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emptynote의 이미지

정부 제작 소스 코드 시각화 동영상 화가 난다~

오픈 소스 만들어서 이제 소개를 해야 하는데

소스 코드 시각화라고 해서 군침 돌아서 보았더니

결론은 javadoc 혹은 doxgen 이네요.

API 문서만 갖고 프로그램이 무엇이다 알 수 있나요?

제가 못한다고 남도 못할거라고 생각할 수 없지만

이거 너무하는거 아닙니까?

검색해 보니 2016년에 문 닫은것 같네요.

도움 받으러 갔다가 시간만 낭비했네요.

----------------------------------------------
"알기 쉬운 SW공학배우기_6화(소스코드시각화)" 참고 주소 : https://www.youtube.com/watch?v=FUTYp0CyYzM

emptynote의 이미지

오픈 소스를 어떻게 알릴것인가 그것이 문제네요.

오늘 드디어 알에서 깨어날 준비를 마쳤습니다.

네트워크에 대해서 하나도 모르는 상태에서 java nio selector 를 이용한 비동기 서버와

동기및 비동기 메시지를 보낼 수 잇는 서버 접속 API 를 만들면서

비동기 메시지의 경우 하드웨어가 허용하는 최대치까지 기다리지 않고 데이터를 보내수 있기때문에

서버 입장에서는 한정된 자원이 고갈되는 골치 아픈 문제가 발생해서

이를 해결해야 하는데 해결 방법을 찾았지만 만드는데 급급하여

코드가 엉망진창이라 정리하는데 한 세월 걸려서 오늘에서야 정리가 끝나고

단위 테스트까지 끝마치게 되었네요.

이제 제가 만든 오픈 소스를 어떻게 알릴것인가 그것이 문제네요.

ehaakdl의 이미지

대학에서 동아리 활동이나 연구실 경험 좀 들을 수 있을가요?

학교 들어가게 되면 연구실이나 컴퓨터 동아리 한번 들어가 보고 싶고 어떤지 미리 듣고 싶어서
질문 하게 됬습니다.

shint의 이미지

보통 램 50 GHz 속도 확인

- 윈도우 시스템 가상 메모리 전체 설정
- UltraRAMDISK SCSI 적용
- 체감 속도가 그리 빠른지는 모르겠음 ㅇ_ㅇ;;

2019 인터넷 컴퓨터 기술 활용 정리 - 링크

tang42440의 이미지

방금 가입했습니다.

대학교 동아리 친구가 알려줘서 가입했습니다.
아직 리눅스 초기 리린이 입니다.
좋은 정보 공유와 많은 배움 부탁드립니다.
잘부탁드립니다.


광주출장안마 - 광주출장안마


jacobrohr의 이미지

하 연말연시... ㅠ.ㅠ

힘드네요.. 왜이리 약속도 많고.
술도 좋아하는 편이아니라서 사업차 뵈어야 하는 경우도 생기니..
어쩔수없을때 다들 몸관리 잘하시기 바랍니다.
병원 다녀와서.. 글한번 남기고 갑니다ㅠ.ㅠ


비아그라 - 비아그라


레비트라효과 - 레비트라효과


세벌의 이미지

구청 홈페이지에서 전산 관련 부서 찾아가기

서울시에 구청이 25개 있습니다.
각 구청 홈페이지에서 전산 관련 부서를 찾아 보았습니다.
쉽지 않네요.

결과 공유합니다.
https://sebuls.blogspot.com/2019/12/it-division-of-25-gu-in-seoul.html

emptynote의 이미지

[이메일 단위 테스트 라이브러리 GreenMail] 부재 두들거라~ 그러면 열릴것이다!

단위 테스트는 독립성을 가져야 한다는 정의가 저를 힘들게 하네요.

오픈 소스라 git 에 올려 놓고 있는데 비밀번호 이것이 문제네요.

(1) DB 계정
(2) Email 계정

DB 계정은 공개되어도 좋은 계정이라고 그거 알고 있다고 해도

재가 만든 테스트 DB 만 날리는거라 괜찮지만

Email 은 참 난감하네요.

괜하게 계정 공개되면 스팸 메일로 악용하는 사람이 있기때문에 공개 해서는 절대 안됩니다.

하여 단위 테스트를 하기 위해서는 단위 테스트를 위한 로컬 메일 서버를 구축해야

단위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는데 어떻게 만들어야 할지 막막해서

찾아 보니 메일에 대한 단위 테스트를 위한 라이브러가 있네요.

GreenMail(site 주소 : http://www.icegreen.com/greenmail/) 이라고

익명 사용자의 이미지

2d게임 프로그램 제작 의뢰합니다.

메일로 연락주세요.

eollyeo의 이미지

리눅스 명령어 구현 vs 알고리즘 공부

리눅스 명령어, cat rm ls 등등 옵션달아서 C언어로 구현해보는 그런거는 보통 어느정도 레벨에서 하나요?

제가 지금 컴퓨터공학과 2학년이고, C언어랑 자료구조만 좀 할줄알고 알고리즘 공부는 전혀 안해봤는데

겨울방학동안 백준인강으로 알고리즘 공부를 할지, 리눅스 명령어 구현해보는걸 할지 고민인데,

회원님들 생각에는 어느것을 추천하시나요?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