶어서 새 글 씁니다.
저는 여기서 우리가 또 생각해볼 부분이 국제적 관계에서 인정을 받은, 그리고 그 파생 커뮤니티인가 입니다. 시민사회단체처럼 등록과 활동에 의한 커뮤
시민사회단체처럼 등록과 활동에 의한 커뮤
요새 월드컵을 맞아 차두리가 차범근의 조종을 받는 차미네이터, 차바타로 불리고 있네요.
터미네이터는 인간과 기계의 대결을 다룬 영화입니다.
미래의 얘기지만 지금도 컴퓨터는 사람과 대결을 하고 있어요.
생각나는 것으로는 체스, CAPTCHA, 스팸필터, 컴퓨터바이러스 백신, 스타크래프트, 퀘이
하드디스크나 휴대폰, 미디어를 물리적으로 파쇄하는 기계입니다.
튜터리얼 문제가 가장 큰 듯 합니다. 무엇인가를 새로 배울 때 익숙한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하는데, emacs 튜터리얼은 그 반대군요. 예를 들어 화살표키로 이동할 수 있는데 먼저 C 혹은 M 단축키를 외우게 한다던지... 물론 익숙해지면 아주 편리한 기능이긴 합니다만.
이거좀 황당한데요 많은 곳에서 사용되고 있는데
황당하게 쉽게 취약점이 드러나다니 --;
계속 답있나 확인하기가 귀찮아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