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 게시판

emptynote의 이미지

저한테 의미 있는 에코 메시지 응답 시간 862 마이크로세컨드

남들은 에코 메시지 그까이꺼 862 마이크로 세컨드가 아무렇지도 않겠지만

저한테는 의미가 큰 숫자입니다.

한빛미디어 "자바 I/O & NIO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라는 책에서 소개한 "향상된 서버" 로 부터

지금의 모습을 갖추고서야 얻은 숫자이기때문입니다.

여기 kldp 에는 c/c++ 시스템 프로그래밍 고수님들이 많아서 이 숫자가 우습겠지만

저는 일단 만족합니다.

코다2라는 새 버전을 www.sinnori.pe.kr 이라는 사이트에 일단 올려서 테스트중입니다 ^^

같이 코다 프로젝트 더 향상시키실분 모집합니다 ^^

k9200544@hanmail.net 주소로 메일 주세요.

먼저 만나서 이야기를 나누었으면 합니다.

세벌의 이미지

김프를 설치할 때 한국어로 나오네요.

오랜만에 엠에스 윈도에 김프를 설치했습니다.
전에 설치할 때는 한국어를 선택해도 메시지가 한국어 아니고 영어로 나왔는데...
오랜만에 설치해보니 설치할 때부터 한국어로 나오네요.

propnurimed1988의 이미지

이번에 유럽을 한번다녀오면서..

자유게시판이니 이런글도 적어도되겠지요..
이번에 해외여행을 이곳저곳 다녀오면서 느낀점입니다.
비로 많은 나이는 아니지만 내가 이때까지 우물안 개구리처럼 살었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는 시야도 틀려지고 양키들의 피지컬.. 하.. 대단합니다.
지나다니면서 찐따가 되는 기분이 들어군요,
시간과 여유가 있으시다면 자주 다니세요.
심적과 동기부여 인생에 아주 좋은 활력소가 되는거 같어요.
앞뒤 두서없지만 대충뜻은 전해졌으리라 봅니다. ㅎㅎ


비아그라 - 비아그라


시알리스구매 - 시알리스구매

세벌의 이미지

이세돌 은퇴. 인공지능 끼리 바둑?

사람들끼리 바둑을 두는 거 보다 인공지능끼리 바둑 두는 대회가 많아질 지도 모르겠네요.
이세돌은 이번 인공지능과의 바둑을 끝으로 은퇴한다고 하니 그 다음엔 무엇을 하며 지낼지도 궁금하고...
인공지능이 사람에게 바둑을 가르치는 게 일상화될 거 같기도 하고...
세상이 많이 바뀌어 갑니다.

emptynote의 이미지

summernote 도입하려다 보니 난관이 많군요.

직접 개발한 코다라는 오픈 소스 가지고 이런거 만들 수 있고

성능 괜찮아요 라고 홍보할겸

겸사 겸사 코다 개발 커뮤니티 사이트 구축중인데

게시판에 summernote 도입하려다 보니 난관이 많군요.

첫번째 글에 이미지 추가할때 작성글 내부에 포함 시키는것이 아닌 외부 파일로 뺄경우에 대해서 아무런 준비가 안되어 있었네요. 첨부 파일을 만들긴 했지만 작성글 내부에 포함시킬 생각이 전혀 없었기때문입니다. 첨부 파일과 별도로 작성글에 포함될 이미지용으로 따로 만들어야 하는데 소를 직접 키울려니 아득하네요.

두번째 작성자가 html 로 작성할 경우 "cross site scripting" 를 막는것입니다.

이건 오키에서 질문을 올려 조언을 들었고 그때 소개 받은 jsoup 에서 찾았습니다.

emptynote의 이미지

아직도 AI 분야는 쉽지 않나 보군요.

구글에서 텐서플로우를 공개했고 텐서플로우 활용하는 동영상을 보니

이거 AI 에 무지해도 사용할만 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공공 분야에서 이렇게 활용하면 좋겠다는 아이디가 있어 이용해 볼 생각중인데

딥러닝을 이용한 산업을 하는 곳 채용을 위한 질문지를 보는 순간 뜨악하네요.

물론 초딩스러운 질문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중급이상 인력을 뽑네요.

그만큼 쉽지 않다는 간접 증거라

텐서플로우 활용한 아이디어를 구현했을 경우 원하는 만큼의 성능이 나와줄지 걱정되네요.

-------------- 부분 인용
https://www.facebook.com/dgtgrade/posts/1897237113668479

Necromancer의 이미지

PCB/SMT 업체 아시는분?

질문을 올릴만한 곳을 못찾아서 여기 올립니다.

회사에서 하드웨어 설계한거 업체에 외주 맡겨서 찍어낼려고 하는데 처음 해보니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서입니다. 물론 펌웨어는 다 되어 있고요.

혹시 PCB 설계해보신 분이라면 생산 맡길 업체를 어떻게 선정하는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emptynote의 이미지

안 좋은 코드의 교과서인 제 코드에 대한 해결 방법이 있을까요?

개인적으로 오픈 소스 프로젝트 진행중인데

단위 테스트 작성을 할때

에러 메시지 변경시 단위 테스트 모듈도 같이 수정을 해야 하는 아래와 같이 작성을 하였습니다.

에러 메시지 변경시 코드를 같이 변경하는 짓은 누가 봐도 나쁜 코드입니다.

에러 체크 로직이 잘 동작하는지 확인해야 하기때문에 '에러 메시지'를 키로 해서 그 키를 검사하여 에러 체크 로직이 잘 동작함을 검사한건데요.

이것을 나쁜 코드가 아닌 좋은 코드로 해결하고 싶습니다.

여러 분들은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하시나요?

emptynote의 이미지

평생 교육 덕에 내 팔자에도 없는 카이스트 교수님 강좌를 듣게 되네요.

평생 교육 덕에 내 팔자에도 없는 카이스트 교수님 온라인 강좌를 듣게 되네요.

영어 못해 정보 부족의 한계를 겪고 있는데

동영상 옆쪽에 영어로된 자막(?)을 보니

역시 개발 관련 자료는 영어라는 사실을 느끼게 해 주네요.

---------
"소프트웨어 테스팅" 참고 주소 : http://www.kmooc.kr/courses/course-v1:KAISTk+CS454+2018_K13/about

emptynote의 이미지

정부 제작 소스 코드 시각화 동영상 화가 난다~

오픈 소스 만들어서 이제 소개를 해야 하는데

소스 코드 시각화라고 해서 군침 돌아서 보았더니

결론은 javadoc 혹은 doxgen 이네요.

API 문서만 갖고 프로그램이 무엇이다 알 수 있나요?

제가 못한다고 남도 못할거라고 생각할 수 없지만

이거 너무하는거 아닙니까?

검색해 보니 2016년에 문 닫은것 같네요.

도움 받으러 갔다가 시간만 낭비했네요.

----------------------------------------------
"알기 쉬운 SW공학배우기_6화(소스코드시각화)" 참고 주소 : https://www.youtube.com/watch?v=FUTYp0CyYzM

페이지

자유 게시판 구독하기